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국제 무역에서 교역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세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관세(關稅)는 국제 무역에서 교역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세금이다. 관세는 수입국이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인 보호 무역 정책이다. 교역품에 세금을 부과하고 수출입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곳을 세관이라 한다.
관세란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이다. 관세는 보호관세와 재정 관세로 구분된다. 재정관세는 후진국에서 재정수입을 확보하는 비교적 용이한 재원으로서 수입품에 과세(課稅)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물론 선진국에서도 재정관세가 이용되지 않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관세는 보호관세로서 사용되고 있다. 보호관세는 국제 경쟁력이 없는 국내 산업 부문이 외국 상품의 수입에 의하여 직접, 간접으로 현저한 타격을 입지 않도록 할 목적으로 실시된다. 그러나 무역 참가국이 자국의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대폭적으로 또 광범위하게 관세를 부과하면 여러 가지의 폐해가 생긴다. 첫째로 상호관세를 상치시켜 상대국의 수출을 억압하면 국제무역은 점차로 한정되어 국제 분업의 이익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 둘째로 국내의 생산자나 소비자는 관세분(關稅分)만큼 높은 원자재나 소비재를 구입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생산물의 코스트가 그만큼 많이 먹히고 국제 경쟁력이 저하되든지 소비자의 생계비가 상승하여 임금 인상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관세의 종류에는 먼저 종가세(從價稅)와 종량세(從量稅)가 있다. 종가세는 수입품 가격을 기준으로 관세액을 정하는 것으로, 수입품 가격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중요하다. 이에 대해 종량세는 수입품의 수량을 과세의 기준으로 한다. 종량세는 수출국에 따라 가격차가 큰 경우나 수송비 부담의 영향이 큰 경우, 수입품의 품질이 균등하다면 저가(低價) 수입품에 대하여 희망하는 관세를 부과할 수가 있다. 종가세와 종량세를 혼용(混用)하는 관세로 혼합 관세가 있다. 이에는 종가세와 종량세의 어느 쪽이든 세액이 높은 것을 택하는 선택 관세와 양자를 동시에 부과하는 복합 관세가 있다. 혼합 관세는 단가가 싼 중소기업의 제품을 외국의 경쟁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흔히 잘 채용된다. 다음으로 관세 할당제도가 있다. 이것은 수입 제한과 관세 정책의 복합물과 같은 것인데, 일정한 상품의 국내 필요량 중, 국내 공급 능력이 있는 부분에는 높은 관세율을 부과하고, 나머지는 수입 필요량으로서 낮은 세율이 부과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국정 세율과 협정 세율의 구분이다. 국정 세율은, 전 수입 품목에 대해 장기의 기본적 세율을 규정하는 기본 세율과, 일부 품목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기본 세율을 수정하여 일정기간 기본 세율로 바꾸어 적용시키는 잠적 세율로 구분된다. 다음에 협정 세율은 어떤 나라들 사이에 무역을 확대할 목적으로 일부 품목에 대하여 상호 유리한 관세율을 조약에 따라 협정한 것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 가트(GATT)에 세계 태반의 나라들이 가맹하고 있는 상태로는 협정 세율은 법률적으로 가트 가맹의 모든 나라들에 적용시키는 것이 되므로 원칙적으로 협정 세율은 가트 세율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트의 규정에 따른 유리한 세율을 약속한 것을 양허 세율(讓許稅率)이라 하고 이의 인상에는 귀찮은 구속이 부과되어 있다. 협정 세율은 가트 비가맹국의 경우에도 상대국이 우리 나라에 관세의 최혜국대우(最惠國待遇)나 무차별 대우를 협정하고 있으면 실제로 적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협정을 하지 않아도 상대국이 실질상 이와 같은 대우를 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대국에 협정 세율의 범위내에서 유리한 세율이 적용된다. 이것을 편익 세율(便益稅率)이라 하는데, 실행 세율로서는 첫째로 협정 세율이, 다음에 잠정 세율이, 최후에 기본 세율이 적용된다.
수입품에 부과 되는 관세는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1]
특혜관세(特惠關稅, Preferential Tariff))는 어떤 나라(특히 저개발국)로부터의 수입품에 대하여 타국에서의 수입품에 부과하는 것보다도 특별히 낮은 세율(또는 무관세)로 부과하는 관세제도를 말한다.
과거 식민지국과 본국간의 식민지 특혜관세 제도가 있는데, 지금도 EU의 ACP국가나 지중해 연안국가에 대한 특혜나 미국의 카리브해 연안국가에 대한 특혜관세제도 등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특혜관세는 1970년대 이후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들의 상품에 대하여 시행하는 일반특혜관세제도(GSP)이다. 또한 1989년 범개발도상국간 특혜무역제도(GSTP) 협정의 발효에 따라 개도국간 관세상의 특혜제도도 있다.
대항관세(對抗關稅)는 상대국이 그 나라의 산업보호 기타 특수한 사정을 명분으로 삼아 긴급관세 제도를 실시했을 경우, 이에 대항하기 위해서 그 상대국으로부터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의 인상을 말한다.
외국으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사용하거나 유통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수입상은 세관에 수입품목을 신고하고 관세를 포함한 정해진 세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수입품을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하여 국내로 반입하는 것을 통관이라 한다. 다음은 일반적인 통관 절차이다.[2]
오른쪽의 수요 공급 그래프에서 보여주는 특정 상품의 세계 가격은 50 달러이고 수입전 국내 가격은 완전 경쟁 상태라 할 때 70 달러이다. 60 달러 선은 세계 가격에 관세 10 달러를 부과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세의 경제적 효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4]
관세는 대표적인 보호 무역 정책이다. 자유 무역 정책과 보호 무역 정책은 상충되는 통상 정책으로 많은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신자유주의를 기반으로 한 자유 무역 협정은 관세와 같은 보호 무역 정책의 철폐를 위해 이루어지는 무역 협정이다. 이들은 비교우위론을 근거로 자유 무역을 옹호한다. 그러나, 장하준과 같은 경제학자들은 신자유주의의 자유 무역이 선진국의 이익만을 옹호한다고 비판한다.[5]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