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중성화 후 방생(영어: trap–neuter–release; TNR)은 야생화된 고양이의 개체수를 관리하기 위해 시도되는 방법의 일종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 통방이를 사용해 고양이를 산채로 포획하고(T), 거세수술을 한 뒤(N), 야외에 다시 방생하는(R) 수순으로 이루어진다.[2] 고양이가 원래 살던 곳이 위험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방생하기에 적절하지 않으면 다른 곳에 이주방사하기도 한다.[3] 포획된 고양이가 모두 방생되는 것은 아니다. 유순한 개체는 가정에 입양될 수 있다. 질병 등의 이유로 안락사하기도 한다.[2]
처음 등장했을 당시 TNR 정책의 목표는 야생화된 고양이 개체수의 감소,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근절이었다. 현재도 세계 각지에서 인도적인 고양이 관리 방법으로서 수행된다. 현재는 개체수 조절 이외에도 고양이 개체 당사자의 삶의 질 개선,[4] 고양이들이 거주하는 지역 인구와의 갈등 해결,[5] 동물보호소에서 고양이가 안락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 연구에서는 TNR이 고양이 개체수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론이라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6] TNR로 관리되는 고양이 군집에서 개체수 감소가 일어날 경우, 그것은 그 군집에서 입양 또는 안락사가 동시에 수행된 결과인 것으로 밝혀졌다.[6][7] 그렇지 않은 TNR 고양이 군집은 오히려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고양이의 번식률이 너무 빨라서, 아직 거세되지 않은 고양이를 포획하고 거세하는 속도가 새로운 고양이가 태어나는 속도를 따라갈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TNR 고양이들의 군집이 존재하면, 그 지역 주민들이 자기 집의 고양이를 그 군집에 유기하는 경향도 나타났다.[6] 생태학적으로 취약한 지역에서도 TNR 정책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것은 부분적으로 야생화 고양이에 의해 야기되는 생태문제에 대한 대중의 무지, 그리고 과학계와 TNR 옹호자들이 이 문제를 거론하고 싶어하지 않아하는 경향에 기인한다.[8]
미국동물학대방지협회(ASPCA),[9] 미국인도주의협회(HSUS),[10] 영국 왕립동물학대방지학회(RSPCA)[11] 등 동물단체에서는 대체로 TNR을 옹호하는 반면, 국제야생동물재활평의회(IWRC),[12] 국제야생동물협회(TWS),[13] 미국조류보호단(ABC)[14] 등 생태환경단체에서는 대체로 TNR을 반대한다. PETA는 동물권 단체임에도 이례적으로 TNR을 반대하는 입장이다.[15]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