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만을 쓰는 것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글전용 또는 한글만 쓰기는 한국어를 적을 때 한자를 쓰지 않고 한글만을 쓰는 것을 말한다. 한글 학회 같은 데서는 일상 생활에서 한자를 완전히 폐지하고, 한글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글 전용을 주장할 때 한국어 순화(우리말 다듬기)를 함께 주장하는 경우도 많다.
국한문혼용(國漢文混用) 또는 한자혼용(漢字混用)은 한국어를 문자로 표기할 때 한글과 한자를 섞어서 표기하는 방식을 말한다. 엄밀하게 말하면 한문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국한자혼용(國漢字混用)이라 불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에서 일상 생활에서 국한문혼용을 쓰자고 하는 한자 부활을 주장하고 있다.
한자어를 한글로 표기하면서 한자를 함께 표기하는 것을 한자병기(漢字倂記)라고 하며, 국한문혼용과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한자병기를 국한문혼용의 한 경우로 보기도 한다.
한글은 1443년 조선의 4대 임금 세종이 만든 글자인 훈민정음이다. 세종은 한문을 배우기 어려워 하고 한자로 말미암아 사는 데 겪는 불편과 불이익을 겪는, 글자를 깨치지 못한 백성을 위해 한글을 만들었다. 하지만 신하들은 중화의 문화를 따라야 한다는 사대주의적 면에서 한글(당시 명칭 훈민정음)을 반대했다. 이들은 중국과 문화적으로 동문동궤(同文同軌)하는 문화국으로서 다른 글자를 만들면 문화적으로 국제관계에서 고립을 초래할 거라 주장했다. 한글은 궁중의 내명부와 일반 백성 사이에 널리 퍼져, 문맹을 퇴치하고 한민족 고유의 문화를 창달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조선 시대 후기에 와서는 양반들도 한글로 문예 활동을 하는 것이 퍼져 한자와 한글 혼용으로 쓰인 소설에 이어, 한글만으로 쓰인 작품도 발달하게 되었다. 특히 1600년대 초기에 쓰인 허균의 《홍길동전》은 지금도 널리 알려져 있다. 조선 시대 말기에는 한글과 한자가 섞인 문장이 공용 문서에까지 쓰였다.
학교에서 배우는 언어는 일본어가 되었지만, 일제 강점기 초기부터 중기까지는 한국어도 한 과목으로 여겼다. 하지만 수업시수는 많지 않았고 한국어나 한글 사용을 막는 사회적인 압력도 컸다. 당시 한국어 표기는 일본어 표기처럼 국한문혼용을 사용했기 때문에 민족 말살 정책을 펴기 전까지는 식민지 지배 상태에서도 한국어는 살아남았다.
로동신문에서 알 수 있듯이, 1946년까지는 세로쓰기에 한자를 혼용하였고, 1947년에는 세로쓰기를 유지하면서 수의 이름만을 한자로 적었다. 1949년에는 가로쓰기를 도입하면서 한자를 폐지하였다. 김일성의 명령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1]
하지만, 1968년에는 김일성의 의견으로 한자를 사용할 필요는 없지만, 일본, 중국, 대만, 대한민국에서 한자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중고등학교에서 한자교육을 의무화하였다.
대한민국은 1948년 10월 9일 '한글전용에관한법률'[제정 1948.10.9 법률 제6호]를 제정했는데,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의 공용 문서는 한글로 쓴다. 다만, 얼마 동안 필요한 때에는 한자를 병용할 수 있다.
— 한글전용에관한법률 제정 1948.10.9 법률 제6호
여기에 대해 공용 문서의 정의도, 얼마 동안의 정의도 없고, 시행 규칙도 없고 위반자에 대한 벌칙 규정도 없어 법률이 아니고 선언문이라고 해석하는 법률가도 있다. 또 한글 학회와 같은 한글 전용론자들은 다만 뒤 단서 조항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2005년 1월에 제정된 국어기본법에 흡수되면서 자연히 폐지되었다.
이승만 시대에는 국민학교(현 초등학교)에서부터 한자 교육을 했지만, 박정희 시대인 1970년에는 한자 폐지 선언을 발표하고 보통 교육에서 한자 교육을 전면 폐지했다. 그러나 언론계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반대가 강해서 1972년에 다시 한자 폐지 선언을 철회해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한문 교육이 부활하였다. 그러나 그때부터 한문은 선택 과목이 됐으며 시험에도 거의 관계가 없고, 실제 사회에서도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신문·잡지도 점차 한자를 쓰지 않기 시작했다. 한글 교육 세대가 많아지면서, 한자를 섞어 쓴 출판물이 선호되지 않게 된 점이 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초반부터 개인용 컴퓨터와 PC통신이 널리 보급되면서 한글 문서들이 광범위하게 작성되고 통용됨으로써 한글 전용의 현실성이 자연스럽게 실증되었다.
한편 1990년대 후반부터 한자 교육 부활을 요구하는 소리가 거세지자, 1998년 당시 대통령 김대중이 공문서에 한자를 섞어 쓰는 데에 손을 들어 주었다. 대통령의 지시로 도로 표지나 철도역·버스 정류소에서 한자 병기는 실현되었지만, 한글 전용파의 저항이 완강해서 초등학교에서 한자 교육 의무화나 젊은 층에서 한자 사용 일상화는 실현되지 않았다. 서울 시내의 버스 정류소의 한자 표기는 버스 개편으로 없어졌다.
한자 혼용을 주장하는 사람은 한국어에서 한자로 이루어진 낱말이 70% 또는 80% 이상을 차지한다고 주장한다. 한글 전용을 주장하는 사람에 따르면 국립국어원이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을 기준으로 조사했을 때 한자어가 차지하는 비율은 50%가량이라 한다. 한자를 쓰지 않기 때문에 한자어 낱말이 그만큼 줄어들었다고 여기는 사람도 있다.
한글 전용인지 한자 혼용인지에 대해서는 여론 조사에서도 국론이 양분되어 왔다. 정치가들도 이것을 쟁점화하기에 난색을 보여 광복 이래 계속된 이 논쟁을 문자 전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부분의 한국어 입력기는 한글 위주로 입력하되, 한자가 필요할 경우에는 한자 키를 눌러 변환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몇몇 한국어 입력기는 국한혼용이나, 한자어를 쉽게 입력하기 위해 일본어 입력기처럼 한자를 연속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입력기가 있다.
한편, 한/글 97~2010 및 MS워드 역시 자체적으로 한자 단어 입력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윈도우 비스타/7 에서는 워드패드에도 한자 단어 입력이 가능하다. 하지만, 단어별로 한자 입력이 지원되는 소프트웨어는 매우 제한적이며, 한자훈에 오류가 매우 많다[10].
그러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11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웹브라우저 상에서 한자어의 단어별 한자입력이 가능하게 되었다.
왼쪽은 한글전용 표기법으로, 오른쪽은 국한문혼용 표기법으로 쓰인 것이다.
1987년 10월 29일
1987年 10月 29日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