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토성의 제10위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야누스(Janus)는 토성의 내위성이다. Saturn X라고도 알려져 있다. 후에 로마 신화의 야누스(Janus)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야누스 Janus | ||
2010년 4월 7일, 카시니가 촬영 | ||
발견 | ||
---|---|---|
발견자 | 오우딘 돌푸스 | |
발견일 | 1966년 12월 15일 | |
명칭 | ||
다른 이름 | Saturn X | |
궤도 성질 (역기점 December 31, 2003 (JD 2 453 005.5)[1]) | ||
모행성 | 토성 | |
궤도 긴반지름(a) | 151460±10 km | |
공전 주기(P) | 0.694660342 일 | |
궤도 경사(i) | 0.163°±0.004° (토성 적도 기준) | |
궤도 이심률(e) | 0.0068 | |
물리적 성질 | ||
반지름 | 89.5±1.4 km [2] | |
부피 | ≈ 716000 km3 | |
평균 밀도 | 0.63±0.03 g/cm³ [2] | |
질량 | (1.8975±0.0012)×1018 kg [2] | |
표면 중력 | 0.011–0.017 m/s2 [2] | |
반사율 | 0.71±0.02 (기하학적) [3] | |
자전 주기 | 동주기 자전 | |
자전축 기울기 | 0 | |
평균 온도 | 76 K |
야누스는 에피메테우스(Epimetheus)와 같은 궤도를 공유한다. 이것은 해당 궤도에 하나의 천체만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많은 천문학자들에게 혼란을 일으켰고 오랜 기간 연구가 행해졌다. 결국 두 개의 서로 다른 천체를 단일 천체로 생각하고 관찰함으로써 빚어진 혼선이었음이 드러났다.
야누스는 오우딘 돌푸스(Audouin Dollfus)가 1966년 12월 15일에 처음으로 발견한 것으로 여긴다.[4] 새로운 천체는 임시로 S/1966 S 2이라는 이름을 부여받았다. 그 이전에 장 텍세호(Jean Texereau)가 1966년 10월 29일 야누스의 사진을 찍었지만 스스로는 그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다. 12월 18일에는 리차드 워커(Richard Walker)가 비슷한 관측을 통해 에피메테우스를 발견하였다.[5]
12년 후인 1978년 10월, 스티븐 M. 라슨(Stephen M. Larson)과 존 W. 폰테인(John W. Fountain)이 1966년의 관측결과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천체가 거의 비슷한 궤도를 공유한다고 했을 때 가장 잘 설명된다는 것을 깨달았다.[6] 1980년에는 보이저 1호(Yoyager 1)가 그것을 실제로 확인했다.[7]
야누스는 이후에도 계속 관찰되었고, 다른 임시 명칭이 주어졌다. 1979년 9월 1일에 파이어니어 11호(Pioneer 11)가 토성을 통과하였을 때는 S/1979 S 2로 불렸다.[8] 3대의 입자 검출기가 야누스의 그림자를 조사하였다. 1980년 2월 19일, 댄 파스쿠(Dan Pascu)에 의해서 관측되기도 했고,(S/1980 S 1)[9] 스티븐 M. 라슨, 존 W. 폰테인, 해럴드 J. 레잇시마(Harold J. Reitsema), 브래드퍼드 A. 스미스(Bradford A. Smith)에 의해서도 관측되었다. (S/1980 S 2)[10]
이 위성은 로마 신화의 두 얼굴의 신인 야누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66년의 발견 직후에 이 이름이 비공식적으로 제안되었지만,[11] 1983년에 에피메테우스가 정식 이름을 얻을 때까지 야누스도 공식적인 이름을 갖지 못했다.[a] 옥스포드 영어사전에 의하면, 위성 이름 야누스의 형용사형은 'Janian'이다.
야누스는 직경 30km가 넘는 몇 개의 크레이터를 포함해서 아주 많은 크레이터를 갖고 있지만, 선형을 이루는 요소들은 거의 없다. 야누스의 표면은 프로메테우스보다 오래되었지만, 판도라보다는 젊은 것으로 보인다. 밀도가 아주 낮고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야누스는 다공성의, 얼음으로 덮인 러블 파일 천체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야누스의 모양은 구형에서 크게 벗어나 있다.
야누스와 에피메테우스의 궤도 구역에는 흐릿한 먼지 고리가 존재한다. 2006년에 카시니 호가 사진으로 찍어 그 모습을 확인했다. 이 고리는 방사형으로 5000km가량 펼쳐져 있다.[12] 고리를 이루는 물질들은 위성들의 표면이 충돌로 깨어지면서 생겨나며, 이 물질들이 위성의 공전궤도에 확산형의 고리를 형성한다.[13]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