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뚝배기는 찌개, 지짐이, 조림 등을 끓이거나 설렁탕 등을 담을 때 쓰는 오지그릇이다. 대한민국 재래의 토속적인 그릇으로, 아가리가 넓고 속이 조금 깊으며, 크기는 대, 중, 소의 여러가지가 있다. 뚝배기는 지방에 따라 툭배기, 툭수리, 툭박이, 투가리, 둑수리 등으로 불린다. 그 중에서 물 한 컵이나 반 컵 정도 들어가는 작은 것을 알뚝배기라고 한다. 뚝배기는 냄비처럼 빨리 끓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일단 뜨거워진 것은 쉽게 식지 않으므로 겨울철에 따끈한 음식을 먹을 때 좋다.[1]
뚝배기는 고려시대부터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에 널리 사용되었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 식탁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이달충의 시에는 “질뚝배기에 들고 오는 허연 막걸리”라는 구절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것으로 보아 서민들이 평소 마시거나 잔치 때 탁주를 즐겨 마셨으며, 질뚝배기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달충이 고려시대 인물인 것으로 감안하면 적어도 뚝배기는 고려시대에는 이미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2]
뚝배기는 제주의 음식문화에서 상용화된 시기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제주 이외의 지역의 경우 이미 고려시대부터 비롯되어 조선시대에 활발히 사용되어온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제주의 경우에는 이 질그릇을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사실상 제주옹기에서는 뚝배기가 발견되지 않는다. 외지 사람들이 드나들던 일부 관아에서나 기방 등에서는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일반 가정의 음식에서는 뚝배기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 그릇이나 백자 그릇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이 또한 일반화 되지는 않았을 것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90세 이상의 연령을 지닌 주제의 고연령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해방이후 간간히 보이긴 하였으나 실제로 일반화 된 것은 불과 2~30여년에 지나지 않는다고 전한다. 제주의 전통음식에는 뚝배기를 활용할만한 탕이나 찌개와 유사한 음식이 없는 것 또한 제주도에서 전통적으로 뚝배기를 사용하지 않았음을 증명한다.[3]
뚝배기의 제작 방식은 일반 도자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제작에 쓰이는 재료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원료로는 주로 지리산 인근에서 출토되는 고령토와 황토를 이용한다. 이 고령토와 황토는 원적외선을 함유하고 있어 내열성이 강해 뚝배기 원료로 사용된다.
공정은 먼저 반죽으로부터 시작된다. 그 뒤 1차 건조로서, 틀에 넣어 서늘한 곳에 말린다. 사포로 정리한 후 유약 바른 다음 2차 건조를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1300도 이상에서 12시간 정도 구우면 뚝배기가 완성된다.[4]
뚝배기는 지역에 따라 모양이 각기 다르다. 겉모양은 투박하고 안쪽은 매끄러우며, 흑갈색을 띠는게 보통이다.
중부 지방과 동해안 지방의 뚝배기 모양의 차이는 빗살무늬토기에서 민무늬토기로 이어진 시대의 바리형토기 유물에 있는 기형의 차이와 흡사하다.[5]
뚝배기는 제작과정과 용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모두 구운 후 유약처리를 때문에 외관상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가격 또한 비슷하다.
뚝배기의 사용은 천천히 열을 올려 익히거나, 오랜 시간 동안 푹 고아야 하는 요리에 적합하다.
반면, 강불에 급히 열을 올려야 하는 요리나, 물기가 없는 요리를 할 때에는 뚝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뚝배기가 가열된 상태에서 찬물을 붓거나 내용물이 없는데 불을 켜서 달구면 뚝배기가 갈라지거나 깨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뚝배기에 요리할 때는 용기를 사용하기 전에 물을 담가두어 금이 가는 것을 막는 것이 안전하다. 조리 과정에서 처음부터 강한 불을 사용하는 것은 뚝배기의 수명에 좋지 않으며, 내용물이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약한 불로 조리해야 물이 넘치거나 타지 않는다.
새 뚝배기를 보관할 때는 뚝배기에 식용유를 바른 후 물을 70%정도 붓고 약한 불에서 센 불로 끓여주면 내구성이 좋아진다. 또한 뚝배기를 사용한 후에는 깨끗하게 닦고, 그늘에 반나절 정도 말려서 보관해야 한다. 자주 사용하는 뚝배기는 그 안에 물을 담아두는 것이 좋고, 오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비치하는 것이 좋다. 뚝배기에 곰팡이가 슬었다면 물에 담가 두었다가 세척한 후 쌀뜨물을 받아 끓여서 햇볕으로 말려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뚝배기는 ‘숨을 쉬는 그릇'으로 용기 사이사이에 틈이 존재한다. 따라서 일반 세제로 세척하게 되면 세제성분이 그릇에 베어 조리시 세젯물이 나올 수 있으므로 쌀뜨물, 베이킹 소다, 밀가루, 귤껍질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편이 좋다.
뚝배기는 용기가 고온을 유지하기 때문에 뚝배기 받침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받침은 멜라민 소재와 나무 소재의 두 종류가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멜라민 소재 받침은 개당 600~700원, 나무 소재는 개당 3천원 정도로 판매된다. 일부 식당에서는 받침을 사용하지 않고, 테이블에 스테인리스 덧대를 사용하여 받침 없이 뚝배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어에서 쓰는 관용어구 중 뚝배기라는 단어가 포함된 것은 다음과 같다.[7][8]
(예문) 원체가 곰처럼 주변머리가 없고, 무뚝뚝한 성격인데다, 새파란 것들이 수염까지 건드리며, 동무 어쩌고 방정을 떠는 것이 몹시 쏘였던지 말이 뚝배기 깨지는 소리였다. -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같은표현>독 깨고 장 쏟는다.
<같은표현>꾸러미에 단 장 들었다, 장독보다 장맛이 좋다.
(예문) "핫핫핫, 개천에서 용 났네 그래." "툭사발이보다 장맛이 났구마는....." 학부형들은 노골적으로 비아냥거리기 시작했고, 다소 실망하는 눈치들도 엿보였다. - 김춘복 <쌈짓골>
<같은표현>우마가 기린 되랴.
(예문) 뚝배기로 개패듯 했던 아까 할아버지의 고함소리가 귓가에 살아왔다. - 송기숙 <도깨비 잔치>
(예문) "한놈이라도 나가는 놈이 잇기만 해봐!" 영감은 뚝배기로 개 팬 소리로 산을 쩡쩡 울렸다. -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예문) "... 첨에는 뚝배기로 개어르는 상판이더라마는, 내가 하도 쥐앙정을 읽어싼께 그런가 으짠가, 요새는 그런 소리를 해도 잠잠한 것이 누그러진 성부르다..." -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예문) "... 해도 방불해사제 밑구녁까지 폴아서 사내놈들 맥애살리는 사당패가 멋이 좋다고 거그서 안 나오겄다고 버티냐 말이여. 문둥이떼는 그래도 밑구녁은 안 폰다." 막똥이는 뚝배기에 든 두꺼비처럼 멍청한 표정으로 뇌었다. - 송기숙 <녹두장군>
한국에서 뚝배기 하면 흔히 떠올리곤 하는 "한 뚝배기 하실래예?"라는 문장은 로버트 할리가 등장한 쌀국수 뚝배기 CF에서 유래한다. 본래부터 한국에 존재하는 속담이나 표현이 아닌 것으로 로버트 할리의 CF가 인터넷 상에서 급속도로 번지며 한국인의 귀에 낯익게 되었다. 이 CF에서의 "한 뚝배기 하실래예?"라는 대사는 수많은 패러디 컨텐츠를 양산하였으며, 특별한 뜻을 지니지는 않는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