넙다리빗근

넓적다리의 근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넙다리빗근

넙다리빗근(sartorius muscle) 또는 봉공근(縫工筋)은 인체에서 가장 긴 근육이다.[2] 길고 얇으며 얕은층에 위치하여 넓적다리앞칸을 아래로 주행하는 근육이다.[3]

간략 정보 넙다리빗근, 정보 ...
넙다리빗근
Thumb
앞에서 본 오른쪽 다리의 근육들. 중간넓은근을 보여주기 위해 넙다리곧은근이 제거되었다.
정보
이는곳엉덩뼈위앞엉덩뼈가시
닿는곳몸쪽 정강뼈의 앞안쪽 표면 (거위발)
동맥넙다리동맥
신경넙다리신경 (가끔 중간넙다리피부신경)
작용엉덩관절 굽힘, 벌림, 가쪽돌림, 무릎관절 굽힘[1]
식별자
라틴어musculus sartorius
영어sartorius muscle
TA98A04.7.02.015
TA22610
FMA22353
닫기

구조

넙다리빗근은 위앞엉덩뼈가시(ASIS)[4]와, 위앞엉덩뼈가시와 아래앞엉덩뼈가시 사이의 패임 일부에서 일어난다. 넓적다리의 앞쪽 부분을 아래안쪽을 향해 비스듬히 주행한다.[3] 이후 넙다리뼈 안쪽관절융기 뒤쪽을 지나 힘줄로 끝난다. 이 힘줄은 앞쪽으로 휘어 두덩정강근반힘줄근의 힘줄과 거위발에서 만난다. 거위발은 정강뼈의 위안쪽 표면에 닿는다.[3]

넙다리빗근의 위쪽 부분은 넙다리삼각의 가쪽 경계를 이루고, 긴모음근을 넙다리빗근이 가로지르는 지점은 넙다리삼각의 꼭대기 지점이 된다. 넙다리빗근과 그 근막의 깊은 쪽에는 모음근굴이 있다. 모음근굴로는 두렁신경, 넙다리동맥, 넙다리정맥, 안쪽넓은근으로 가는 신경 등이 통과한다.[3]

변이

이는곳이 고샅인대 바깥쪽 끝, 엉덩뼈의 패임, 엉덩두덩선, 두덩뼈 등 다를 수 있다.

근육이 두 부분으로 갈라져 한 부분은 넙다리근막, 넙다리뼈, 무릎뼈의 인대, 반힘줄근의 힘줄 등에 닿을 수 있다.

닿는곳의 힘줄이 넙다리근막, 무릎관절의 관절주머니, 다리의 근막 등에서 끝날 수 있다.

넙다리빗근이 없는 경우도 있다.[5]

기능

엉덩관절무릎관절을 움직일 수 있으나 그 작용은 약하여 다른 근육의 협동근 역할을 한다.[4] 엉덩관절에서 넙다리빗근은 넙다리뼈의 굽힘근, 약한 벌림근, 가쪽돌림근 역할을 한다.[4] 무릎에서는 다리를 굽힐 수 있다. 다리가 이미 굽혀진 상태일 때는 넙다리빗근이 다리를 안쪽으로 돌린다.[3][1] 다리를 꼬고 앉으면 넙다리빗근의 모든 작용이 동시에 일어난다.[3]

임상적 중요성

넙다리빗근을 쓰는 데에 문제를 일으키는 많은 질환 중 하나가 거위발 힘줄염이다. 거위발 힘줄염은 무릎 안쪽 부분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근육을 과하게 사용한 운동선수들한테 자주 발병하며 통증, 종창, 압통 등이 특징적이다.[6] 거위발두덩정강근, 반힘줄근, 넙다리빗근의 힘줄이 몸쪽 정강뼈 앞안쪽 표면에 합류하여 형성된다. 힘줄 주변의 윤활주머니에 염증이 발생하면 정강뼈머리에서 떨어지게 된다.[7]

역사

'Sartorius'라는 이름은 라틴어재단사를 뜻하는 단어 'sartor'에서 유래했다.[8] 넙다리빗근은 간혹 '재단사의 근육'(tailor's muscle)으로 불리기도 한다.[3] 문헌에서 이런 이름을 사용하게 된 것은 재단사가 앉아서 일을 할 때 취하는 다리를 꼬고 앉은 자세 때문이다.[3] 프랑스어에서 넙다리빗근을 부르던 이름인 'couturier'는 "재단사처럼 앉은 자세"(프랑스어: s'asseoir en tailleur)라는 뜻의 단어에서 유래했다.

추가 이미지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