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성책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입성책동(立省策動) 또는 입성론(立省論)은 원 간섭기(학자에 따라서는 원 복속기)에 일부 정치인이 고려를 원나라의 한 행정구역으로 편입시키려고 한 시도들을 말한다.

사례

김혜원(1994)에 따르면[1] 이 시도는 적어도 일곱 차례가 있었다. 정리한 내용은 이범직(2002)을 따랐다.[2]

자세한 정보 시기, 제안자 ...
시기제안자정치 성향제기의 목적입성을 반대한 사람
1302년(충렬왕 28)홍중희부원 세력요양행성 세력의 확대충렬왕, 홍군상(洪君祥), 完澤, 哈剌哈孫
1308년~1309년(충선왕 복위~원)충선왕의 요양 간섭 배제김이(金怡), 흥성태후(興盛太后), 方忙古台
1323년(충숙왕 10) 1월류청신, 오잠심왕 측근 세력심왕의 고려 왕 즉위이제현, 拜住, 王約, 回回, 王觀
1323년 12월김이, 이제현, 최유엄(崔有渰), 최성지(崔誠之) 등
1330년(충혜왕 즉위)장백상, 양재충숙왕 측근 세력충숙왕 복위충혜왕
1336년(충숙왕 복위 5)노강충, 왕의, 왕영충혜왕 측근 세력충혜왕 복위충숙왕
1343년(충혜왕 복위 4)이운, 조익청, 기철반충혜왕 세력기씨 집안의 정권 장악
닫기

관련 논문

  • 이범직, 〈원 간섭기 立省論과 柳淸臣〉, 《역사교육》 81, 역사교육연구회, 2002년
  • 이정신, 〈고려 후기 입성론과 국왕의 역할〉, 《한국사연구》 179, 한국사연구회, 2017년
  • 이명미, 〈몽골 복속기 立省論의 구성 과정과 맥락: 초기의 立省 관련 논의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52, 역사학회, 2021년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