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 (불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사유 (불교)

불교 용어로서의 사유 또는 4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4유(四維)는 동북 · 동남 · 서북 · 서남의 4가지 방향을 가리킨다. 4우(四隅)라고도 한다. 4유(四維)와  ·  ·  · 4방(四方)과 (上) · (下)의 2방향을 합쳐서 10방 또는 시방(十方)이라 하는데, 이러한 방위 · 방향 · 공간으로서의 (方)은 심불상응행법 가운데 하나이다.
  • 4유(四有)는 유정윤회하는 한 생애를 넷으로 나눈 생유(生有) · 본유(本有) · 사유(死有) · 중유(中有)를 말한다.
  • 사유(死有)는 4유(四有) 가운데 하나로, 목숨이 끊어지는 일 찰나를 말한다.

사유(思惟)

사유(思惟, 산스크리트어: cintanā)는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추리하고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 또는 마음속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1]

진리계합하는 사유를 정사유(正思惟)라고 하며 이것은 8정도(八正道) 가운데 하나이다. 진리계합하지 않는 사유를 사사유(邪思惟)라고 하며 8사(八邪) 가운데 하나이며, 정사유의 반대이다.[7][8]

사유(思惟)는 '대상을 구별하고 생각하고 살피고 추리하고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이라는 정의에서 보면 대체로 제6의식에 의한 계탁분별을 말하는데, 아주 넓게는 선정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즉 일체의 사사유(邪思惟)를 끊는 무루혜까지도 포함한다. 이 견해 즉 '모든 사유 즉 모든 사유분별 즉 모든 계탁분별은 실제로는 사사유이며 정사유란 일체의 사유분별 즉 일체의 계탁분별을 끊는 것'이라는 견해는 '보살의 수행으로서의 8정도정사유'에 대한 《대지도론》의 견해로,[10][11][12] 말하자면 사유에 대한 '높은 경지의' 견해인데, 이보다 좀 완화된 견해로, 8정도정사유무루의 지혜4성제의 이치를 깊이 사유하여 (觀)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 즉 4제 16행상 등의 제관(諦觀: 진리함)을 말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13][14][15]

4유(四有)

생유(生有)

본유(本有)

사유(死有)

중유(中有)

죽은 직후부터 다음 생으로 태어나기 직전까지의 존재를 중유라 한다

참고 문헌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