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드노라아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히드노라아과 (hydnora亞科, 학명: Hydnoroideae 히드노로이데아이[*])는 쥐방울덩굴과의 아과이다.[1][2][3] 2개 속에 약 8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2003년의 APG II 분류 체계 또한 이 아과를 인정했으며, 목련군의 후추목에 할당했다. 이는 1998년의 APG 분류 체계에서 목에 분류하지 않고 속씨식물 하위에 직접적으로 분류하였던 것과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 쥐방울덩굴과로 분류했다.[2] 그러나, 최근 계통분류학 연구들은 히드노라아과를 쥐방울덩굴과의 아과가 아닌 후추목 하위의 독립된 히드노라과 (학명: Hydnoraceae) 로 분류한다.[4][5] 히드노라과의 하위분류에는 히드노라속 (속명: Hydnora) 과 프로소판체속 (속명: Prosopanche) 이 있다. 히드노라속은 현재까지 발견된 10종[6], 프로소판체속은 7종[7]을 포함한다.
히드노라과는 진화 과정에서 광합성 능력을 완전히 상실한 전기생식물이다.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반도 (히드노라속),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프로소판체속) 에 분포하는 이 식물은 숙주식물의 뿌리에 기생하며, 흔히 생각하는 잎이나 줄기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뿌리줄기 (rhizome) 가 있으며, 꽃을 피울 때에만 땅 위로 올라온다. 히드노라과의 색소체 유전체는 진화 과정에서 기능을 거의 잃어버렸다.[8][9]
분포
히드노라과는 구세계와 신세계 (아메리카) 사이에 분리된 분포를 보인다. 알려진 10종의 히드노라 속은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아라비아 반도의 건조 지역에 분포한다.[6] 이와 대조적으로, 7종의 프로소판체속은 중남미에서 발견된다.[10][11] 히드노라과의 기원은 백악기 후기(91 MYA)에, 히드노라속과 프로소판체속의 왕관군 (가장 최근의 공통 조상) 이 5천 5백만 년 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4], 현재의 분포를 고려하면 왕관군 나이는 아프리카와 남미 사이의 지각 분열 시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5].
하위 분류
- Hydnora Thunb.
- subgenus Hydnora (Decaisne 1873; Hatt et al. 2022): Hydnora visseri Bolin, E.Maass & Musselman., H. longicollis Welw., H. africana Thunb., H. triceps Drège & E.Mey.
- subgenus Dorhyna (Decaisne 1873): Hydnora hanningtonii Rendle, H. abyssinica A.Br., H. solmsiana Dinter., H. bollini Hatt sp. nov.
- subgenus Neohydnora (Harm 1935): Hydnora esculenta Jum. & H.Perrier.
- subgenus Sineseta (Hatt et al. 2022): Hydnora sinandevu Beentje & Q.Luke.
- Prosopanche de Bary
- Prosopanche americana (R.Br.) Baill., P. bonacinae Speg., P. caatingicola R.F.Machado & L.P.Queiroz., P. cocuccii Tav.de Carvalho, Záchia & Mariath, P. costaricensis L.D.Gómez., P. demogorgoni Funez, P. panguanensis C.Martel & Rob.Fern
계통 분류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 쥐방울덩굴과에 포함었으며,[12] 그 이전의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별개의 히드노라과(Hydnoraceae)로 다루어졌다.[13][14]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히드노라과가 인정되지 않았다.[15]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