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 (불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불교 용어로서의 사유 또는 4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사유(思惟, 산스크리트어: cintanā, 영어: thinking of. reflecting upon, considering)는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추리하고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 또는 마음속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1][2][3][4][5][6] 진리에 계합하는 사유를 정사유(正思惟)라고 하며 이것은 8정도(八正道) 가운데 하나이다. 진리에 계합하지 않는 사유를 사사유(邪思惟)라고 하며 8사(八邪) 가운데 하나이며, 정사유의 반대이다.[7][8]
정사유를 진리에 계합하는 사유라고 정의할 때, 이 때의 진리는 불교에서의 진리 특히 4성제를 말하는 것으로, 따라서 정사유는, 기본적으로, 고의 원인이 되는 탐욕(貪欲) · 성냄[瞋恚] · 해치려는 생각[害念] 등의 번뇌를 멀리 떠난 무탐(無貪) · 무진(無瞋) · 불해(不害) 등의 생각과 마음을 말한다.[7][9] 그런데 여기에서 '번뇌를 멀리 떠난 상태의 생각과 마음'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그만큼 사유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고, 실제로 불교에서 사유에 대한 해석은 그 폭이 넓으며 특히 정사유에 대한 해석이 그러하다.
- 4유(四維)는 동북 · 동남 · 서북 · 서남의 4가지 방향을 가리킨다. 4우(四隅)라고도 한다. 4유(四維)와 동 · 서 · 남 · 북의 4방(四方)과 상(上) · 하(下)의 2방향을 합쳐서 10방 또는 시방(十方)이라 하는데, 이러한 방위 · 방향 · 공간으로서의 방(方)은 심불상응행법 가운데 하나이다.
- 4유(四有)는 유정이 윤회하는 한 생애를 넷으로 나눈 생유(生有) · 본유(本有) · 사유(死有) · 중유(中有)를 말한다.
- 사유(死有)는 4유(四有) 가운데 하나로, 목숨이 끊어지는 일 찰나를 말한다.
사유(思惟)
사유(思惟, 산스크리트어: cintanā)는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추리하고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 또는 마음속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1]
진리에 계합하는 사유를 정사유(正思惟)라고 하며 이것은 8정도(八正道) 가운데 하나이다. 진리에 계합하지 않는 사유를 사사유(邪思惟)라고 하며 8사(八邪) 가운데 하나이며, 정사유의 반대이다.[7][8]
사유(思惟)는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추리하고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이라는 정의에서 보면 대체로 제6의식에 의한 계탁분별을 말하는데, 아주 넓게는 선정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즉 일체의 사사유(邪思惟)를 끊는 무루혜까지도 포함한다. 이 견해 즉 '모든 사유 즉 모든 사유분별 즉 모든 계탁분별은 실제로는 사사유이며 정사유란 일체의 사유분별 즉 일체의 계탁분별을 끊는 것'이라는 견해는 '보살의 수행으로서의 8정도의 정사유'에 대한 《대지도론》의 견해로,[10][11][12] 말하자면 사유에 대한 '높은 경지의' 견해인데, 이보다 좀 완화된 견해로, 8정도의 정사유란 무루의 지혜로 4성제의 이치를 깊이 사유하여 관(觀)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 즉 4제 16행상 등의 제관(諦觀: 진리를 관함)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13][14][15]
4유(四有)
생유(生有)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본유(本有)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사유(死有)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중유(中有)
죽은 직후부터 다음 생으로 태어나기 직전까지의 존재를 중유라 한다
참고 문헌
-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K.549, T.1509). 《대지도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49(14-493), T.1509(25-57).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Cologne Digital Sanskrit Dictionaries》. Institute of Indology and Tamil Studies, Cologne University (www.sanskrit-lexicon.uni-koeln.de).
|title=, |출판사=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T.1509). 《대지도론(大智度論)》. 대정신수대장경. T25, No. 1509,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