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각류(長脚類, Massopoda)는 용각아목 하위의 분류군으로, 트라이아스기 후기부터 백악기 후기까지 서식했다. 영어 이름은 그리스어 낱말 'μάσσων'(massōn, 더 긴)과 'ποδός'(podós, 발들 또는 다리들)의 합성어이다. 처음 분류된 것은 2007년이다.
2007년에 Adam M. Yates는 용각아목에 속하는 속들 가운데, 플라테오사우루스보다 계통상 살타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것들을 플라테오사우루스류 하위의 장각류로 분류했다.[1]
용각하목, 마소스폰딜루스과와 리오자사우루스과가 장각류로 분류된다.[2]
계통 분류
아래의 분지도는 Cecilia Apaldetti 외의 2011년 연구를 따랐다.[3]
장각류 |
리오자사우루스과 (Riojasauridae) |
|
에우크네메사우루스 (Eucnemesaurus) |
|
|
리오자사우루스 (Riojasaurus) |
|
|
|
|
|
|
이그나부사우루스 (Ignavusaurus) |
|
|
사라사우루스 (Sarahsaurus) |
|
|
|
|
마소스폰딜루스과 (Massospondylidae) |
|
|
콜로라디사우루스 (Coloradisaurus) |
|
|
글라키알리사우루스 (Glacialisaurus) |
|
|
루펭고사우루스 (Lufengosaurus) |
|
|
|
|
|
마소스폰딜루스 (Massospondylus) |
|
|
|
아데오팝포사우루스 (Adeopapposaurus) |
|
|
레예사우루스 (Leyesaurus) |
|
|
|
|
|
|
|
|
|
윤나노사우루스 (Yunnanosaurus) |
|
|
|
징샤노사우루스 (Jingshanosaurus) |
|
|
|
세이타드 (Seitaad) |
|
안키사우루스류 (Anchisauria) |
|
안키사우루스 (Anchisaurus) |
|
|
|
아르도닉스 (Aardonyx) |
|
|
용각하목 (Sauropoda) |
|
|
|
|
|
|
|
|
|
|
|
|
|
|
|
|
|
아래의 분지도는 Fernando E. Novas 외의 2011년 연구를 따랐다.[4]
장각류 |
리오자사우루스과 (Riojasauridae) |
|
에우크네메사우루스 (Eucnemesaurus) |
|
|
리오자사우루스 (Riojasaurus) |
|
|
|
|
마소스폰딜루스과 (Massospondylidae) |
|
마소스폰딜루스 (Massospondylus) |
|
|
프라다니아 (Pradhania) |
|
|
|
콜로라디사우루스 (Coloradisaurus) |
|
|
|
루펭고사우루스 (Lufengosaurus) |
|
|
그라킬리사우루스 (Glacialisaurus) |
|
|
|
|
|
|
|
안키사우루스류 (Anchisauria) |
|
윤나노사우루스 (Yunnanosaurus) |
|
|
징샤노사우루스 (Jingshanosaurus) |
|
|
안키사우루스 (Anchisaurus) |
|
|
|
|
|
|
|
|
|
|
Yates, Adam M. (2007). “Solving a dinosaurian puzzle: the identity of Aliwalia rex Galton”. 《Historical Biology》 19 (1): 93–123. doi:10.1080/08912960600866953.
Yates, Adam M. (2007). “The first complete skull of the Triassic dinosaur Melanorosaurus Haughton (Sauropodomorpha: Anchisauria)”. 《In Barrett & Batten (eds.), Evolution and Palaeobiology》 77: 9–55. ISBN 978-1-4051-6933-2.
Fernando E. Novas, Martin D. Ezcurra, Sankar Chatterjee and T. S. Kutty (2011). "New dinosaur species from the Upper Triassic Upper Maleri and Lower Dharmaram formations of central India".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01 (3-4): 333–349. doi 10.1017/S1755691011020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