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첩보기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정찰총국[1](朝鮮人民軍 總參謀部 偵察總局)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산하의 기관으로 대외 공작활동을 총괄한다. 대한민국과 일본을 주요 공작 대상으로 한다.[2] 2009년에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정찰국과 조선로동당 작전부, 조선로동당 대외정보조사부(35호실)가 통합되어 정찰총국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정찰총국 | |
朝鮮人民軍 總參謀部 偵察總局 | |
설립일 | 2009년 |
---|---|
전신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정찰국 조선로동당 작전부 조선로동당 대외정보조사부 |
소재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
국장 | 리창호 |
상급기관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
2009년 5월 10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종 대남·해외 공작업무를 하는 조선로동당 대외정보조사부와 조선로동당 작전부를 조선로동당에서 떼어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민무력부 정찰국과 통합해 정찰총국으로 확대개편했다고 알려졌다.[3] 개편 과정에서 작전부, 대외정보조사부와 함께 조선로동당의 주요 대외 비밀 공작기구 가운데 하나였던 대외연락부는 대외교류국으로 축소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에 배속됐다. 이를 두고 조선로동당 작전부는 위조지폐와 마약의 제조 및 거래, 무기 수출 등 불법행위로 큰 돈을 관리하는 기관이었는데, 작전부가 조선로동당에서 인민무력부로 넘어가면서 군부가 풍부한 재원을 갖추게 됐다는 분석이 제기됐다.[4] 초대 국장은 김영철이다.[5]
2010년 3월 26일에 있었던 천안함 피격 사건과 관련해 2018년 2월 28일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 송영무는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PCC-772 천안을 침몰시킨 연어급 잠수정이 정찰총국 소속이라고 말했다.[6] 4월 20일에 황장엽을 살해하기 위해 파견된 정찰총국 소속 조선인민군 장교 두 명이 대한민국에서 체포됐다.[7] 11월 23일에 있었던 연평도 포격과 관련해 국방부 장관 김태영은 대한민국 국회에서 정찰총국장 김영철이 포격을 주도했다는 견해를 보였다.[8]
2011년 4월 12일에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가 일어났는데 대한민국 검찰청은 정찰총국의 소행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9] 9월 3일에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박상학을 네오스티그민 독침으로 독살하려던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 출신 북한이탈주민이 체포됐는데 정찰총국이 포섭한 것으로 밝혀졌다.[10]
2013년에 있었던 3·20 전산 대란과 관련해 대한민국 측의 민·관·군 합동대응팀은 정찰총국의 소행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11]
2014년 11월 24일에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해킹 사건이 일어났는데 사이버 보안업체인 카스퍼스키 랩과 노베타 등은 보고서에서 3·20 전산 대란과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해킹 사건이 동일범의 소행이라고 분석했다.[1]
2015년에 정찰총국 출신 대좌가 대한민국으로 망명했는데 이는 당시까지 조선인민군 출신 북한이탈주민 가운데 최고위급의 망명으로 알려졌으며, 합동신문 과정에서 정찰총국의 대남 공작업무에 관해 상세하게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12]
2017년 2월 13일에 있었던 김정남 암살 사건과 관련해 《아사히 신문》은 정찰총국 제19과 요원들이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13] 10월 30일에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는 김한솔을 살해하기 위해 파견된 정찰총국 요원 7명 가운데 2명을 체포했다.[14]
정찰총국은 작전국과 정찰국, 해외정보국, 대화조정국, 기술국, 후방지원국 등 6개 부서로 이루어져 있다.[15] 업무와 관련된 내용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김정은에게 직접 보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정찰총국의 사이버 테러 인력들은 대부분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실전 배치된 담당 인원은 3천여 명으로 알려져 있다.[18]
정찰총국 산하에는 공작원의 침투를 위한 수 개의 연락소가 있으며, 외국에 무기를 수출하는 업체인 청송연합을 통제하고[19] 홍콩에 기반을 둔 회사인 션강무역투자회사 등을 배후에서 조종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는다.[20]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