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
위키미디어 동음이의어 문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무심(無心)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다.
- 무심(無心)은 망념(妄念)을 멀리 떠난 진심(眞心: 참된 마음)을 가리킨다.[1] 이것은 심식(心識) 즉 마음이 없다는 말이 아니며, 마음이 범성(凡聖) · 조묘(粗妙) · 선악(善惡) · 미추(美醜) · 대소(大小) 등의 사량분별의 정식(情識)과 처소(處所) 즉 3계9지(三界九地)의 일체의 처(處) 또는 천(天) 또는 계위[地]를 멀리 떠나서 이들에 집착하지 않고 이들에 의해 장애되지 않는 무애자재의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유위(有爲)의 상태를 멀리 떠나 무위(無爲)를 증득한 상태를 말한다.[2]
- 허망하게 분별하는 마음은 환영(幻影) 즉 유위법이므로, 결국 마음에는 찾을 수 있는 자성(自性)이 없다는 것을 가리켜 무심(無心)이라 한다.[1]
- 무심(無心)은 미혹되어 본성을 잃어버린 마음을 말한다. 난심(亂心)의 뜻 중에는 이 뜻과 같은 뜻이 있다.[2]
- 설일체유부 등의 부파불교의 교학에서, 무심(無心)은 무상정(無想定)이나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무상정은 제4정려(第四靜慮) 즉 제4선(第四禪) 즉 색계 제4천의 선정의 상태이며, 멸진정은 무색계 제4천인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의 선정의 상태이다. 이에 대해, 무상정과 멸진정 이외의 3계의 어느 처(處) 또는 천(天)에 처해 있는 상태의 마음을 유심(有心)이라 한다.[3]
-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교학에서 무심(無心)은 무상천(無想天) · 무상정(無想定) · 멸진정(滅盡定) · 극수면(極睡眠) · 극민절(極悶絶)의 5위무심(五位無心)을 말한다. 이들 5가지 상태[位]에서는 8식 중 제6식인 의식이 잠깐 단절하므로 무심이라 한다.[1][4]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