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훈 (訓) 아니다 不 음 (音) 1. 불 2. 부 부수 (部首) 一 (하나 일) 1획 획수 (劃數) 총 4획 쓰는 순서 한국어 형태소 ‘아니다’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참조: 不 뒤에 오는 낱말이 한국어로 'ㄷ', 'ㅈ'으로 발음되는 한자어일 때에는 «부»로 읽으며 그 이외에는 «불»로 읽는다. (불) 不可/불가, 不可能/불가능, 不過/불과, 不能/불능,不利/불리 ,不滿/불만, 不變/불변, 不服/불복, 不純/불순, 不失/불실 , 不安定/불안정, 不言實行/불언실행, 不察/불찰, 不參/불참, 不請客/불청객, 不快/불쾌, 不便/불편, 不平等/불평등, 不特定/불특정, 不和/불화, 不況/불황, 過猶不及/과유불급, 權不十年/권불십년, 獨不將軍/독불장군, 杜門不出/두문불출, 目不識丁/목불식정, 無所不爲/무소불위, 百折不撓/백절불요, 服不再降/복불재강, 非肉不飽/비육불포, 生不如死/생불여사, 語不成說/어불성설, 人事不省/인사불성 (부) 不斷/부단, 不當/부당, 不渡/부도, 不動/부동, 不動産/부동산, 不得已/부득이, 不足/부족, 不在/부재, 不適合/부적합, 不正/부정, 不注意/부주의, 博而不精/박이부정, 衆寡不敵/중과부적 (예외) 不實/부실 이 규범표기이나 그러나 '불실(不實)'로도 표기가능하다.[1] 옛말 IPA [pyj] 나라의 고구려어. 일본어 간지 상용한자(교육한자 4학년) IPA [ɸɯ] 히라가나:ふ(음독) 로마자 표기: fu 파생어 不便/ふべん 불편 파생어: 不可思議(ふかしぎ), 不可分(ふかぶん), 不況(ふっきょう), 不言実行(ふげんじっこう), 不純(ふじゅん), 不正(ふせい), 不動産(ふどうさん), 不燃(ふねん), 不満(ふまん), 不滅(ふめつ), 不和(ふわ), 一事不再理(いちじふさいり) 중국어 표준어: bù/(4성 앞에서)bú 병음: bat1/fau2(광둥어) 병음: put(민난어) 병음: put(하카어)동사 ~이 아니다, 아니하다, ~하지 않다, 못하다 我不累。/我不累。(Wǒ bú lèi.) 나는 피곤하지 않다. 李先生不教我們日語。/李先生不教我们日语。(Lǐ xiānshēng bù jiāo wǒmen rìyǔ.) 이 선생님은 우리에게 일본어를 가르치지 않는다. 기원전 3세기 이후, 맹자, 《맹자》, 〈양혜왕 상(梁惠王上)〉 (漢文本) 不賢者雖有此不樂也。/不贤者虽有此不乐也。 (Bù xiánzhě suī yǒu cǐ bú lè yě.) 현자가 아니면 비록 이것이 있다 하더라도 즐기지 못합니다. 없다 말라(명령형) 아니하냐 이르지 아니하다 크다 명사 불통(不通: 과거에서 불합격의 등급) 합성어 不安(bù'ān) 불안한 不必(búbì) ~할 때에는 미치지 않다. 不比(bùbǐ) ~과는 다르다. 不成(bùchéng) 不辭而別/不辞而别(bùcí'érbié) 인사를 하지 않고 헤어지다. 不錯/不错(búcuò) 바른 不大(búdà) 크지 않은 不達/不达(bùdá) 닿지 않다 不但(búdàn) ~뿐만 아니라. 不丹(Bùdān) 부탄 不單/不单(bùdān) ~뿐만 아니라. 不當/不当(búdàng) 부당 不得(bùdé) 不得不(bùdébù) ~하지 않을 수 없다. 不得了(bùdéliǎo) 힘든 不斷/不断(búduàn) 끊어지지 않은 不對/不对(búduì) 사과하고/사죄하고 있는. 不妨(bùfáng) ~해도 상관없다. 不敢(bùgǎn) 감히 ~하지 않다 不高興/不高兴(bùgāoxìng) 언짢다 不顧/不顾(búgù) 고려하지 않다 不管(bùguǎn) ~에 관계없이 不光(bùguāng) ~뿐만 아니라. 不好(bùhǎo) 좋지 않은 不惑(búhuò) 불혹 不盡/不尽(bújìn) 완전하지 않게 不就(bújiù) 그렇지 않으면 不堪(bùkān) 不可(bùkě) ~할 수 없다. 不愧(búkuì) 不利(búlì) 불리한 不力(búlì) 不良(bùliáng) 불량 不料(búliào) 뜻밖에 不了(bùliǎo) 끝나지 않다. 不列顛/不列颠(Bùlièdiān) 不論/不论(búlùn) …을 막론하고 不滿/不满(bùmǎn) 불만 不免(bùmiǎn) 어떻게 해도 ~이 되다. 不能(bùnéng) 할 수 없다 不平(bùpíng) 불평 不巧(bùqiǎo) 不全(bùquán) 不然(bùrán) 그렇지 않으면 不仁(bùrén) 不忍(bùrěn) 不容(bùróng) 不如(bùrú) ~에 미치지 못하다. 不入虎穴,焉得虎子(bú rù hǔxué, yān dé hǔzǐ) 不善(búshàn) 좋지 않다 不少(bùshǎo) 많은 不是(búshì) ~이 아니다./(bùshì)과실 不順/不顺(búshùn) 불순하다 不惜(bùxī) 不祥(bùxiáng) 不詳/不详(bùxiáng) 不像話/不像话(bú xiànghuà) 이야기가 되지 않는다. 不孝(búxiào) 불효 不行(bùxíng) 不幸(búxìng) 불행 不省人事(bùxǐng rénshì) 不興/不兴(bùxīng) 不許/不许(bùxǔ) 불허 不要(búyào) 不要緊/不要紧(búyàojǐn) 괜찮다 不已(bùyǐ) 멈추지 않다 不宜(bùyí) 적당하지 않다. 不一定(bùyīdìng) ~과는 한하지 않다. 不一而足(bùyī'érzú) 不一會兒/不一会儿(bùyīhuìr) 不用(búyòng) ~할 필요는 없다 不由得(bùyóude) 허락하지 않다 不再(búzài) 不在(búzài) 不在乎(bù zàihu) 不怎麼樣/不怎么样(bùzěnmeyàng) 不知(bùzhī) 알지 못하다 不治(bùzhì) 不止(bùzhǐ) 不知不覺/不知不觉(bùzhībùjué) 不足(bùzú) 對不起/对不起(duìbùqǐ) 죄송합니다 一毛不拔 yìmáobùbá 심하게 구두쇠이다 <발음 미확인> 不劣方頭/不劣方头 不吝 不塞不流,不止不行 不捨/不舍 不揚/不扬 不礙事/不碍事 不辭/不辞 不點兒/不点儿 [1](우리말샘) 불실(不實)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