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제존재한다는 무지(無知) · 무명(無明)에서 비롯된 아집(我集) 또는 망집(妄執)을 고통의 주 원인으로 본다. 멸제(滅諦, Nirodha Satya )는 고통의 소멸에 관한 진리, 혹은 고통의 원인의 완전한 소멸에 관한 진리다. 고통의 원인인 갈애(渴愛) · 아집(我集)
멸팔리어: vūpasama) 멸제(滅諦, 산스크리트어: nirodha -satya , 팔리어: nirodha -sacca) 택멸(擇滅, 산스크리트어: pratisajkhyā-nirodha , 팔리어: patisavkhā-nirodha ) 4제 16행상(四諦 十六行相: 4성제를 관찰하는
불교 용어 목록 (경) 고요함은 적정(寂靜)의 다른 말이다. 1. 고제(苦諦, 산스크리트어: duḥkha-satya , 팔리어: dukkha-sacca) 또는 고성제(苦聖諦, 산스크리트어: duhkhārya-satya )는 고 · 집 · 멸 · 도의 4성제 가운데 하나로, 3계(三界)를 벗어날 수
오위백법nāśana, nāśita, niruddha, nirudhyamāna, nirodha -gāmin, nirodha -jñāna, nirodha -dhātu, nirodhayati, nirodha -satya , nirodhika, nirodhita, nirghāta, nirvāpaka
불교 용어 목록 (ㅎ) guṇavatī, bhadraka, bhadra-kalyāṇa, bhadratā, bhadrā, bhadrāyaṇi, bhadrika, satya . 頁數: P.3601-P.3603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二十五卷二十三頁云:云何賢善?謂如有一,遠離顰蹙,舒顏平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