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박수량(朴守良, 1491년 ~ 155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다. 전라도 장성현 소곡 출신으로 본관은 태인(泰仁)이고, 자는 군수(君遂)이다.[1] 한성부 판윤, 의정부 우참찬, 지중추부사를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시호는 정혜(貞惠)이다.
박수량은 1491년 (성종 22) 전라도 장성현 소곡리(현재 황룡면 아곡리 하남)에서 아버지 박종원과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둘째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박현손(朴賢孫)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박문아(朴文雅)이다. 어릴적에 고을 선생 김개(金漑)에게 수학하였다.
1513년(중종 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1514년(중종 9) 별시 문과 을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들어가 경기도 광주향교(廣州鄕校) 훈도에 취임하였다.[2]
1515년(중종 10) 승문원 부정자에 임명되고, 이후 전적 예조좌랑·사간원정언·충청도사 등을 거쳐, 1522년 사헌부지평·병조정랑으로 옮겼다가,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지평·헌납·장령·사간을 역임했다.
1525년(중종 20) 늙은 부모 봉양을 위해 지방 외직을 청하여 고부군수로 나갔으며, 이후 3년이 되어 부친 상을 당하였다. 상복을 벗자 헌납에 임명되었고 장령, 봉상시 첨정, 사간, 사도시부정을 역임하였다.
1531년(중종 26) 사성으로 있다가 어머니 봉양을 위해 또 사임하고 보성 군수로 나갔다가 1년이 넘어 사예로 돌아와 또 사성 및 내섬시정, 군기시정이 되었다.
1534년~1535년 함경도 경차관이 되어, 안원보권관 전주남이 야인들에게 결박 당하여 소와 말을 주고 풀려난 사실을 알고도 보고하지 않아 투옥되었다 풀려났다.
1536년(중종 31) 승문원판교 겸 춘추관편수관을 역임하고, 이어 통정대부로 승진해 병조참지·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수찬관을 지내고 좌승지로 옮겼다. 이어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부모 봉양의 귀양을 청하여 나주 목사에 제수되고, 의항공사 찰리사를 겸했다. 승정원 동부승지에 제수되었다.
1537년(중종 32) 함경도 관찰사로 나가 세 번 병환을 이유로 사직한 끝에 군직으로 개정하였다가 얼마 안 되어 한성부 우윤, 동지중추 부사, 공조 참판이 되었고, 그 뒤 또 호조참판으로 옮기었다.
1539년(중종 34) 도총부 부총관으로 있다가 다시 예조참판이 되었고, 또 어머니 봉양 걸양을 청하여 담양 부사에 제수되었다. 거기서 3년이 다 되도록 눌러앉아 어머니를 모시었다. 이때 어머니가 이질을 앓아 위독하자 몸소 약을 달이느라 수십일 간 허리띠를 풀지 않았고, 대변을 맛보아가며 약을 써서 병환이 나았다.
1542년(중종 37) 어머니 상을 당하여 예를 지켜 한 걸음도 묘려 밖을 나가지 않았고 복을 벗고서도 오히려 애절해 마지않았으며, 장형이 있음으로써 혼백을 받들고 스스로 따랐다. 그리고 삭망의 재계와 제사에는 그 정성과 공경을 다했다. 3년상을 마치자 조정의 명령이 누차 내렸으나, 편두통을 앓고 또 귀가 어두워 출사하지 아니하였다.
1544년(중종 39) 전라도 관찰사 송인수가 영광군에 순찰 나가, 기영정에서 판중추부사 송흠을 위한 잔치를 베풀면서 전라도에서 재상이 된 사람 중에, 소탈하고 담박한 사람으로는 송흠을 제일로 치고, 그 다음은 박수량을 친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세간의 평에 힘입어 이후 그는 다시 천거되어 높은 자리에 중용되었다.
1546년(명종 1) 특명으로 상호군에 제수되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자헌대부 지중추부사에 올랐으니 청덕을 상한 것이었다. 그래서 한성판윤·형조판서를 지냈다.
1550년(명종 5) 의정부 우참찬 겸 지경연의금춘추사 오위도총관에 제수되었다. ≪중종실록≫·≪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551년(명종 6) 전라도 관찰사를 의망하는데 높은 계급으로 민심을 진복할 만한 이를 추천하여 바로 공에게 명하여 경직을 띤 채 겸임하게 하였다. 홍섬등과 더불어 33인의 한 사람으로 청백리에 다시 녹선되었다.
1552년(명종 7) 1년 만에 조정으로 들어와 도총관을 겸하고 재차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가 의정부 우참찬으로 돌아왔고, 호조 판서로 임명되었다가, 1553년(명종 8) 또다시 한성부판윤에 제수되었다.
1554년(명종 9) 정월 경신일에 지중추부사로서 병이 들어 졸하니 향년 64세이다. 조정에 부음을 아뢰자 주상은 "염근(廉謹)한 사람이었는데 이제 그가 죽었으니 내 매우 슬프다. 특별히 치부(致賻)하라." 고 전교하였다. 예관(禮官)을 보내어 유제(諭祭)하였는데, 그 제문에 「속은 실상 유여(有餘)하나 겉으로는 부족한 척, 집엔 남은 곡식 없으니 더욱 아름답고 애석하다.」라는 말이 있었다.
박수량의 집에 상사를 치루는데 도움을 줄 것을 전교하다 "박수량의 집이 곤궁하여 상사를 치를 수도 없고 시골로 내려가는 것 역시 어렵다 하니, 일로(一路)에 관인(官人)들로써 호송케 하고 상수(喪需)를 제급하라.
그리고 "박수량의 집이 곤궁하여 상사를 치를 수도 없고 시골로 내려가는 것 역시 어렵다 하니,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특별히 예장(禮葬)하게 하였으며, 또 감사(監司)에게 명을 내려 그 집을 후히 돌보게 하였다." 이는 대사헌 윤춘년이 경연에서 진강(進講)의 기회를 얻어 계(啓)한 때문이었다.
2월 병신일에 발인하여 장성 고을에 돌아와서, 5월 경신(庚申)일에 호구(狐丘. 여절) 선영의 왼편 축좌 미향의 혈에 장사하였다.
그는 조정에 벼슬한 38여년 동안에 직책이 경상의 지위에까지 이르렀으나, 두어 칸의 집을 마련하지 못할 정도로 청렴 결백하게 공직을 수행하다 한 섬도 못 된 곡식만 남기고 떠났다. 2회에 거쳐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생전에 주세붕과 교유가 깊었으며, 사람됨이 간이 후중하고 근신 조밀하녀 예법을 잘 지키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이와 같이 박수량은 천성으로 청렴하여 청백의 절개 한 가지는 분명히 세웠으니, 세상에 모범이 될 만했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