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가요대축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KBS 가요대축제》는 대한민국KBS 예능본부에서 매년 12월 셋째주 금요일에 개최하는 연말 특집 가요 프로그램이다.

간략 정보 주최, 장소 ...
KBS 가요대축제
주최KBS 예능본부
장소서울 여의도 KBS홀
나라대한민국
첫 시상2006년
텔레비전 방영
방송사KBS 2TV
KBS WORLD (전세계)
시간매년 12월 셋째주 금요일
닫기

개요

1965년 신설된 《TBC 방송가요대상》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후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TBC가 KBS로 인수 합병되면서 1981년KBS 가요대상》으로 교체되었다.

언론통폐합 이후 KBS 1TV를 통해 매년 12월 30일에 방송되었으나, KBS 1TV의 채널에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를 했다. 1994년 12월 30일부터는 KBS 2TV를 통해 방송되었다.[1]

1986년까지는 남자가수상과 여자가수상을 선정하였으며, 1987년부터 한 팀의 가수만이 대상을 받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본 시상식은 2005년까지 매년 개최되었다. 그러나 심사 기준이 애매모호하고, 2003년2004년 시상식 결과가 불공정하다는 이유로,[2] 2006년부터 《KBS 가요대축제》로 이름을 바꾸고, 특정 가수에게 특정 상을 시상하는 시상식의 형태는 모두 폐지되었다.

시상식 폐지 이후 2007년에는 남성팀과 여성팀이 대결을 펼쳤었고, 2009년부터 시청자들의 문자 투표에 의한 시청자가 뽑은 최고 인기 가요상을 선정해 그 해의 인기가수에게 시상을 하다가 2012년에 폐지한 후, 2013년부터 다시 올해의 노래상으로 명칭을 바꾸어 100% 투표를 통해 올해의 인기가요상을 2013년까지 시상하였다.

역대 공식 MC

자세한 정보 개최년도, 부제목 (서브 타이틀) ...
개최년도부제목 (서브 타이틀)MC장소비고
KBS 가요대축제
2006년 빈칸 한석준, 황수경 여의도 KBS홀
2007년 한석준, 황수경, 손범수
2008년 한석준, 황수경, 박사임
2009년 한석준, 황수경, 김경란
2010년 한석준, 박은영, 전현무
2011년 이휘재, 박사임, 전현무
2012년 성시경, 윤아 (소녀시대), 정용화 (씨엔블루)
2013년 이휘재, 수지 (미쓰에이), 윤시윤
2014년 이휘재, 윤아 (소녀시대), 택연 (2PM)
2015년 이휘재, 하니 (EXID), 택연 (2PM) 고척 스카이돔
2016년 박보검, 설현 (AOA) 여의도 KBS홀
2017년 1부 : 아이린 (레드벨벳), 사나 (트와이스), (방탄소년단), 찬열 (EXO)
2부 : 민규 (세븐틴), 예린 (여자친구), 강다니엘, 솔라 (마마무)
2018년 다현 (트와이스), (방탄소년단), 찬열 (EXO)
2019년 신동엽, 아이린 (레드벨벳), 진영 (GOT7) 일산 킨텍스
2020년 CONNECT 유노윤호 (동방신기), 차은우 (아스트로), 신예은 여의도 KBS홀
2021년 WITH 차은우 (아스트로), 설현 (AOA), 로운
2022년 Y2K 나인우, 김신영, 장원영 (IVE) 잠실실내체육관
2024년 글로벌 페스티벌 지코 (블락비), 장원영 (IVE), 김영대 일산 킨텍스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2023년 빈칸 PART1 : 로운, 장원영 (IVE)
PART2 : 로운, 이영지, 고민시
PART1 : 여의도 KBS홀
PART2 : 일본 사이타마현 베루나 돔
UHD급 초고화질로 방송(녹화 실황 중계)
2024년 빈칸 신예은, 문상민, 홍은채 (LE SSERAFIM) 일본 후쿠오카 PayPay 돔 녹화 실황 중계
닫기

타이틀 변천사

현재 타이틀은 2024년을 기준으로 한다.

자세한 정보 역대 (대수), 타이틀 ...
역대

(대수)

타이틀 방송 기간
1대 TBC 방송가요대상 1965년 ~ 1980년
2대 KBS 방송음악대상 1981년
3대 KBS 가요대상 1982년 ~ 2005년
4대 KBS 가요대축제 2006년 ~ 2022년
5대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2023년
6대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KBS 가요대축제 글로벌 페스티벌
2024년 ~ 현재
닫기

역대 대상 수상자

TBC 방송가요대상 (1965~1980)

자세한 정보 개최년도, 대상 수상자 / 곡목 ...
개최년도 대상 수상자 / 곡목
1965년 최희준 - 팔도강산
닫기
  • 1966년 가요대상부터 남녀부문으로 시상하였다.
자세한 정보 개최년도, 대상 수상자 / 곡목 ...
개최년도대상 수상자 / 곡목비고
남자 가수상여자 가수상
1966년최희준 - 하숙생최양숙
1967년최희준김상희
1968년배호이미자
1969년남진 - 가슴 아프게이미자 - 여자의 일생
1970년최희준이미자 - 여자의 일생
1971년남진 - 마음이 고와야지김상희
1972년나훈아하춘화
1973년남진 - 그대여 변치 마오하춘화 - 영암 아리랑
1974년김세환 - 옛 친구하춘화 - 난생 처음
1975년김세환 - 사랑하는 마음이수미 - 내 곁에 있어주
1976년김훈 - 나를 두고 아리랑하춘화 - 대관령 아리랑
1977년김훈혜은이 - 당신만을 사랑해
1978년최헌 - 오동잎이은하 - 밤차
1979년조경수 - 행복이란이은하 - 아리송해여자 신인상 - 심수봉
1980년조용필 - 창밖의 여자윤시내 - 열애
닫기

KBS 방송음악대상 (1981)

자세한 정보 개최년도, 대상 수상자 / 곡목 ...
개최년도대상 수상자 / 곡목신인상
남자 가수상여자 가수상
1981년조용필 - 미워 미워 미워이정희 - 그대여남자 - 김남훈
여자 - 남궁옥분
닫기

KBS 가요대상 (1982~2005)

자세한 정보 개최년도, 대상 수상자 / 곡목 ...
개최년도대상 수상자 / 곡목신인상
남자 가수상여자 가수상
1982년조용필 - 비련윤시내 - DJ에게남자 - 이명훈
여자 - 김성희
1983년조용필 - 나는 너 좋아윤시내 - 공부합시다남자 - 정광태
여자 - 정수라
1984년김수철 - 못다 핀 꽃 한 송이이은하 - 사랑 한번 못해본 사람은남자 - 임병수
여자 - 이선희
1985년조용필 - 그대여정수라 - 도시의 거리남자 - 김범룡
여자 - 주현미
1986년전영록 - 내 사랑 울보정수라 - 난 너에게남자 - 이재성
여자 - 김완선
닫기
  • 1986년 가요대상까지 남녀부문으로 시상하였다.
자세한 정보 개최년도, 대상 수상자 / 곡목 ...
개최년도대상 수상자 / 곡목신인상
1987년전영록 - 하얀 밤에수와 진
1988년주현미 - 비에 젖은 터미널이지연
1989년현철 - 봉선화 연정남자 - 김상아
여자 - 조갑경
1990년현철 - 싫다 싫어남자 - 김민우
여자 - 박성신
1991년김정수 - 당신남자 - 심신
여자 - 윤익희
1992년신승훈 - 보이지 않는 사랑92년부터 신인상 폐지
1993년김수희 - 애모
1994년김건모 - 핑계
1995년김건모 - 잘못된 만남
1996년김건모 - 스피드
1997년임창정 - 그때 또 다시
1998년H.O.T. - 빛
1999년조성모 - 슬픈 영혼식
2000년god - 거짓말
2001년god - 길
2002년장나라 - Sweet Dream
2003년이효리 - 10Minute
2004년 - It's Rainning
2005년김종국 - 사랑스러워
닫기

KBS 가요대축제 (2006~현재)

  • 2006년에는 기타리스트 신중현이 공로상을 수상했다.
  • 2007년에는 남녀가수들의 대결로 남성팀이 118,500표, 여성팀이 58,095표로 남성팀이 우승을 차지했다.
  • 2009년부터 '최고 인기 가요상'이라는 명칭으로 시상하였고, 2011년부터 '올해의 노래상'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2011년 기준 집계 방법 - 사전 점수 60% + 시청자들의 생방송 문자 투표 40%)
  • 2014년부터는 시상식 제도 폐지.
자세한 정보 개최년도, 수상자 / 곡목 ...
개최년도수상자 / 곡목
2009년2PM - Again & Again
2010년소녀시대 - Oh!
2011년비스트 - Fiction
2012년싸이 - 강남 스타일
2013년EXO - 으르렁
닫기

역대 출연진

사건 및 논란

  • 2019년 12월 27일 : 해야 무대중에 은하가 손으로 지오얼굴을 때리는 사건이 있었으며, 에이핑크 대기실 난방 부실, 예고없는 무대 짜르기 등 심각한 논란이 있었으며, 입장이 꼬였다고 핑계를 대었으나, 정작 방탄소년단은 6곡을 넣는 후진국의 방송사스러운 만행을 저질렀다.
  • 2023년 : 7월 19일에 '2023 KBS 가요대축제'가 일본 개최 쪽으로 가닥이 잡히자마자, 대중들의 비판의 목소리가 많아 KBS에 청원 게시판을 올렸다. 이후 8월 1일12월 9일의 일본 현지 개최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으며, 12월 16일의 한국에서도 개최되어 일주일 차 두 차례 치러진다. 공연장과 녹화 일은 논의 중이며 타이틀과 관련해서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세부 사항과 관련해서는 외부 노출에 주의하며 진행 중인 상황 속에서, KBS 예능본부 측에서 최종 확정된 바 없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KBS 예능본부의 한경천 센터장의 인터뷰에서, "'뮤직뱅크'와 '뮤직뱅크 월드투어'를 통해 K-POP 한류 확산에 기여하고 새로운 한류 스타를 소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제 K-POP은 한국의 대중음악을 넘어 전 세계 팬들이 함께 즐기는 음악이 되었는데, 특히 2023년은 지난 3년 동안 코로나 19 대유행 확산 문제를 비롯한 이태원 참사 등 두 가지 악재로, 그 동안 꽁꽁 묶여있던 K-POP 해외 공연이 가능해지면서 국내 가수들을 직접 보고 싶어 하는 글로벌 팬들의 요청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KBS는 이에 부응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K-POP 문화 관광 활성화를 위한 국가 전략 사업의 일환으로, 올해 하반기에도 아시아와 태평양, 아메리카, 유럽 등 '뮤직뱅크 월드투어'를 야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라고 설명하였다. 당초 9월 15일12월 9일 일본 사이타마현 베루나돔에서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12월 15일 KBS 여의도홀에서는 '2023 KBS 가요대축제'가 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11월에 '2023 KBS 가요대축제'가 '2023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로 타이틀이 변경되었다. PART1은 KBS 여의도홀에서 생방송하고 PART2는 일본 사이타마현 베루나 돔에서 12월 9일에 사전 녹화 후 12월 16일에 녹화 실황으로 방송한다. 방송 끝난 뒤 2024년 1월 26일부터 일본에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VOD 콘텐츠로 독점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 정식으로 서비스하지 않는 프라임 비디오 때문에 KBS가 공영방송의 의무를 저버리고 보편적 시청권을 침해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에 따라 12월 17일에 스페셜 방송 이후 18일부터 KBS 홈페이지에서 풀 버전과 스페셜 버전으로 다시보기를 제공하기로 결정하였고, 12월 25일에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개최한 '2023 SBS 가요대전'은 별다른 차질없이 진행되었다.
  • 2024년 : 5월 21일에 스포츠조선에서 올해도 한국과 일본에서 개최되며 12월 14일 ~ 15일은 일본 후쿠오카, 12월 20일 서울 구로 고척 스카이돔이 유력하다고 보도했으나,[3] KBS 예능본부 측에선 일본 개최에 관해 "아직 최종적으로 확정된 바 없다"라고 밝혔다.[4] 9월 4일, '2024 MUSIC BANK GLOBAL FESTIVAL in JAPAN' 공식 계정에는 일별 아티스트 라인업이 정식 게재됐다.[5]

방송 채널

자세한 정보 개최년도, 방송 채널 ...
개최년도방송 채널
1965년 ~ 1980년TBC TV
1981년 ~ 1993년KBS 1TV
1994년 ~ 현재KBS 2TV
닫기

경쟁 프로그램

참조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