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제식(制式, 영어: close-order drill)은 군대에서 개인 및 부대가 일상생활과 대열을 짓는 훈련이나 열병식 등을 할 때 절도 있고 통일되게 취해야 하는 동작의 규정된 격식 및 방식이다.
제식훈련의 목적은 지휘자의 명령에 조건반사적인 명령 복종을 습성화시키고, 부대의 행동을 통일하여 단결심과 협동심을 고양해 군인 기본자세를 확립하고, 군인답고 당당하며 의젓한 모습을 갖춤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전투력을 향상하는 데 있다.
근대 이전에는 제식훈련을 통해 대형을 형성하는 법을 익힘으로써 전투력을 상승시켰다. 팔랑크스로 불리는, 영화 '300'에서 확인할 수 있는 그리스의 밀집대형 역시 강도 높은 제식훈련의 결과물이다. 이후 기사 중심 전투를 벌이던 중세 시대를 지나 머스킷의 발명으로 전열 보병의 개념이 발생하면서 제식훈련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었다.
그러나 각종 화기의 발달과 함께 제1차 세계대전을 필두로 현대전이 시작되면서, 대열을 맞추어 진군하는 군대는 적의 화포와 기관총에 무기력하게 당할 수밖에 없었고 전투의 양상이 산개 후 은폐, 엄폐를 통해 각개전투를 벌이는 양상으로 변화하면서 전술적 의미에서의 제식훈련은 퇴색되었다.
현대의 제식은 불필요하고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런데도 예전부터 이어져 온 제식훈련을 그대로 실시하는 것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로는 군인 정신을 함양하고 내적인 군기를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군대는 국가나 지역의 방위 및 전투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여 구성된 무장 조직으로, 외부적 위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한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문민 통제의 원칙에 따라 민간인이 군의 통수권을 쥔다. 민간인으로서는 군 장병들의 사격술 등 실력을 확인할 방법이 없으므로 그들에게 군인이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 방법은 절도있게 짜인 제식을 통해 엄중한 군기와 언제든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밖에 없다. 둘째로는 다수의 인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이다. 군에서는 많은 인원이 모이고 이동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잘 훈련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훨씬 효율적이고 질서 있게 행동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맨손제식은 총기 또는 예도 등의 무기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 또는 행진 간에 실시하는 제식이다.
차려 자세는 바르게 선 자세로서 군인의 기본 자세이다.
"차려" / "부대(분대, 소대, 중대, …)- 차려"
열중쉬어 자세는 대형을 갖춘 상태에서 차려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없을 때, 피로의 누적을 방지하고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열중- 쉬어"
쉬어 자세는 대형을 갖춘 상태에서 장시간 대기하거나 휴식을 취할 경우에 실시한다.
"쉬어"
편히 쉬어 자세는 쉬어 자세와 동일하나 대화가 가능하다.
정지 중 좌측이나 우측으로 신속하게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좌향 좌/우향 우"
정지 중 뒤로 신속하게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뒤로- 돌아"
바른걸음은 1분에 120보의 보속으로 걷는 걸음으로 평상시에 자연스럽게 하는 일반적 걸음이다.
큰걸음은 행진 및 의식행사 시 실시하는 걸음이다.
"큰걸음으로- 가"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걸음으로 보속은 1분에 180보, 보폭은 90cm 이상으로 하여 걷는다.
"뛰어- 가"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