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일제 강점기의 김화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화군(金化郡)은 일제강점기 강원도의 행정 구역이다.[1] 구한말에는 한탄강 수계의 김화군과 북한강 수계의 금성군으로 나뉘어 있었다.
1945년 광복 당시에는 1읍·11면(김화읍, 서면, 근남면, 근북면, 근동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 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함으로써 김화군 전 지역이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한국 전쟁의 결과 군역이 남북으로 분단되었고, 군사분계선 이남의 김화군(김화읍, 서면, 근남면과 근북·근동·원남·원동·임남면의 남쪽 일부)은 1963년 1월 1일에 대한민국 철원군에 합쳐져 철원의 김화 지역으로 불린다.
군사분계선 이북의 김화군은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때 창도군으로 되었다가 1954년에 대부분이 김화군으로 복군되었고, 2001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하여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전에 김화군이었던 지역(옛 방통리 제외)이 평강군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2020년 10월 2일 조선중앙텔레비죤의 김정은 위원장 김화군 시찰보도에서 김화군의 관할구역이 2001년 개편 직전으로 돌아간 사실이 확인된다. 또한 다른 날 다른 북조선 매체의 기사에서 기산리에서 아홉명의 자식을 낳은 송금숙의 거주지를 평강군 기산리로 명기하고 있어[2], 2001년 개편 자체가 무효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군사분계선 이북의 김화 지역은 김화군으로 환원된 근북 근동 일대, 계속 김화군에 잔류한 금성 일대, 창도군 등으로 나뉘어 있다.
1914년 | 현재 | ||
---|---|---|---|
면 | 리 | 읍·면 | 리 |
군내면[10] (郡內面) | 읍내리, 생창리, 암정리, 운장리, 용양리, 학사리, 감봉리 | 철원군 김화읍 | 읍내리, 생창리, 암정리, 운장리, 용양리, 학사리, 감봉리 |
근남면[11] (近南面) | 풍암리, 양지리, 사곡리, 육단리, 잠곡리, 마현리 | 철원군 근남면 | 풍암리, 양지리, 사곡리, 육단리, 잠곡리, 마현리 |
근동면[12] (近東面) | 광삼리 대부분, 방통리 대부분 | 철원군 근동면 | 광삼리, 방통리 |
하소리, 교전리, 광삼리 일부 | 김화군 | 근동리 | |
수태리, 아침리 | 수태리 | ||
방통리 일부 | 김화군 | 구봉리 일부 | |
근북면[13] (近北面) | 유곡리, 율목리, 백덕리, 금곡리 | 철원군 근북면 | 유곡리, 율목리, 백덕리, 금곡리 |
건천리, 두촌리 | 김화군 | 건천리 | |
산현리,성암리 | 성산리 | ||
서면 (西面) | 자등리, 와수리 | 철원군 서면 | 자등리, 와수리 |
청양리, 도창리 | 철원군 김화읍 | 청양리, 도창리 | |
금성면[14] (金城面) | 매회리, 탑거리 | 평강군 | 탑거리 |
경파리, 방충리, 상리, 후천리, 원동리 | 김화군 | 김화읍 | |
초서리, 별양리, 어천리 | 초서리 | ||
원남면[15] (遠南面) | 주파리, 진현리 일부, 죽대리 일부, 노동리 일부 | 철원군 원남면 | 주파리, 진현리, 죽대리, 노동리 |
경상리, 개야리, 남둔리, 노동리 일부, 죽대리 일부 | 김화군 | 원남리 | |
구룡리, 월봉리, 풍동리, 진현리 일부 | 구봉리 | ||
백양리 | 평강군 | 수태리 일부 | |
원동면[16] (遠東面) | 세현리 일부, 등대리 일부 | 철원군 원동면 | 세현리, 등대리 |
장연리 | 김화군 | 김화읍 일부 | |
용연리, 송실리, 세현리 일부, 등대리 일부 | 룡현리 | ||
방평리, 율사리 | 원동리 | ||
원북면[17] (遠北面) | 추의리 , 법수현리 | 김화군 | 신풍리, 법수리 |
고대리, 탄감리 | 신창리 | ||
당현리, 감천리 일부 | 당현리 | ||
고직리, 감천리 일부 | 원북리 | ||
임남면 (任南面) | 수동리 일부 | 철원군 임남면 | 수동리 |
달전리, 상판리, 좌패리, 두목리, 노남리, 사천리 | 김화군 | 상판리 | |
과호리, 어운리, 수동리 일부 | 어호리 | ||
봉잔리, 면천리 | 금강군 | 오천리 일부 | |
기오면[18] (岐梧面) | 유창리, 창도리, 득사리 | 김화군 | 창도리 |
학방리 | 학방로동자구 | ||
성현리 일부 | 회양군 | 송포리 일부 | |
도성리, 성현리 일부, 기성리 일부 | 창도군 | 성도리 | |
대백리 일부, 방성리 | 판교리 | ||
대백리 일부, 회현리, 성현리 일부 | 대백리 | ||
기성리 일부 | 신성리 | ||
통구면 (通口面) | 통현리, 장안리, 화평리, 화사리 일부, 도파리 | 장현리 | |
당평리, 보막리, 삼태리, 현리, 화사리 일부, 북둔리 | 당산리 | ||
광복 당시의 행정구역 기준으로, 원래의 김화읍, 근남면, 서면의 1읍 2면은 완전한 대한민국령이다. 근동면, 근북면,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의 5개면은 남북으로 분단되어 있으며, 금성면, 원북면, 창도면, 통구면의 4개면은 전체가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다. 금성면은 현재 북강원도 김화군의 김화읍이 되어 있다.
읍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김화읍(金化邑) | 48.02 | 7 | 읍내(邑內) 암정(巖井) 생창(生昌) 운장(雲長) 용양(龍楊) 학사(鶴沙) 감봉(甘鳳) |
근남면(近南面) | 23.79 | 6 | 사곡(沙谷) 육단(六丹) 잠곡(蠶谷) 마현(馬峴) 풍암(豊巖) 양지(陽地) |
근동면(近東面) | 94.8 | 6 | 교전(橋田) 광삼(光三) 방통(芳通) 하소(下所) 아침(牙沈) 수태(水泰) |
근북면(近北面) | 98.72 | 8 | 두촌(斗村) 금곡(金谷) 백덕(柏德) 유곡(楡谷) 율목(栗木) 건천(乾川) 성암(城巖) 산현(山峴) |
금성면(金城面) | 112.24 | 9 | 방충(芳忠) 상(上) 후천(後天) 경파(慶坡) 초서(初西) 어천(漁川) 탑거(塔距) 별양(別陽) 매회(梅檜) |
서면(西面) | 121.93 | 4 | 청양(淸陽) 와수(瓦水) 자등(自等) 도창(道昌) |
원남면(遠南面) | 163.76 | 11 | 개야(開野) 경상(慶祥) 주파(注波) 죽대(竹垈) 남둔(南屯) 노동(蘆洞) 풍동(楓洞) 진현(榛峴) 월봉(月峰) 백양(白楊) 구룡(九龍) |
원동면(遠東面) | 155.71 | 7 | 장연(長淵) 방평(芳坪) 용연(龍淵) 율사(栗沙) 송실(松室) 세현(細峴) 등대(登大) |
원북면(遠北面) | 180.55 | 7 | 추의(鄒儀) 고대(高垈) 법수원(法首院) 당현(堂峴) 감천(甘泉) 고직(古直) 탄감(炭甘) |
임남면(任南面) | 197.39 | 11 | 사천(泗川) 노남(魯南) 봉잔(烽棧) 좌패(佐佩) 면천(綿川) 두목(杜木) 상판(上板) 달전(達田) 과호(科湖) 어운(漁雲) 수동(水洞) |
창도면(昌道面) | 131.9 | 10 | 창도(昌道) 유창(楡昌) 득사(得寺) 학방(鶴芳) 방성(芳城) 기성(岐城) 도성(桃城) 성현(城峴) 회현(灰峴) 태백(太白) |
통구면(通口面) | 124.61 | 10 | 현(縣) 화사(化泗) 도파(桃坡) 화평(花坪) 통현(通縣) 장안(長安) 북둔(北屯) 보막(寶幕) 당평(堂坪) 삼대(三臺)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