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원: 싀다(15~19세기) → 시다 (20세기~). 현대 국어 ‘시다’의 옛말인 ‘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에 이중모음 ‘ㅢ’가 자음 뒤에서 ‘ㅣ’로 변하여 ‘시다’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일본어 酢/す(“식초”), 酸い/すい (“시다”)와 관련성이 있다.
자세한 정보 로마자 표기 목록, 국어의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 ...
닫기
형용사
- 맛이 식초나 설익은 살구와 같다.
- 포도가 시다.
- 임신부인 고모는 유독 신 과일을 좋아한다.
- 아직은 시고 떫은 맛뿐인 풋과일들이긴 했지만, 그러나 마을의 아이들에게는 신선한 선물일 수가 있었다. (따옴◄이동하, 장난감 도시)
- 이삼 일 전부터 구역질이 치밀면서 입맛이 변한 것이다. 그리고 신 것이 당겼다. (따옴◄오유권, 대지의 학대)
번역
- 갈리시아어(gl): ácido, acedo
- 고대교회슬라브어(cu): кꙑсѣлъ(kysělŭ)
- 고대노르드어(non): súrr
- 그리스어(el): ξινός(xinós) (남성)
- 네덜란드어(nl): zuur
- 노르웨이어(no): sur
- 덴마크어(da): sur
- 독일어(de): sauer
- 라트갈레어(ltg): skuobs
- 라트비아어(lv): skābs (남성)
- 러시아어(ru): кислый(kíslyj)
- 루마니아어(ro): acru
- 리투아니아어(lt): rūgštus
- 말레이어(ms): masam
- 벨라루스어(be): кіслы
- 세르보크로아트어(sh): ки̏сео(키릴)/kȉseo(라틴) (남성)
- 스웨덴어(sv): sur
- 스코틀랜드게일어(gd): goirt
- 슬로베니아어(sl): kisel
- 아랍어(ar): حامض(Haamid)
- 아르메니아어(hy): թթու(t’t’u)
- 아스투리아스어(ast): agriu, ácidu
- 아이슬란드어(is): súr
- 아일랜드어(ga): géar
- 알바니아어(sq): thartë
|
- 에스토니아어(et): hapu
- 스페인어(es): agrio, ácido
- 에스페란토(eo): acida
- 영어(en): sour
- 우르두어(ur): ھٹا(khaṭṭā)
- 우크라이나어(uk): кислий
- 왈론어(wa): seur (남성)
- 이탈리아어(it): agro
- 인도네시아어(id): asam
- 일본어(ja): 酸っぱい(すっぱい)(suppai)
- 중국어(zh): 酸(suān)
- 차미쿠로어(ccc): chawawa
- 체코어(cs): kyselý
- 카탈루냐어(ca): àcid
- 쿠르드어(ku): (소라니어); تورش(tursh)
- 타갈로그어(tl): maasim
- 페르시아어(fa): ترش(torš)
- 포르투갈어(pt): azedo
- 폴란드어(pl): kwaśny
- 프랑스어(fr): aigre
- 핀란드어(fi): hapan, kirpeä
- 헝가리어(hu): savanyú
- 히브리어(he): חמוץ(khamûtz)
- 힌디어(hi): खट्टा(khaṭṭā)
|
- 강한 빛을 받아 눈이 부시어 슴벅슴벅 찔리는 듯하다.
- 눈이 실 정도로 날씨가 좋다.
- 태양 빛이 강하여 눈이 시다.
- 눈도 깜박이지 않고 그것을 응시하던 그 여자는 눈이 시고 눈물이 비어져 나올 때야 자신의 행동의 무의미함에 혀를 차며 눈길을 돌렸다. (따옴◄오정희, 어둠의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