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본초학(本草學)은 질병 치료에 쓰이는 약초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본초학의 전문가는 본초학자(herbalist)라고 한다.
본초강목은 본초학을 대표하는 저술이다.
대한민국 저서로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본초를 기준삼는 향약 180종류가 기재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향약구급방 및 조선시대의 국내 약재식물을 거의 다룬 향약집성방이 있다.
이 문단은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1년 12월 20일) |
1. 고려시대의 본초학 초기 - 신농본초경(통일신라의 것을 답습)
중기 - 송으로부터 嘉祐(가우)보주신농본초경 ; 본초도경, 경사증류대관본초가 들어옴 향약간이방 - 본초학의 융성을 조선에 전함 (鄕藥救急方) -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최고전
2. 이조시대의 본초학 2-1. (이조전기) : 鄕藥濟生經驗方 → 향약간이방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편찬(定宗) 1)世宗時 : 향약채취월령 - 세종13년 향약제생집성방 - 增添(증첨) → 향약집성방
2)成宗時의 향약발전 ①상용향약이해본초 - 향약집성방의 약을 민간인을 위해 한글로 풀어 쓴 것 ②향약본초의 증수 抄出諺解(초출언해)본초도를 제작하여 민간에게 보급한 것 3)중종시대 이후의 향약방 : 임진란 이전 → 사대풍조로 명의 의학이 주류 → 향약의 쇠퇴 임진란 이후 → 명과의 관계가 소홀 → 향약방 보급이 시급
2-2. (이조중기) 1) 東醫寶鑑 탕액편 : 동의보감중 본초학에 관계된 내용 2) 山林經濟 : 治藥部 → 동의보감 탕액편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간추린 책자 (이조후기) 1) 약성가적 본초학의 발전 濟衆新編 - 정조때 발행, 강명길이 약성가 제작 醫宗損益 - 고종 초기의 의서로서 황도연이 모든 약제를 약성가로 만듦. 약성가의 기틀을 잡고, 약성가의 大成임. 의학입문의 약성분류 방식(寒熱溫涼平)에 의거 편찬됨. 方藥合篇 : 황도연의 아들 黃泌秀(비수)가 저술, 약성가가 인용되었으며, 의생간의 최상의 이용서. 2) 광제비급中의 본초 : 본초부문이 타서와 달리 편찬 - 궁촌벽지의 사람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 개개 약재에 대한 치험례를 설명하여 치료와 응용의 묘를 살린 방서. 3) 본초강목의 영향 본초정화 → 본초강목의 약재를 간추린 서적으로 향명을 첨부. 2-4. (이조말기) 의문보감 - 경종때 고명신(固命新)이 저술 급유방 - 영조때 조연준(趙延俊)이 저술 방약합편 : 황도연의 아들 황비수가 저술
이 글은 학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