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위치하에서 양양군에 양주(襄州)와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이는 수나라의 중국통일이후 유지되었다가 수 문제가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양주를 양양군으로 개명하고 총관부를 폐지하면서 바뀌었다. 11현 99,577호를 거느렸다.[4]
또한 신안현(新安縣), 무창현(武昌縣), 무평현(武平縣), 안무현(安武縣), 건평현(建平縣)이 남남양군으로 분리되기도 했다.[4]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양양현 |
襄陽縣 |
샹양 시 샹청 구 양양고성 |
현내에 종산(鐘山), 현산(峴山), 봉림산(鳳林山)이 있었다. |
안양현 |
安養縣 |
샹양 시 판청 구 번성(樊城) |
서위 때 하남군에 속했다. 북주시기 번성현(樊城縣)과 산도현(山都縣)이 통폐합되었고 문제시기 하남군이 폐지되자 양양군으로 내속되었다. |
곡성현 |
穀城縣 |
샹양 시 구청 현 |
북주 때 의성군(義城郡)이 폐지되자 양양군의 속군이 되었으며 흥국군(興國郡)이 폐지되어 본군에 내속되었다. 개황초 축양현(築陽縣)이 통폐합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의성현(義城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현내에 곡성산(穀城山)과 궐림산(闕林山)이 있었다. |
상홍현 |
上洪縣 |
샹양 시 이청 시 안뇌촌(安垴村)남 |
서위 때 동진시기 교치된 약양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또한 양나라 때 본현에 덕광군(德廣郡)이 설치되었는데, 개황초기 폐지되었다. 또한 서위 때 신야군이 위녕군(威寧郡)으로 개명되고 북주 때 폐지됨에 따라 신야군지역도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아산(亞山)이 있었다. |
솔도현 |
率道縣 |
샹양 시 이청 시 소하진(小河鎭) 동 |
양나라 때 설치되었다. |
한남현 |
漢南縣 |
샹양 시 이청 시 의성현고성 |
본래 화산군(華山郡)이 있었는데, 서위 때 화산군 화산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고 군또한 폐지되어 의성군(宜城郡)의 속현이 되었다. 북주 때 진남군(秦南郡)이 통폐합되었고 무건군(武建郡)과 속현인 혜회현(惠懷縣), 석량현(石梁縣), 귀인현(歸仁縣), 언현(鄢縣)이 통폐합되었고 의성군 또한 무천(武泉)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석량산(石樑山)이 있었다. |
음성현 |
陰城縣 |
샹양 시 라오허커우 시 소가하촌(蘇家河村) |
서위 때 찬성군(酂城郡)이 설치되었는데 북주 때 산도군(山都郡)과 함께 폐지되었다. |
의청현 |
義淸縣 |
샹양 시 샹청 구 이집향(伊集鄕) 서남 |
양나라 대 양현(穰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었으나 서위 때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고 귀의군(歸義郡)에 속하게 되었다. 북주 때 군과 강좌현(江左縣), 개남현(開南縣), 귀인현(歸仁縣)이 통폐합되었다. 개황초기 무천군(武泉郡)이 본 현에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사산(柤山), 영산(靈山), 단계수(檀溪水), 양수(襄水)가 있었다. |
남장현 |
南漳縣 |
샹양 시 난장 현 |
북주 때 남남양군이 저주(沮州)로 승격되었으나 얼마못가 폐지되었다. 현내에 형산(荊山)이 있었다. |
상평현 |
常平縣 |
샹양 시 샹청 구 니저진(泥咀镇) 동 |
서위 때 의안현(義安縣)이란 이름으로 설치되어 장호군에 속하게 되었지만 후에 현명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고 개황초기 군이 폐지되었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