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군(信都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군국제 시행 시에는 광천국(廣川國), 신도국(信都國), 안평국(安平國)이기도 했다.
전한
기주자사부에 속했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65,556호, 304,384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2][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7현이다. 서울은 신도현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신도현 | 信都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 고장하(故漳河)와 고호지(故虖池)가 모두 북쪽에 있어 동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우공》의 강수(絳水)도 바다로 들어간다. |
역현 | 歷縣 | 헝수이시 구청 현 북 | |
부류현 | 扶柳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 |
벽양현 | 辟陽縣 | 헝수이시 짜오창 현 남서 | |
남궁현 | 南宮縣 | 싱타이시 난궁 시 서 | |
하박현 | 下博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 |
무읍현 | 武邑縣 | 헝수이시 우이 현 북동 | |
관진현 | 觀津縣 | 헝수이시 우이 현 동 | |
고제현 | 高隄縣 | 헝수이시 짜오창 현 북동 | |
광천현 | 廣川縣 | 헝수이시 짜오창 현 북동 | |
악향현 | 樂鄕縣 | 헝수이시 선저우 시 동 | |
평제후국 | 平隄侯國 | 헝수이시 징 현 남서 | |
도후국 | 桃侯國 | 헝수이시 북서 | |
서량후국 | 西梁侯國 | 신지 시 남 | |
창성후국 | 昌成侯國 | 헝수이시 지저우 구 북서 | |
동창후국 | 東昌侯國 | 헝수이시 우이 현 북동 | |
수현 | 脩縣 | 헝수이시 징 현 남 |
신
군의 이름을 신박(新博)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 신 |
---|---|
신도 | 신박정(新博亭) |
역 | 역녕(歷寧) |
벽양 | 악신(樂信) |
남궁 | 서하(序下) |
하박 | 윤박(閏博) |
무읍 | 순환(順桓) |
관진 | 삭정정(朔定亭) |
악향 | 악구(樂丘) |
도 | 환분(桓分) |
동창 | 전창(田昌) |
수 | 수치(脩治) |
후한
후한 명제시기 낙성군(樂城郡)으로 개명되었다가 122년(연광 원년) 안평국(安平國)으로 개명되었으며 탁군의 일부 현들이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13현 91,440호 655,180명을 거느렸다.[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신도현 | 信都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 |
부성현 | 阜城縣 | 신지 시 왕구진 북 | 창성현(昌城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
남궁현 | 南宮縣 | 싱타이시 난궁 시 서 | |
부류현 | 扶柳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 |
하박현 | 下博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 |
무읍현 | 武邑縣 | 헝수이 시 우이 현 | |
관진현 | 觀津縣 | 헝수이시 우이 현 동 | |
당양현 | 堂陽縣 | 싱타이 시 신허 현 | 거록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무수현 | 武遂縣 | 헝수이 시 우창 현 북서 | 하간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요양현 | 饒陽縣 | 헝수이 시 라오양 현 | 옛이름은 요(饒)로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무루정(蕪蔞亭[4])이 있다. |
안평현 | 安平縣 | 헝수이시 안핑현 |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남심택현 | 南深澤縣 | 스자좡시선쩌현 동 |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
위진
위나라에선 기주 자사의 치소를 신도로 옮겼다. 서진시기 일련의 행정개편을 겪으면서 5개 속현을 잃었다.
개편이전 | 개편이후 | ||
---|---|---|---|
안평군 | 신도현, 부류현, 하박현, 무읍현, 관진현, 무수현, 광종현, 경현 | 안평군 | 신도현, 하박현, 무읍현, 무수현, 관진현, 부류현, 광종현, 경현 |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 | 박릉군(서진대에 복치됨) |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 | |
부성현 | 발해군 | 부성현(전한대 부성현 치소로 옮겨지면서 발해군으로 이관) | |
남궁현, 당양현 | 폐지 | 남궁현, 당양현 |
안평군은 8현 21,000호를 거느렸다.[5]284년(태강 5년) 군명을 장악군(長樂郡)으로 개명했다.[6]
북조
석륵이 기주를 점령하면서 후조의 관할로 들어왔다가 후조가 염위와 전연에게 무너진 뒤엔 전연이 차지했다. 이후 전진에 소속되었다가 전진이 무너진 뒤 후연을 세운 모용수가 이곳을 차지하고 신도현에 기주자사부를 두었다. 397년(황시 2년) 북위 도무제 탁발규에 의해 신도가 점령되면서 북위의 땅으로 넘어갔다.[6]
북위
8현 35,683호 143,145명을 거느렸다.[6] 그리고 과거 장악군에 속했던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당양현 | 堂陽縣 | 싱타이 시 신허 현 북서 | 서진초에 폐지되었던 당양현을 복구했다. 형구(荊丘)가 있다. |
조강현 | 棗强縣 | 헝수이 시 짜오창 현 | 서진시기 광천군에 통폐합되있었다가 415년(신서 2년) 광천현에 통폐합되었다. 498년(태화22년) 광천현이 복구되었다. 자조성(煑棗城)이 있다. |
부류현 | 扶柳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 442년(태평진군 3년) 당양현을 통폐합했다가 |
삭노현 | 索盧縣 | 서진시기 광천군에 속했다가 415년 광천현을 통폐합했다. 498년 복구되었다. 삭노성이 있다. | |
광천현 | 廣川縣 | 헝수이 시 짜오창 현 동 | |
남궁현 | 南宮縣 | 싱타이시 난궁 시 북서 | 서진에서 폐지됐던 것을 복원했다. |
신도현 | 信都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 무양성(武陽城), 안성(安城), 그리고 피양성(辟陽城)이 있으며 기주 자사부가 있는 곳이다. |
하박현 | 下博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동 |
수
신도군(信都郡)으로 되돌아왔다. 12현 168,718호를 거느렸다. 주제를 실시했을 때 기주(冀州)로 칭했다.[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장악현 | 長樂縣 | 헝수이 시 지저우 구 | 북제에서 부류현을 통폐합했다. 개황초에 폐현되었다가 신도현에서 장악현을 분리신설하면서 등장했다. 그리고 596년(개황 16년) 본현에서 담성현(潭城縣)을 분리신설했다. 대업초에 담성현은 폐지되었고 신도군을 세웠다. |
당양현 | 堂陽縣 | 싱타이 시 신허 현 북서 | 북제시기 폐지되었다가 596년 복구되었다. |
형수현 | 衡水縣 | 헝수이 시 서 | 596년 설치되었으며 헝수이 시의 전신이다. |
조강현 | 棗强縣 | 헝수이 시 짜오창 현 동 | 북제에서 삭노현, 광천현을 통폐합시켰다. |
무읍현 | 武邑縣 | 헝수이 시 우이 현 | 북제에서 폐지된 것을 586년(개황 6년) 복구되었다. 그리고 북제 관진현의 고지를 흡수했다. 596년 무강현에서 창정현(昌亭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폐지되었다. |
무강현 | 武强縣 | 헝수이 시 우창 현 서남 | 무읍군의 치소가 있었다. 북제에서 무읍군을 폐지한 뒤 무수현을 통폐합했다. |
남궁현 | 南宮縣 | 싱타이 시 난궁 시 북서 | 북제에서 폐지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
녹성현 | 鹿城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서 | 북제에서 교현(鄥縣)을 안국현(安國縣)으로 개명했고 586년 안정현(安定縣)으로 개명했다. 598년(개황 18년)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596년 안성현(晏城縣)을 설치했다가 대업초에 폐지했다. |
하박현 | 下博縣 |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동남 | |
수현 | 蓚縣 | 헝수이 시 징 현 | 585년(개황 5년) 수현(脩縣)에서 수현(蓚縣)으로 바뀌었다. 596년 관진현(觀津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폐지했다. |
부성현 | 阜城縣 | 헝수이 시 푸청 현 |
당
기주 참조.
장관
광천상
신도태수
각주
Wikiwand in your browser!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