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대논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10대논사(十大論師) 또는 유식 10대 논사(唯識十大論師)는 세친의 《유식삼십송》의 주석서를 저술한 인도 불교의 유식학의 아래 목록에 나열된 10명의 논사들을 말한다.[1][2][3] 현대 학자들은 인도 불교의 유식학을 총 3기로 나누는데, 제1기는 미륵과 무착의 유식학이고 제2기는 세친의 유식학이며 제3기는 유식 10대 논사의 유식학이다.[4]
10대 논사들의 주석서들 중 현존하는 것은 안혜의 《삼십송석론(三十頌釋論)》 뿐이며,[3] 법상종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은 호법의 주석을 주로 하고 거기에다 다른 유식 10대 논사의 학설을 취사선택하여 659년에 현장(玄奬)이 번역 · 편집한 것이다.[5]
- 호법(護法) 산스크리트어: Dharmapāla
- 덕혜(德慧) 산스크리트어: Gunamati
- 안혜(安慧) 산스크리트어: Sthiramati
- 친승(親勝) 산스크리트어: Bandhuśri
- 난타(難陀) 산스크리트어: Nanda
- 정월(淨月) 산스크리트어: Śuddhacandra
- 화변(火辨) 산스크리트어: Citrabhāna
- 승우(勝友) 산스크리트어: Visesamitra
- 최승자(最勝子) 또는 승자(勝子) 산스크리트어: Jinaputra
- 지월(智月) 산스크리트어: Jñānacandra
참고 문헌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