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ove ad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수학에서 다중로그(多重log, 영어: polylogarithm 폴리로거리듬[*]) 또는 폴리로그는 로그를 일반화한 특수 함수이다.
이중로그는 17세기부터 수학계에 등장하기 시작하였다.[1] 존 랜던(영어: John Landen)은 이중로그에 대한 랜던 항등식을 1760년 증명하였다. 레온하르트 오일러와 닐스 헨리크 아벨은 이중로그에 대한 아벨 항등식을 1826년에 증명하였으나, 이 논문은 사후에 1881년에야 출판되었다.[2]
일반적인 다중로그는 종키에르(프랑스어: A. Jonquière)가 1889년 다루었다.[3] 이 때문에 다중로그는 종키에르 함수라고 불리기도 한다.
임의의 복소수 와 인 복소수 에 대하여, 다중로그 는 다음과 같은 급수로 정의된다.
이는 모든 에 대하여 해석적 연속으로 정칙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 극점이나 본질적 특이점은 존재하지 않지만, 일부 에서는 분지절단을 갖는다. 이 경우 분지점은 과 이며, 통상적으로 1 이하의 실수에 대하여 분지절단을 가한다.
인 경우 이중로그(二重log, 영어: dilogarithm), 인 경우 삼중로그(三重log, 영어: trilogarithm) 따위의 이름을 사용한다.
정의에 따라, 인 경우 다중로그는 단순히 리만 제타 함수이다.
마찬가지로, 인 경우 다중로그는 디리클레 에타 함수이다.
다중로그의 도함수는 낮은 차수의 다중로그로 주어진다. 이는 급수 정의로부터 쉽게 유도된다.
1중로그는 다음과 같이 (통상적) 로그로 주어진다. (이 때문에 ‘다중로그’라는 이름이 붙었다.)
도함수 공식을 사용하여, 0 이하의 정수 차수의 다중로그는 다음과 같이 유리 함수임을 증명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제2종 스털링 수이다.
다중로그는 다음과 같은 적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적분들은 통계역학에서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와 페르미-디랙 통계를 다룰 때 등장한다. 보스-아인슈타인 적분 표현은 다음과 같다.
페르미-디랙 적분 표현은 다음과 같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