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각료는 1919년 4월 11일부터 1948년 7월 22일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복무하였던 각료들의 명단이다. 부서장은 부장 혹은 총장이라 하였고, 부서의 부부서장은 차장으로 호칭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조선 시대의 6조 판서와 자신들의 직위를 비교하여 내무부장/내무총장의 경우 내무대신이라는 별칭을 사용하기도 했다.
외무부
- 외무부장(외무총장->외무부장)
- 김규식 1919년 4월 10일 - 1919년 9월 11일, 8월~9월 구미위원부 위원장 겸임
- 박용만(朴容萬) 1919년 9월 11일 - 1920년 4월
- 정인과(鄭仁果)(대리) 1920년 3월 20일 - 1920년 8월 26일 겸 외무차장
- 정인과(鄭仁果)(대리) 1920년 8월 27일 - 1920년 7월 31일 겸 외무차장
- 이동휘(李東輝) 1920년 7월 31일 - 1920년 9월 27일, 겸직
- 신익희 (대리) 1920년 9월 27일 - 1920년 11월 30일, 겸 외무차장
- 신익희 (대리) 1920년 12월 1일 - 1921년 5월 7일, 겸 외무차장
- 이희경(李喜儆) (대리) 1921년 5월 7일[6] - 1921년 5월 26일, 겸 외무차장 겸 임시회계검사원
- 이희경(李喜儆) (대리) 1921년 5월 26일 - 1921년 6월 7일, 겸 외무차장
- 신규식 1921년 5월 26일 - ?, 법무차장, 총리대리, 임시대리 겸직
- 신규식 1922년 3월 30일 - , 겸 법무총장
- 조소앙 1922년 9월 - 1924년 12월 17일
- 이규홍(李奎洪) 1924년 12월 17일 - 1925년 3월 12일, 재무부 총장 겸직
- 김철 1925년 3월 13일 - 1925년 3월 26일
- 이규홍(李奎洪) 1925년 3월 27일 - 1925년 7월 7일, 재무부 총장 겸직
- 조소앙 1925년 7월 8일 - 1926년 7월 7일
- 홍진(洪震) 1926년 7월 7일 - 1926년 9월 26일
- 홍진(洪震) 1926년 9월 27일 - 1926년 12월 14일 : 국무령으로 겸임
- 이규홍(李圭洪) 1926년 12월 9일 - 1927년 3월
- 이규홍(李圭洪) 1927년 3월 - 1927년 4월 11일
- 오영선 1927년 8월 19일 - 1930년 6월 6일[7]
- 조소앙 1930년 6월 6일[7] ~ 1930년 8월 3일
- 조소앙 1930년 8월 4일 - 1930년 11월 18일
- 조소앙 1930년 11월 18일 - 1932년 5월 14일
- 조소앙 1932년 5월 15일 - 1933년 3월 6일[2]
- 신익희 1933년 3월 6일[2] - 1933년 6월 22일
- 김규식(金奎植) 1933년 6월 22일[2] - 1934년 1월 3일[3]
- 김규식(金奎植) 1933년 1월 4일[3] - 1933년 12월 30일
- 김규식(金奎植) 1933년 12월 31일 - 1935년 9월 1일
- 김구 1935년 11월 2일 - 1936년 11월 10일, 겸직
- 김구 1936년 11월 10일 - 1939년 10월 23일
- 조소앙(趙素昻) 1939년 10월 23일 - 1940년 10월 9일
- 조소앙(趙素昻) 1940년 10월 9일 - 1944년 4월 21일
- 조소앙(趙素昻) 1944년 4월 22일 - 1948년 8월 15일
학무부
학무부는 교육부와 같은 역할이다.
- 학무부차장
- 이규홍 1919년 11월 14일 -
- 이규희(李圭熙) 1920년 1월 15일 - 1920년 1월 27일, 내무부 차장 임시 겸직
- 이춘숙(李春塾) 1920년 1월 28일 - 1920년 2월 16일, 겸 군무부차장 서리
- 김인전(金仁全) 1921년 5월 7일 - 1921년 5월 26일, 겸 총장대리, 직전 재무부비서국장, 임시공채관리국장 역임
- 김인전(金仁全) 1921년 5월 26일 - , 겸 총장대리
- 김인전(金仁全) 1922년 3월 30일 - , 겸 총장대리
- 김승학(金承學) 1924년 5월 15일 - 1924년 12월 17일, 5월 31일부터 총장대리 겸직
- 유흥식(柳興湜) 1943년 3월 4일 - 1943년 5월 24일
- 김상덕(金尙德) 1943년 5월 25일 - 1945년 3월 19일, 6월 1일 취임, 6월부터 문무부 차장 겸직
노동국
노동국은 내무부 산하기관이다. 노동국의 장은 총판으로 내무부장, 내무차장의 예하였다.
경무국
경무국은 임시정부를 경호하는 기관으로 경찰청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군무부
군무부는 국방부와 같은 역할로 독립군과 한국 광복군 양성을 주관했다.
- 군무부장(군무총장->군무부장)
- 이동휘(李東輝) 1919년 4월 10일 - 1919년 4월 23일(군무총장)
- 노백린(盧伯麟) 1919년 4월 23일 - 1919년 9월 11일(군무총장)
- 노백린(盧伯麟) 1919년 9월 11일 - 1920년(군무부장)
- 김희선(金義善) (대리) 1920년 3월 20일 - 1920년 8월 27일, 겸 군무총장대리
- 김희선(金義善) (대리) 1920년 8월 27일 - 1920년 11월 15일, 겸 군무총장대리 겸 무관학교장
- 이동휘(李東輝) 1920년 11월 15일 - 1921년 2월 4일
- 이동휘(李東輝) 1921년 3월 31일 - 1921년 5월 26일
- 노백린(盧伯麟) 1921년 5월 26일 - 1921년
- 노백린(盧伯麟) 1922년 3월 30일 - ?
- 유동열(柳東說) ? - 1924년 4월 16일
- 이동녕(李東寧) 1924년 6월 2일 - 1924년 12월, 겸 국무총리
- 정윤(鄭潤) (대리) 1924년 9월 22일 - 1924년 12월 17일, 군무부 차장 겸직
- 노백린(盧伯麟) 1924년 12월 17일 - 1925년 3월, 교통부 총장 겸직
- 노백린(盧伯麟) 1925년 3월 24일 - 1925년 7월 7일, 교통부 총장 겸직
- ?
- 오영선(吳永善) 1926년 12월 9일 - 1927년 3월
- 오영선(吳永善) 1927년 3월 - 1927년 4월 11일
- 김철 1927년 8월 19일[7] - ?
- 박용만 ? - 1928년 10월 16일, 1928년 10월 16일 박인식(朴仁植), 이해명(李海鳴) 외 1인에게 사살(암살)당함
- 김철(金澈) 1928년 10월 16일 - 1928년 10월 23일(군무부장 임시대리)
- 김철(金澈) 1928년 10월 23일 - 1930년 11월 18일(군무부장)
- 김철(金澈) 1930년 11월 18일[1] - 1932년 5월(군무총장), 재무부장 겸직
- 김구(金九) 1932년 5월 - 1930년 8월 4일(군무총장)
- 류동렬(柳東說) 1930년 8월 4일 - 1932년 5월 15일(군무총장)
- 김구(金九) 1932년 5월 15일 - 1933년 3월 6일[2](군무부장)
- 윤기섭(尹琦燮) 1933년 3월 6일[2] - 1933년 12월 31일(군무부장 임시대리)
- 윤기섭(尹琦燮) 1933년 12월 31일 - 1934년 1월 3일[3](군무부장 임시서리)
- 윤기섭(尹琦燮) 1934년 1월 3일[3] - 1934년 9월 20일(군무부장)
- 이청천(李靑天) 1934년 9월 20일 - 1934년 10월 31일(군무부장 임시대리)
- 류동렬(柳東說) 1934년 10월 31일 - 1935년 9월 1일(군무부장)
- 조성환(曹成煥) 1935년 11월 2일 - 1936년 11월 10일(군무부장)
- 조성환(曹成煥) 1936년 11월 10일 - 1939년 10월 23일(군무총장)
- 이청천(李靑天) 1939년 10월 23일 - 1940년 10월 9일(군무총장)
- 조성환(曹成煥) 1940년 10월 9일 - 1942년 10월 29일(군무총장)
- 김원봉(金元鳳) 1942년 10월 29일 - 1944년 4월 22일(군무부장)
- 김원봉(金元鳳) 1944년 4월 22일 - 1946년 2월 14일(군무총장), ; 1946년 2월 14일, 임정 탈퇴
- 조성환(曹成煥) 1946년 2월 14일 - 1948년 8월 15일(군무부장)
- 군무부차장
- 1. 조성환(曹成煥) 1919년 4월 10일 - 1919년 4월 23일[4]
- 김희선(金義善) 1919년 4월 23일 - 1919년 8월 5일
- 이춘숙(李春塾) 1919년 8월 5일 - 1920년 3월 19일
- 김희선(金義善) 1920년 3월 20일 - 1920년 8월 27일, 겸 군무총장대리
- 김희선(金義善) 1920년 8월 27일 - 1920년 11월 15일, 겸 군무총장대리 겸 무관학교장
- 이춘 1919년 8월 5일 - 1919년 9월
- 김희선(金義善) 1919년 9월 - 1920년 2월 8일
- 이춘숙(李春塾) (임시서리) 1920년 1월 28일 - 1920년 2월 8일, 학무부 차장 겸직
- 김희선(金義善) 1920년 2월 9일[10] - 1920년 11월 15일[11] 겸 군무총장대리, 육군무관학교장
- 이춘숙(李春塾) 1920년 1월 28일 - 1920년 8월 27일, 겸 학무부차장
- 김희선 1920년 8월 27일 - ,겸 군무총장대리
- 윤기섭(尹琦燮) 1921년 5월 7일 - ?, 겸 군무부임시 편집위원장
- 정윤(鄭潤), 1924년 9월 22일 - 1924년 12월 17일, 총장대리 겸직
- 이춘숙(李春塾) ? - 1927년 12월 2일, 12월 2일 조선총독부에 의해 체포됨
- 조성환 1939년 10월 23일 - 1940년 10월 9일, 무임소부장 겸직
- 윤기섭 1943년 3월 4일 -
- 김홍일(金弘壹) 1944년 6월 - 1945년,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참모장 겸직
- 김홍일(金弘壹) 1945년 -
감찰위원회
감찰위원회는 국무회의를 감찰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생계부
생계부는 당시 중경지역의 동포들의 생계를 담당하던 부서였다.
구미외교위원부
구미외교위원부는 임시정부의 주미대사와 유럽의 외교관계를 담당하는 기관이었다. 1925년 위원장 이승만 탄핵과 함께 폐지령이 내려졌으나 이승만은 이를 독자적으로 운영하였다. 1941년 김구가 주석으로 취임하여 이승만을 위원장으로 재선임함으로써 다시 공인되었다.
파리위원부
파리위원부는 임시정부의 유럽대표부로, 구미위원부 창립 뒤에는 구미위원부에 편입되어 예하 주불대표부, 유럽대표부 등으로 부른다.
국무위원
각부의 부장(총장), 차장은 국무위원을 겸임. 기타 국무위원
1932년 일본 영사관의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습격으로 정무, 군사, 예산, 회의자료, 인사임면기록 일부를 압수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