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부(戶部)는 전근대 중국의 6부 중 하나로 호구, 공납, 부사, 조세 및 국가 재정과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던 부서이다. 부서 장관은 호부상서이다. 護符에 대해서는 오마모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고려시대 한반도에서도 호부가 존재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호조로 개칭되었다. 중국 시박사 : 해상 무역을 관장하며 관세를 거두던 관청. 고려 관문과 나루를 통과할 때는 일종의 통과세로 상세(商稅)가 징수되었다.[1] 경시서(京市署) : 고려 문종 때부터 수도인 개경의 시전을 관할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청[2] 상서탁지 : 국가의 재정의 탁용지비(度用支費)[3]를 관장[4]하는 관청[5] 각무 : 고려와 거란·여진족 등 북방민족 사이의 교역을 위해 설치된 무역장의 관할 관청[6] 같이 보기 안사의 난 각주 [1]“신편 한국사 고려 시대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Ⅱ. 세역제도와 조운 4. 잡세”. 《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 2023년 12월 7일에 확인함. [2]“경시서 (京市署)”.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년 2월 21일에 확인함. [3]“탁지지(度支志)”.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년 1월 3일에 확인함. [4]“재정법제연구(I) 의회·행정부 관계와 예산권한 배분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법제연구원. 2018년 10월 31일. ISBN 9788966848898. [5]“상서탁지 (尙書度支)”.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년 1월 3일에 확인함. [6]“각장 (榷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2월 16일에 확인함. 이 글은 중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이 글은 한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