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요 국의 요(予)는 원래 '요(豫)'의 대음표기인데, '요'를 '여(與)'로 적은 목간도 발견된다(발음은 똑같이 '요'이다). '이요'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온천설
'이요'의 '요(よ)'를 온천을 뜻하는 일본어 '유(ゆ)'가 와전된 것으로 보고, 여기에 '이'라는 글자가 붙어 '이요'가 되었다고 해석하는 설이다. 여기서 말하는 온천이란 도고(道後) 온천을 가리킨다고 보이며, '이'에는 또한 '좋다(いよ)'는 의미가 더해져 '좋은 온천'이라는 뜻이 '이요'라는 말에 담겨 있다는 해석도 있다. 「에히메 현의 불가사의 사전」(데라우치 히로시 외 편)에 따르면 이 설은 옛날 특수 가나 사용법으로 볼 때 일반적으로는 '유'가 '요'로 음운이 변화하는 일은 없으며, 헤이안 시대의 《연희식》에 '이요노고오리(伊予郡)'와 '온센노고오리(溫泉郡)'라는 이름을 가진 두 개의 군이 등장하는데 '이요'가 '온천'을 뜻한다면 굳이 '온천'이라는 다른 단어를 온천이 있는 지역의 군 이름으로 쓸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샘에서 비롯되었다는 설
고대 일본인들은 온천 말고도 땅에서 물이 솟아나는 지점인 샘을 가리켜 '이유(いゆ)'라 불렀는데 이것이 변해서 '이요(いよ)'라는 발음이 되었다는 설이다. 고대로부터 현재까지, 생명이 생존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물이 솟아나는 샘은 고마운 존재로서 특별지역으로 중시되었고, 이것이 샘 주변을 가리키는 소지역으로서의 지명에서 보다 넓은 지역, 나아가 《고사기》에도 언급된 「이요의 이명지도(二名之島)」즉 지금의 일본 시코쿠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으로 자리잡아갔다는 것이다. 이 설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지금 일본 에히메 현 이요 군 마쓰마에(松前) 정에 있는 이요 신사로, 일본 조정으로부터 정4위상의 관위를 수여받기도 한 이 신사에서 모시는 신은 달의 신 쓰쿠요미노 미코토(月夜見命) 그리고 에히메노 미코토(愛比賣命)와이다. 에히메란 《고사기》에 "이요를 에히메라 하다(伊予を愛比売といひ)"라고 나오는 것에서 보이듯, 에히메 현의 옛 지명이다. 또한 동명의 이요시 우에노 지구에 있는 신사의 옛 경내 터에는 이코이(彌光井) 신사의 샘터가 있는데, 고대에 이 땅은 완만한 경사지대로 물이 부족했던 여건상 샘이 특별히 귀하게 여겨졌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이상 이요시 홍보 2006년 1월호 참조)
이야(彌)설
《일본서기》에 나오는 각종 단어들의 출전을 중국 고전에서 찾아 정리하기도 했던 학자 다니가와 고토스가(谷川士淸)는 《야마토훈간(倭訓栞)》에서, "伊豫ノ二名ノ洲"로도 불렸던 시코쿠는 일본의 국토창생신화에서는 아와지섬 다음으로 태어났다고 나오는 것에서, '이요'는 사물의 겹침을 뜻하는 '이야(彌, いや)'를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예(預)설
《예장기(豫章記)》라는 문헌에 「천신(天神) 제6대 면족황근존(面足惶根尊)」이라는 신이 이요(伊豫) 국을 지배할 때, 「(이요 국을) 이(伊, 그에게) 예(豫, 맡긴다)」라는 조를 내렸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하지만 '이요'를 '伊豫'로 표기한 건 수많은 한자 차음표기의 하나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