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크라이나 연합 "자유"

극우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정당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전우크라이나 연합 "자유"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자유당(自由黨)으로도 번역하는[12][13] 전우크라이나 연합 "자유"(우크라이나어: Всеукраїнське об'єднання «Свобода» 우세우크라인스케 오비예드난냐 "스보보다"[*], Vseukrayinske obyednannia "Svoboda") 또는 스보보다우크라이나민족주의 정당이며 2014년 현재 우크라이나의 5대(大) 정당이다.[14] '스보보다'는 우크라이나어로 "자유"(Freedom)를 뜻한다. 스보보다 당원이 되기 위한 결정적 조건은 반드시 우크라이나 민족에 속해야 한다는 것이다.[15]

간략 정보 약칭, 표어 ...
전우크라이나 연합 "자유"
("스보보다")

Всеукраїнське об’єднання «Свобода»
Thumb
로고
약칭 스보보다
표어 20년의 싸움
상징색 파랑, 노랑
이념 우크라이나 민족주의[1]
우파 포퓰리즘[2][3]
국수주의[4]
스펙트럼 우익[5][6][7]~극우[8]
당원(2010년) 15,000명[5]
당직자
당수 올레흐 탸흐니보크
의회 대표 올레흐 탸흐니보크
역사
창당 1991년 10월 13일
1995년 10월 16일에 정당으로 등록[9]
선행조직 우크라이나 사회민족당
내부 조직
중앙당사 키이우
의석
최고 라다[10]
1 / 450
지방 의회 (2010년)[11]
132 / 3,056
키이우 시의회
5 / 120
닫기

이 당은 1991년 우크라이나 사회민족당(우크라이나어: Соціал-національна партія України, SNPU)으로 창당되었으며, 리비우를 근거지로 두고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반유대주의를 근간으로 한 우파 포퓰리즘 활동을 해왔다. 그 당의 부설기관의 이름은 '요제프 괴벨스 정치연구소'였으며, 따라서 사회민족당의 후신(後身)인 스보보다의 실체에 대해서도 많은 이들이 의구심을 표명하고 있다.[16] 지지세가 미약한 군소 정당이었으나 2009년 테르노필주 지방선거와 2010년 지방선거에서 갈리치아 지방을 중심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으며, 그 지역의 주요 정치단체로 등장하였다.[17] 이후 2012년 우크라이나 총선에서 처음으로 우크라이나 의회에 의원을 배출하였다.[18] 10.44%의 득표를 얻어 제4위 정당이 되었다.

Thumb
2012년 우크라이나 총선거에 있어서의 스보보다의 지지율
Thumb
스보보다의 반(反)빅토르 야누코비치 시위, 2013년 키이우
Thumb
스보보다를 비난하는 플래카드, 2014년 하리코프

르비우를 중심으로 한 서우크라이나 갈리치아 지방에서 지지세가 강하다. 반면 러시아어가 우세한 동우크라이나에서는 미약하다. 2014년 1월 크림 자치 공화국 의회는 스보보다의 활동과 상징을 금지시켰다.[19]

선거

자세한 정보 날짜, 정당 대표 ...
날짜정당 대표비고
1995년~2004년야로슬라프 안드루시키우
2004년~올레흐 탸흐니보크
닫기
자세한 정보 연도, 총 투표수 ...
연도 총 투표수 총 득표 비율 획득 의석 의석 변화 내각
1994년 49,483 0.20
0 / 450
1998년 45,155 0.20
1 / 450
증가 1 야당
2002년 선거 불참
0 / 450
감소 1
2006년 91,321 0.36
0 / 450
2007년 178,660 0.76
0 / 450
2012년 2,129,246 10.45
37 / 450
증가 37 야당
2014년 741,517 4.71
6 / 450
감소 31 야당
2019년 315,530 2.15
1 / 450
감소 5 야당
닫기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