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시권
중심 도시 및 그 영향을 받는 지역을 하나로 묶은 지역의 집합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도시권(都市圈)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주변의 군소 도시들과 함께 마치 하나의 도시와 같은 성격을 나타내는 인구 과밀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다. 메트로폴리탄[1](metropolitan)이라고도 한다.


대도시권의 가장 큰 원동력은 하나의 거대 경제 생활권에 있다. 대도시에 공통된 경제 중심지가 형성되고, 주변의 소도시들은 위성 도시로서의 역할을 하며, 교통이 하나로 잘 연결되어 도시권 내에서 경제 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이동이 활발하다.[2][3]
세계에서 가장 큰 대도시권은 일본의 도쿄 대도시권(약 3,814만 명)이다. 두 번째는 중국의 상하이 대도시권(약 3,400만 명)[4]이고, 세 번째는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대도시권(약 3,150만 명)[5], 네 번째는 인도의 델리 대도시권(약 2,720만 명)[6]이다. 대한민국의 서울 대도시권(약 2,560만)은 중국의 베이징 대도시권, 광저우 대도시권과 함께 세계 5위권이며, 그 다음은 필리핀의 마닐라, 미국의 뉴욕, 인도의 뭄바이 대도시권이다.
Remove ads
거대도시
거대도시(巨大都市, Metropolis, 메트로폴리스)는 대도시권과 비슷한 개념이긴 하나 대도시권이 두 개 단위 이상의 개별 도시가 연결되어 형성한 권역이라 한다면 거대도시는 거대한 권역을 차지하는 하나 단위의 도시를 말한다. 한편 거대도시는 영어로 메트로폴리스 외에 메가시티(Megacity)로도 불린다.[7][8]
초거대도시
초거대도시(超巨大都市, Megalopolis, 메갈로폴리스)는 둘 이상의 대도시권이 서로 인접하여 생성한 더 큰 범위의 도시, 또는 도시권을 말한다. 한편 초거대도시는 영어로 "메갈로폴리스" 외에 "메트로플렉스"(Metroplex, Metropolitan Complex의 줄임말)로도 불린다.[9][10]
아시아의 주요 대도시권
대한민국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하여 인근의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이에 연접한 충청남도 천안시-아산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원주시를 잇는 수도권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하여 인근의 경상남도 김해시, 양산시와 이에 연접한 창원시, 울산광역시를 잇는 부울경 광역도시권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하여 인근의 경상북도 칠곡군, 경산시와 이에 연접한 구미시-김천시, 영천시-경주시-포항시를 잇는 대구경북 광역도시권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하여 인근의 충청남도 계룡시,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와 이에 연접한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대전세종청주 광역도시권
( 부산, 대구, 대전지역은 이름만 광역..)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대만)
인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Jakarta)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튀르키예
유럽의 주요 대도시권

영국
프랑스
독일
- 뒤셀도르프 (Düsseldorf) - 뒤스부르크(Duisburg) - 도르트문트(Dortmund) - 에센(Essen) - 보훔(Bochum)
- 베를린(Berlin) - 포츠담(Potsdam)
-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Frankfurt am Main) - 비스바덴(Wiesbaden) - 마인츠(Mainz) - 다름슈타트(Darmstadt)
- 슈투트가르트(Stuttgart) - 하일브론(Heilbronn) - 로이틀링겐(Reutlingen)
- 뮌헨(München) -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 - 프라이징(Freising)
- 함부르크(Hamburg) - 니더작센(Niedersachsen) - 슐레스비히-홀슈타인(Schleswig-Holstein)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Remove ads
북아메리카의 주요 대도시권


캐나다
미국
멕시코
남아메리카의 주요 대도시권
브라질
아르헨티나
- 그란 부에노스아이레스(Gran Buenos Aires)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칠레
- 산티아고(Santiago)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오세아니아의 주요 대도시권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