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글자
|
![Korean_Alphabet_vowel_ui.png](//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a/Korean_Alphabet_vowel_ui.png/30px-Korean_Alphabet_vowel_ui.png)
|
- (표준어/서울) IPA(표기): [ɰi(ː)]
- 발음: [의(ː)]
- 표준어 규정으로 명시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한국어 화자들은 모음 길이를 더 이상 구별하지 않는다.
자세한 정보 로마자 표기 목록, 국어의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 ...
닫기
명사
- 한글 홀소리 'ㅢ'의 이름. (부록: 한글 자모)
- 사람으로서 가져야 할 올바른 마음가짐 또는 태도를 두루 일컫는 한자어. 이 뜻에서 비유적으로 사람 사이에 맺은 굳은 관계.
- 남자는 목에 칼이 들어와도 의를 지키야 한다.
- 의를 저버리면 인간이 동물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
번역
- 그리스어(el):
- 네덜란드어(nl):
- 노르웨이어(no):
- 덴마크어(da):
- 독일어(de):
- 라틴어(la):
- 러시아어(ru):
- 루마니아어(ro):
- 몽골어(mn):
- 불가리아어(bg):
- 브레통어(br):
- 산스크리트어(sa):
- 스웨덴어(sv):
- 스페인어(es):
- 슬로바키아어(sk):
- 슬로베니아어(sl):
- 아랍어(ar):
|
- 에스페란토(eo):
- 영어(en): confidence, trust
- 이도(io):
- 이탈리아어(it):
- 인도네시아어(id):
- 인터링구아(ia):
- 일본어(ja):
- 중국어(zh):
- 체코어(cs):
- 카탈루냐어(ca):
- 터키어(tr):
- 포르투갈어(pt):
- 폴란드어(pl):
- 프랑스어(fr):
- 핀란드어(fi):
- 헝가리어(hu):
- 히브리어(he):
|
- 정다운 사람 사이.
- 돈 때문에 형제 간에 의가 상했다.
- 속담: 의가 좋으면 처갓집 말뚝에도 절한다: 남편이 아내를 사랑하면 처갓집과도 좋은 관계를 갖는다는 말.
번역
- 그리스어(el):
- 네덜란드어(nl):
- 노르웨이어(no):
- 덴마크어(da):
- 독일어(de):
- 라틴어(la):
- 러시아어(ru):
- 루마니아어(ro):
- 몽골어(mn):
- 불가리아어(bg):
- 브레통어(br):
- 산스크리트어(sa):
- 스웨덴어(sv):
- 스페인어(es):
- 슬로바키아어(sk):
- 슬로베니아어(sl):
- 아랍어(ar):
|
- 에스페란토(eo):
- 영어(en): good relationship between people
- 이도(io):
- 이탈리아어(it):
- 인도네시아어(id):
- 인터링구아(ia):
- 일본어(ja):
- 중국어(zh):
- 체코어(cs):
- 카탈루냐어(ca):
- 터키어(tr):
- 포르투갈어(pt):
- 폴란드어(pl):
- 프랑스어(fr):
- 핀란드어(fi):
- 헝가리어(hu):
- 히브리어(he):
|
조사
- 1-1. (체언 뒤에 붙어) 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뒤 체언이 나타내는 대상이 앞 체언에 소유되거나 소속됨을 나타내는 격 조사. 한국어에서 아주 흔히 쓰이는 조사의 하나로서 그 용례 또한 다양하다.
- 동물의 왕국.
- 한국의 역사를 재조명하다.
- 컴퓨터의 계산 속도가 매우 느리다.
번역
- 그리스어(el):
- 네덜란드어(nl):
- 노르웨이어(no):
- 덴마크어(da):
- 독일어(de):
- 둥간어(dng): ди
- 라오어(lo): ຂອງ
- 라틴어(la):
- 러시아어(ru):
- 루마니아어(ro):
- 몽골어(mn):
- 불가리아어(bg):
- 브레통어(br):
- 산스크리트어(sa):
- 스와힐리어(sw): pa
- 스웨덴어(sv):
- 스페인어(es):
- 슬로바키아어(sk):
- 슬로베니아어(sl):
- 아랍어(ar):
- 모로코 아랍어(ary): ديال
|
- 에스페란토(eo):
- 영어(en): of
- 이도(io):
- 이탈리아어(it):
- 인도네시아어(id):
- 인터링구아(ia):
- 일본어(ja): の
- 중국어(zh): 的
- 체코어(cs):
- 카탈루냐어(ca):
- 타갈로그어(tl): ng
- 터키어(tr):
- 톡피신(tpi): bilong
- 티베트어(bo): ཡི་, ཀྱི་, གྱི་
- 포르투갈어(pt): de, da, do
- 폴란드어(pl):
- 프랑스어(fr):
- 핀란드어(fi):
- 헝가리어(hu):
- 히브리어(he):
|
- 1-2. 앞 체언이 관형어 구실을 하게 하며, 앞 체언이 뒤 체언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작용의 주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번역
- 그리스어(el):
- 네덜란드어(nl):
- 노르웨이어(no):
- 덴마크어(da):
- 독일어(de):
- 라틴어(la):
- 러시아어(ru):
- 루마니아어(ro):
- 몽골어(mn):
- 불가리아어(bg):
- 브레통어(br):
- 산스크리트어(sa):
- 스웨덴어(sv):
- 스페인어(es):
- 슬로바키아어(sk):
- 슬로베니아어(sl):
- 아랍어(ar):
|
- 에스페란토(eo):
- 영어(en):
- 이도(io):
- 이탈리아어(it):
- 인도네시아어(id):
- 인터링구아(ia):
- 일본어(ja):
- 중국어(zh):
- 체코어(cs):
- 카탈루냐어(ca):
- 터키어(tr):
- 포르투갈어(pt):
- 폴란드어(pl):
- 프랑스어(fr):
- 핀란드어(fi):
- 헝가리어(hu):
- 히브리어(he):
|
독음
- 다음 한자의 독음.
- 衣 意 義 依 醫 矣 議 宜 儀 疑 誼 擬 毅 椅 縊 倚 懿 蟻 薏 艤 錡 猗 嶷 欹 漪 儗 劓 螘 饐 凒 礒 医 义 冝 扆 顗 宐 檥 毉 竩 㼁 禕 旖 犄 薿 㠜 㦤 譩 㩘 䝘 䴊 仪 拟 祎 蚁 议 谊 铱 镱 饻 亄 偯 吚 嬑 嬟 孴 寲 嶬 庡 撎 旑 椬 檹 燱 狋 畩 稦 籎 羛 萓 藙 螠 衤 觺 譺 豙 輢 轙 逘 郼 醷 鈘 銥 鐿 顡 餏 鷾 鸃 㓷 㕈 㕒 㘈 㛄 㝖 㠖 㢊 㥋 㦉 㫊 㬾 㱅 㱲 㳖 㽈 㾨 㿲 䉝 䉨 䒾 䓹 䝝 䣡 䧇 䧧 䪰 䫑 䫯 䬥 䭲 䰙 䰮 䰯 䲑
- 참조: 한국어로 "의"라 읽는 한자들의 베트남어, 일본어, 중국어의 독음 대조 일람표
-
- い : 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