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헬스(또는 u-Health, U-헬스, U-헬스케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는 유·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건강 관리 및 의료 서비스를 지칭한다.[1][2] 유헬스의 유(U)는 유비쿼터스에서 첫 글자를 따온 것이다.[3]

서로 다른 학문 영역과 연구자들에 의해 유헬스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었다.[2] 특히 공학정보과학 영역에서 이러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는데, 이들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의학 및 헬스케어 산업에 적용시킨 것을 유헬스로 정의하는 경향성을 가진다.[4][5][6] 즉, 내재성(embeddedness)과 이동성(mobility)를 극대화시킨 형태의 컴퓨팅을 헬스케어에 적용하는 개념을 유헬스로 부르고 있다.[7] 일부 연구자들은 유헬스를 eHealth보다 한 단계 진보된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1][4][8] eHealthTelehealth의 동의어로 보는 의견,[9][10] mHealth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는 의견 등도 존재한다.[10][11][12] WHOeHealth, mHealth, Telehealth 등의 용어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면서 포괄적이고 통일된 용어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였고, 유헬스에 관한 별도의 용어 정의는 하지 않고 있다.[13]

유헬스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의료의 공정한 제공과 편의성을 추구하지만, 개인정보 침해나 비용 문제, 의료사고의 가능성 및 법적 책임, 서비스의 질 관리 등의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1][5][14]

분야 및 적용

유헬스를 통하여 전통적인 의료 영역에서 벗어나 시간적·공간적인 확대, 소비자·공급자의 확대, 서비스의 다양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15] 유헬스 기술의 대표적인 목표로 시간적인 손실의 감소와 정보처리의 신속성, 의료 비용의 감소, 부정확한 의료 제공의 방지 등이 있다.[16] 직접 대면하는 의료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람들, 의료취약층들에게 유헬스를 이용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유헬스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효과적일 수 있는 의료취약계층의 전체 규모는 562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2%수준으로 추산된다.[17] 또한 최근 사회적 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 관리에도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2][17] 유헬스를 응용할 수 있는 분야는 활력 징후, 심전도 등 기본적인 생체 데이터부터 천식, 파킨슨병 같은 질환이나 응급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대표적으로 꼽힌다.[4][18] 이러한 특수 소비자들 뿐만 아니라 질병 예방 등을 목표로 하거나, 건강 증진을 추구하는 일반인들 역시 유헬스의 잠재적 이용 대상이 될 수 있다.[15]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08년 발간한 보고서에서 u-Healthcare의 영역을 다음과 같은 4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였다.[1]

  • 의료-처치
  • 의료-평가
  • 건강관리-처치
  • 건강관리-평가

이러한 대분류 영역에 각각의 서비스를 분류한 후, 이 서비스들을 서로 연계하여 여러 영역에 걸친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u-Healthcare을 "u-Health 환경의 구축을 통해 실현가능해진 부가가치적 보건의료서비스"로 정의하고, u-Health 환경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u-Health 환경의 구체적 구성 요소의 예는 다음과 같다.[1][7]

  • 기술적/의료적 환경
EHR (electronic health record, 평생전자건강기록), CDSS (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임상의사결정지원), 패턴마이닝 기반 임상진료지침, u-Healthcare 표준 인터페이스, USN 기반 생체신호 처리, 의료영상 처리, RFID 기반의 병원정보시스템 (스마트카드, 약품·환자·경영관리 등), 임상-바이오-생체정보 융합기술 (환자 안전 증진, 질병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등), ...
  • 제도적 환경
u-Health 특별법, u-Health 표준화 시스템, u-Health 인증 시스템, ....
  • 사회문화적 환경
u-Health 전문인력 양성체제 (융합 교육 프로그램 및 다학제 교육과정 등), u-Health 산업체 지원체제, u-Health 인식도 및 수용성 제고체제 (홍보 등), ...

삼성경제연구소는 2007년의 보고서에서 u-Health 관련 사업을 다음과 같은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15]

  • u-Hospital 군
  • 홈 & 모바일 헬스케어 군
  • 웰니스 군

구체적으로 u-Hospital 군은 의료기관의 모바일화 및 네트워킹의 확대, 즉 모바일을 이용한 병원정보 제공, 예약 관리, 원격 진료, 의료 스마트 카드, 모바일 병원 등을 예시로 들었다. 홈 & 모바일 헬스케어 군은 노인만성질환자를 중심으로 모바일 원격 관리, 실버타운 건강관리, 위치추적 서비스, 모바일 처방전 등을 예시로 들었다. 마지막으로 웰니스 군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가정 및 이동 공간에서의 건강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정의하고, 모바일 운동량 체크, 모바일 스트레스·비만관리, 카운셀러 건강상담, u-Fitness 등을 예시로 하였다.

윤리적 쟁점

프라이버시 문제, 불평등 문제, 건강 행태 변화에 대한 책임 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다.[19]

현황

대한민국의 유헬스 산업

2003년 이후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유헬스시스템이 구축되기 시작하였다.[20][21] 2005년 대전광역시를 시작으로 공공부문에서도 유헬스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기 시작하였다.[2] 이후 모바일 건강관리, 웨어러블 컴퓨터, 온라인 진료상담, 의료 텔레메틱스 등의 다양한 기술이 유헬스에 접목되었다.[17]

전망

헬스케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매년 20% 이상의 성장률이 기대되는 등, 유헬스 분야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22] 특히 AI, IoT, 빅데이터 개념의 대중화와 함께 기술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23] 유헬스를 활용한 산업의 정착을 위해 기술적인 발전, 사회적인 환경 및 인프라 조성, 관련 정책의 확립의 세 가지 사안이 조화롭게 해결되어야 한다.[7][24]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in your browser!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