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 포유동물(哺乳類, 哺乳動物문화어: 젖먹이 동물, 젖먹이 짐승)은 척삭동물문의 강인 포유강(Mammalia)에 속하는 동물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암컷에게는 새끼에게 양분을 공급할 젖을 만들어내는 유선이 있다. 대부분 몸에 털이 나 있고, 털이 변형된 비늘이나 가시가 있는 것들도 있다. 뇌에서 체온과 혈액 순환을 조절하는 온혈동물이다. 생물 분류 방법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29목 153과 1200속 약 5400종에 이르는 동물을 포함한다.[1]
기원
포유류와 그들의 멸종한 친척을 포함하는 단궁류는 펜실베이니아기(약 3억 3천만 ~ 3억 년 전)에 파충류와 조류 계통에서 분리되었다. 왕관군인 포유류는 쥬라기 초기에 원시 포유류에서 진화했다. 포유류 계통도(또는 계통수(系統樹))는 왕관군 계통군으로 나타난다.[2]
특징
- 포유류의 가장 큰 특징은 젖샘이 있어서, 수유를 한다. 물론 다른 소수의 동물에게서도 젖샘과 유사한 것은 있다.
- 알을 낳는 단공류를 제외한 모든 포유류는 태생이다. 이것을 기준으로 다시 나누어 태반이 없는 유대류와, 태반이 있는 유태반류로 다시 나눈다. 포유류 외에도 새끼를 낳는 동물이 몇 있다. 열대어 구피, 바닷물고기 망상어, 망치상어가 대표적이다. 그렇지만 이들은 뱃속에서 알을 부화시켜 새끼를 낳는 난태생이므로, 태생을 하는 포유류와는 다르다. 극미미의 동물 중 실러캔스, 진디 등이 태생을 하는데, 이것은 극히 드문 예외이다.
- 모든 포유류가 정온동물이기는 하지만 조류나 다랑어류도 사실상 마찬가지이므로, 이것만으로는 포유류의 정의로 적합하지 않다.
- 보통은 털로 덮여있으나 유린목은 털이 비늘로 변화하였고, 단공목의 한 종류인 가시두더지와 고슴도치목의 고슴도치는 털이 가시로 변해 있다.
- 모든 포유류 - 영장류, 특히 인간-는 두뇌의 의존도가 크고 신체에 비해 커다란 두뇌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같은 크기의 파충류와 비교할 때 포유류의 두뇌는 파충류의 약 네 배에 달한다.[3] 6500만년 전 소행성의 충돌로 공룡이 멸종한 뒤 포유류가 번성했을 때 초기 종들이 야행성이었던 탓에 시각만이 아니라 촉각, 후각, 청각 등의 감각으로 전해지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더 큰 두뇌가 필요했다. 예를 들면 침팬지는 시각보다 청각적 정보를 통해 추론을 이끌어내는 데 더 능하다.[4]
- 체내수정을 하며, 체온이 항상 일정하다.
하위 분류
사족상강(Tetrapoda)에는 다음과 같은 동물이 있다.
국가별 포유류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12년 7월) |
대한민국
계통 분류
다음은 척삭동물의 계통 분류이다.[6][7][8][9]
척삭동물 |
| |||||||||||||||||||||||||||||||||||||||||||||||||||||||||||||||||||||||||||||||||||||||||||||||||||
다음은 포유류 계통 분류이다.[10]
포유강 |
| ||||||||||||||||||||||||||||||||||||||||||||||||||||||||||||||||||
같이 보기
- 포유이이의 목록
- 포유류의 과 목록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in your browser!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