신수교통
서울시 은평구에 위치한 시내버스 업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신수교통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공영차고지에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업체다. 계열사로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을버스 회사인 신수동마을버스, 영등포구 마을버스 업체인 형일교통 등이 있다.
신성교통 서울법인 회사 연혁
요약
관점
- 1965년 11월 16일: 신성교통 설립
- 1970년: 계열사인 범양여객(훗날 선진여객)을 설립하였다.
- 1971년 5월 1일: 역촌동영업소를 당시 방계회사인 선진운수로 분사시켰다.
- 1979년: 신진운수(현 진화운수)에서 도시형버스 75번을 인수받았다.
- 1984년 11월 1일: 교통부의 버스요금 선불 정책에 따라 사내 버스 안내양 해고 명령을 내려 내구연한이 얼마 남지 않은 차량을 제외하고 전 차장을 해고시켰으며 버스안내양 사양 차량은 자동문으로 개조되었다.
- 1996년 6월 29일: 당시 방계회사인 서부여객 문산영업소를 인수받아 경기도 파주시를 연고로 한 경기도 시내버스 사업에 진출했다. 동시에 신성교통 경기법인을 설립하였다.
- 2000년 6월 2일: 자본금을 9억 원으로 증액.
- 2001년 4월 16일: 경기도 고양군 원당읍 식사리(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856-2에 위치한 지점 폐지.
- 2003년 3월 11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 2-9 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이전.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지선버스 3개/간선버스 2개/광역버스 6개 노선으로 운행개시하였다. 동시에 방계회사인 한국비알티자동차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하였다.
- 2004년 8월 24일: 당시 간선버스 570번의 공동 배차를 맡았던 범일운수가 철수하고 영등포역으로 단축하여 단독으로 간선버스 760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9월 5일: 9711번 광역버스 탄현지구 - 양재시민의숲역 노선이 개통되었다.
- 2005년 9월 26일: 서울시내버스 7735번, 서울시내버스 760번과 통합하여 760번이 금촌동에서 영등포역까지 운행하게 된다.
- 2006년 4월 7일: 교하택지지구(운정신도시) 진출을 위해 시계외 30km 문제를 해결하고자 방계회사인 경기법인(현 신성여객)으로 9704번을 양도하면서 동시에 경기도 파주시 면허로 이관해 2000번 전환.
- 2008년 2월 14일: 본 회사 소속 7731번 폐선과 동시에 경기법인 소속 330번(현 790번)을 대체 노선으로 신설함.
- 2008년 12월 20일: 9702번 광역버스 탄현 - 숭례문 노선이 폐선되고, 급행광역버스 9714번(교하동 - 숭례문)이 경기법인 소속 광역급행버스 8880번과 동시에 개통하여 공동 배차로 운행개시하였다.
- 2009년 8월 10일: 국토해양부에서 주관하는 M7106번 광역급행버스를 신설해서 운행하게 된다. 전 차량 유니버스로 운영한다.
- 2009년 11월 25일: 본점을 대조동에서 진관공영차고지로 이전.
- 2011년 1월 29일: 국토해양부에서 주관하는 M7111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1]
- 2011년 5월 20일: 국토해양부에서 주관하는 M7111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환승 할인 손실금 지원 문제 및 증차 문제로 경기도 파주시 면허로 면허 이관 및 신성여객으로 노선이 양도되었다.
- 2011년 8월 28일: 간선버스 703번의 기점이 광탄면 신산리에서 파주읍 향양리로 연장되었다.
- 2012년 6월 8일: 간선버스 703번이 파주읍 항양리에서 문산읍 선유리 옛 자이언트부대로 연장
- 2012년 8월 28일: 광역버스 9710번 조계사 구간 단축 및 광화문, 종각역, 명동롯데, 숭례문 구간 회차지점변경
- 2012년 9월 16일: 국토해양부에서 주관하는 M7106번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경기도 고양시로 면허 이관과 동시에 방계회사인 신성운수로 노선을 양도하였다.
- 2013년 5월 16일: 문산터미널 ~ 명동입구 ~ 숭례문을 운행했던 9710번 광역버스가 705번 간선버스로 형간전환 동시에 구파발 ~ 명동입구 ~ 숭례문까지 단축운행 및 9710번 광역버스가 서울법인 소속이 형간전환으로 인해 신성여객 9710번으로 대체 운행하게 되었다. 단, 경기법인 소속 9710번은 광화문역에서 종로1가/명동롯데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서울시청으로 빠진다.
- 2013년 6월 13일: 간선버스 705번 삼송지구 연장 및 구파발역 3,4번 출구로 변경
- 2014년 1월 8일: 경기도 시내버스(신성교통 경기법인)를 방계회사인 신성여객으로 분사시켰다.
- 2014년 8월 9일: 제일여객에서 단독 운행하던 지선버스 7733번을 본회사가 공동 배차에 참여하였다.[2]
- 2017년 4월 30일: 서현운수의 계열사로 신설한 법인 서울운수가 신성교통의 전 노선을 인수함에 따라 서울 시내버스 사업에서 철수
이후 신성교통 법인에 대한 역사는 신성교통 문서를 참조바람.
서울운수 회사 연혁
- 2013년 9월 9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40길에서 자본금 50,000,000원으로 제일버스 주식회사로 설립. 배경석, 김득연 대표이사 취임.
- 2015년 9월 22일: 김득연 대표이사 사임(배경석 단독이사 체제).
- 2016년 4월 21일: 제일버스 주식회사에서 서울웨스턴버스 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 2016년 10월 4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로 이전.
- 2016년 10월 20일: 배경석 대표이사 취임.
- 2016년 10월 28일: 자본금을 2,000,000,000원으로 증자.
- 2017년 3월 28일: 서울웨스턴버스 주식회사에서 현 상호명인 서울운수 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 2017년 4월 3일: 본점을 현 위치인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으로 이전. 배경석, 심정환 공동대표이사 취임.
- 2017년 5월 1일: 7권역을 거점으로 하는 서울 시내버스 운송사업 개시
- 2017년 9월 14일: 급행광역버스 9714번 1개 노선을 제일교통으로 양도 및 지선버스 7722번, 7723번, 7733번 3개 노선, 광역버스 9703번 1개 노선을 양도받음.
- 2017년 10월 25일: 지선버스 7733번 폐선 및 동 노선을 서현운수 733번으로 대체. 7734번 신설.
- 2017년 12월 22일: 자본금 4,000,000,000원으로 증자.
- 2018년 1월 13일 : 맥금동영업소를 아동동영업소로 통폐합
- 2018년 8월 1일: 일산영업소 폐지 및 기종점 킨텍스 이전과 함께 광역버스 9703번, 9711A번을 킨텍스제2전시장으로 노선 변경 및 연장
- 2019년 8월 5일: 문산영업소 폐지에 따라 774번 노선의 기종점을 진관동으로 변경. 동시에 문산읍 선유리에서 파주읍 파주리(주내삼거리)로 단축.
- 2020년 5월 1일: 광역버스 9709번 폐선 연기와 동시에 신일여객과 공동 배차 개시
- 2020년 8월 1일: 서울면허 광역버스 9709번 폐선
신수교통 회사 연혁
- 2020년 9월 21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소재 마을버스 회사인 신수동마을버스의 계열사로 설립
- 2020년 10월 22일: 서울운수의 모든 노선, 차량 및 임직원 양도양수 완료[3]
- 2021년 3월 27일: 간선버스 705번이 구파발역 환승센터를 미경유하도록 노선 변경 및 차고지 입고 경로 변경 및 지선버스 7734번의 차고지 입출고 경로 변경(차고지 입출고 경로가 기존 한국지역난방공사 삼송지사 - 은평지문교 구간에서 동축로 이용으로 변경)
- 2021년 5월 1일: 서울매일버스에 광역버스 9703번, 9711번 노선 양도
- 2024년 8월 30일: 지선버스 7211번 공동배차 철수
운행 노선
2025년 1월 17일 기준이다.
운행노선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705번 | 진관공영차고지 | ↔ | 회현역 | 12~17 | 13 | 구 9710번 광역버스 단축 및 형간전환 |
706번 | ↔ | 시청역 | 5~15 | 10 | 구 8701번 형간전환, 2024년 10월 18일 개통 | |
761번 | ↔ | 영등포역 | 8~12 | 20 | 구 570번 단축 및 7735번 통합. 760번 서울 구간 노선 분리 | |
774번 | 진관공영차고지[4] | ↔ | 파주읍 파주리 | 18~37 | 10 | 구 158-1번 연장, 구 703번 단축 |
7722번 | 진관공영차고지 | ↔ | 녹번역 | 9~15 | 12 | 구 155-1번. 구 제일여객에서 양도받은 노선. |
7723번 | ↔ | 진관중고교.약수사앞 | 10~14 | 9 | 구 454-1번 변경. 구 제일여객에서 양도받은 노선. | |
7734번 | ↔ | 홍대입구역 | 7~12 | 26 | 2017년 10월 25일 신설 | |
과거 운행 노선
순환버스
지선버스
- ● 7211번: 진관공영차고지 ~ 신설동역 < 구 154-1번 > (제일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했고 2024년 8월 30일부로 철수)
- ● 7731번 (고양동 ~ 불광동 / 구 158-3번 도시형버스 단축 2004년 6월 30일)(2004년 7월 1일 ~ 2008년 2월 14일) (이후 도시형버스 330번으로 변경, 숭례문 연장 후 서현운수에서 790번으로 변경 운행)
- ● 7733번: 진관공영차고지 - 구파발역 - 삼송지구 - 원흥지구 - 이케아 롯데아울렛 고양점 - 서정마을 - MBC - 난지천공원 - 서울월드컵경기장 - 합정역 - 홍대입구역 <구 158번 단축, 7734번 통합, 서현운수 이관 후 733번으로 변경> (이 노선은 제일교통으로 양도받은 노선)
- ● 7735번 (금촌동 ~ 불광동 / 구 158-2번 도시형버스 단축 ~ 2004년 6월 30일)(2004년 7월 1일 ~ 2005년 9월 25일) (이후 760번 간선버스로 통합)
간선버스
- ● 570번 (삼송역 ~ 노온사동) 범일운수와 공동배차, 2004년 8월 25일 노온사동 ~ 영등포역 구간 단축 및 간선버스 760번으로 번호 변경)
- ● 703번: 선유리(구 자이언트부대) - 향양리 - 파주리(주내) - 연풍리(용주골) - 방축리(검전동) - 신산리 - 광탄면사무소 - 한민고등학교 - 용미리 - 혜음령 - 국군고양병원 - 고양동 - 대자동 - 삼송역 - 구파발역입구 - 연신내역 - 불광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 광화문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경찰청 → 서대문역 (2017. 11. 1일부로 불광역까지 단축)(현재 서울매일버스에서 운행하는 703번과는 무관)
- ● 760번: 금촌동 - 봉일천리 - 관산동 - 삼송역 - 연신내역 - 구산역 - 응암3동주민센터 - 북가좌동 - 모래내 - 사천교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당산역 - 영등포역 (구 570번 단축 및 7735번 통합, 2017년 11월 1일부로 노선 분리)(현재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760번과는 무관)
- ● 775번: 금촌동 - 봉일천리 - 관산동 - 삼송역 - 구파발역 (760번 이북 노선 분리, 2017-11-01 ~ 2018-05-01)
맞춤버스
- ● 8703번 (광탄 ~ 불광동) 출근전용버스 (2008년 7월 1일 ~ 2009년 7월 11일)
광역버스
- ● 9702번 (탄현동 ~ 숭례문) / 구 2000번(서울) 좌석버스 (2004년 4월 30일 ~ 2004년 6월 30일) (2004년 7월 1일 ~ 2008년 12월 19일) (구 2000번 (서울) 좌석버스는 2000번 (경기) 직행좌석버스와는 무관)
- ● 9703번 (킨텍스 ↔ 숭례문) (2021년 5월 1일 서울매일버스에 양도)
- ● 9704번 (교하동 ~ 숭례문) / 구 1000번(서울) 좌석버스 ( ~ 2004년 6월 30일) (2004년 7월 1일 ~ 2006년 4월 6일) (이후 2000번 (경기)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운행, 이 노선은 동해운수에서 양도받았던 노선이다.)
- ● 9709번 (맥금동 ↔ 숭례문) (2020년 8월 1일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신일여객으로 이관)
- ● 9710번 (문산타워, 구문산터미널 ~ 숭례문) / 구 922번 좌석버스 (1998년 ~ 2004년 6월 30일) (2004년 7월 1일 ~ 2013년 5월 15일) (2013년 5월 16일에 간선버스 705번으로 형간전환 및 신성여객 9710번 신설)
- ● 9711번 (킨텍스 ↔ 양재시민의숲역) (2021년 5월 1일 서울매일버스에 양도)
- ● 9711B번: 진관공영차고지 - DMC첨단산업센터 - 서울월드컵경기장 - 강변북로 - 신사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제일교통과 공동 배차)[5] (2014-07-16~2016-04-23)
- ● 9714번: 교하동 - 대화역 - 강선마을 - 행신동 - 수색로 버스 중앙차로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대앞 → 성산로 → 광화문역 → 삼성프라자 → 숭례문 → 서대문경찰서 → 연대앞 (제일교통으로 양도)
광역급행버스
- ● M7106번: 대화역 - 강선마을 - 수색로 버스 중앙차로 - 연대앞 - 성산로 - 광화문 - 삼성프라자 - 서울시청 - 숭례문 (경기도 면허로 전환하여 신성운수에서 운행하다가, 현재 가온누리엠에서 운행 중)
- ● M7111번: 운정신도시 - 가재울공원 - 현대1차A - 한라비발디A - 경기인력개발원 - 새암공원 - <제2자유로, 수색로 ~ 성산로 무정차> - 연세대학교 앞 - 광화문역 - 삼성프라자 (시청역) - 숭례문 - (환승할인 손실금 지원 문제, 증차 문제로 인해 경기도 파주시 면허로 전환 및 노선 이관, 증차 운행하다가 현재 신성교통 주식회사에서 운행 중)
보유 차량
본점 및 지점 현황
- 본점: 서울특별시 은평구 통일로 1190 (진관동)
사진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