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국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마르세유의 노래》(프랑스어: La Marseillaise 라 마르세얘쓰[*])는 프랑스의 국가이다. 1795년 7월 14일에 한 번 지정되었고, 제3공화국 출범이후 두 번째로 지정되어 지금에 이른다.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Claude Joseph Rouget de Lisle)이 작곡했으며 1792년 4월에 숙소에서 곡과 가사를 썼다고 한다. 과거에는 지부티, 코모로, 토고, 시리아, 베트남, 캄보디아, 기니, 마다가스카르, 라오스,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베냉, 모리타니,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차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가봉, 콩고 공화국, 카메룬에서도 불렀으나 현재는 해외령인 왈리스 푸투나, 마요트, 프랑스령 기아나, 프랑스령 TAAF,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레위니옹, 생피에르 미클롱, 누벨칼레도니,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만 부르고 있다.[1][2][3][4][5][6]
프랑스의 국가 목록 | |
---|---|
1. 프랑스 왕국 시대 | |
국가 : 〈앙리 4세 만세〉(1590-1789) | |
왕실 국가 : 〈하느님, 왕을 지켜 주소서〉(-1789) | |
2. 프랑스 제1공화국 시대 | |
〈라 마르세예즈〉(1795-1799) | |
3. 프랑스 제1제국 시대 | |
〈출발의 노래〉(1799-1815) | |
4. 왕정복고 시대 | |
국가 : 〈프랑스 왕자들이 파리로 돌아오다〉(1815-1830) | |
왕실 국가 : 〈왕가의 품만큼 좋은 곳은 없다네〉(1815-1830) | |
5. 루이 필리프 시대 | |
〈파리의 노래〉(1830~1848) | |
6. 프랑스 제2공화국 시대 | |
〈지롱드당의 노래〉(1848-1852) | |
7. 프랑스 제2제국 시대 | |
〈시리아로 출발하라〉(1852-1870) | |
8. 프랑스 공화국 | |
〈라 마르세예즈〉(1870~현재) |
이 노래는 프랑스 혁명 정부가 오스트리아에 선전 포고를 한 소식이 스트라스부르에 도착한 1792년 4월 25일부터 다음날 26일 밤 걸쳐 현지에 주둔하고 있던 공병 대위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이 출정 부대를 고무하기 위해 하룻밤에 작사 작곡한 것이다. 이 때 붙은 제목은 '라인군을 위한 전쟁의 노래'(Chant de guerre pour l' armée du Rhin)였다. 릴 대위는 이 곡을 당시의 라인 강 방면 군 사령관 니콜라 뤼크네르 원수에게 바쳤다. 또 초기에는 6절까지만 있었으나, 현재 7절까지 있는 가운데 마지막 부분(“아이들의 절”)은 같은 해 10월 덧붙여진 장 밥티스트 뒤부아, 마리 - 조제프 세니에, 뒤부아 신부의 작품이라고 말하고 있다. 모두 15절까지 있으나 7절까지만 부르고 있다.
이후 튈르리 궁 습격 시 파리 입성했던 마르세유 의용군이 부르던 것을 계기로 현재 ‘라 마르세예즈’라는 이름이 되었고, 1795년 7월 14일에는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총재 정부 수립 이후부터 나폴레옹, 부르봉 왕조까지는 이 국가를 부르지 못하였고 1879년이 되어서야 공식 국가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첫 제정에서 왕정복고 사이에는 “폭군을 쓰러 뜨리는” 내용이 있었기 때문에 금지되었으나, 1830년 7월 혁명 이후에는 해금되어, 제3 공화제 하에 다시 국가로 제정되었고, 제4공화국의 《1946년 헌법》, 제5공화국의 《1958년 헌법》에도 ‘라 마르세예즈’를 국가로 결정한 취지가 명기되어 있다. 한편 1830년 베를리오즈가 독창자와 이중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을 했고, 또한 비틀즈의 “All You Need Is Love”의 인트로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1979년 세르주 갱스부르의 앨범 '플라이 투 자메이카'에서 레게 버전으로 불렸다. 또한 차이콥스키의 "서곡 1812년 작품 49"와 로베르트 슈만의 "두 사람의 척탄병"은 제정 러시아를 침공한 나폴레옹 군대의 상징으로 인용되고 있다.
1942년 때 영화 《카사블랑카》에서는 라인강의 수비와 라 마르세예즈가 맞붙는 장면이 있다.
2015년 파리 테러 발생 당시에는 전세계 각지에서 벌어진 시위에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테러에 맞선다는 의미로 널리 불렸다.[7] 테러가 일어날 당시 스타드 드 프랑스 경기장의 8만 관중이 밖으로 긴급히 대피하면서 일제히 라 마르세예즈를 불렀고,[8] 11월 17일 프랑스 의회에서는 올랑드 대통령의 대테러 연설 직후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각료와 상하원 전 의원이 97년 만에 원내에서 합창하기도 했다.[9][10]
2016년 프랑수아 올랑드 정부는 2016년을 '라 마르세예즈의 해'로 선언하고, 프랑스 전국의 초등학교에 오는 6월까지 학생들이 국가를 부를 수 있게, 특히 '잘 부를 수 있게' 교육하라는 내용의 지침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어린 시민들 노래 부르게 하기'라는 제목의 이 지침은 학생들이 피아노 반주나 오케스트라 연주에 맞춰 독창·듀엣·합창 등 다양한 형식으로 라 마르세예즈를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하는 요령을 담고 있다.[11]
'라 마르세예즈'가 비판받는 것은 주로 호전적인 가사 때문이다. 1992년에는 당시 대통령 부인 등 저명인사들이 국가 가사 개정을 요구하는 청원에 나서기도 했다. 이 노래에 반영된 강한 민족의식은 이미 수많은 이민자들과 그 후손들이 뒤섞여 살고 있는 현재의 프랑스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12] 또한, 그 가사가 아이에게 노래하기에는 너무 과격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유럽 통합 운동이 진행되는 현대에 주변국에 대한 적의가 가득찬 노래를 남기는 것은 부적당하다는 의견이 있다.
로마자 | 발음 | 국제 음성 기호 |
---|---|---|
Allons enfants de la Patrie, |
알롱쓰 앙팡 들라 파트히으, |
[a.lõ.z‿ɑ̃.fɑ̃ də la pa.tʁi.ə] |
1절
후렴
2절
3절
4절
5절
6절
7절(아이들의 절)[14]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