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 값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F 값

광학에서 f값은 기본적으로 (렌즈의 초점거리)/(입사동공의 직경)으로 계산된다.[1][2][3] 입사동공은 렌즈의 앞에서 본 조리개의 상을 말한다. 조리개의 지름이 커지면 f값은 작아지고, 빛이 모이는 양은 많아진다(즉 밝아진다). 초점거리가 길어질수록 같은 f값을 유지하기 위한 렌즈의 지름이 커져서 f값을 작게 제조하기 힘들어진다.

Thumb
조리개를 줄이면 f값이 늘어난다. 각 조리개는 이전의 광집량의 절반이다. 조리개의 실제 크기는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계산식

f값 f/#는 으로 표기하며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는 초점거리이고 는 입사동공 지름의 길이이다. 관습적으로 "f/"의 형태로 쓰이는데 이는 비율을 수학적 형태로 표기한 것이다.

화질에 미치는 영향

피사계 심도는 아래의 사진과 같이 f값으로 늘릴 수 있다. 낮은 f값으로 사진을 찍으면 초점을 맞춘 피사체 주변에 여백을 남기면서 피사체만 살리는 경향을 보여 준다. 이것은 주로 초상화자연 사진, 또 특정한 특수 효과에 유용하다. f값에 따른 피사체의 심도 변화는 주변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를테면 초점의 길이, 물체의 거리, 필름의 종류, 사진을 찍는 데 쓰이는 센서를 들 수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