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직경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시직경(Apparent diameter), 시지름, 또는 각지름(Angular diameter)은 대부분 지구의 관측자가 본 천체의 겉보기 지름을 뜻하며, 각의 단위인 도(°), 분('), 초(″)로 나타낸다 (1°=60'=3600"). 지심(地心)과 천체와의 기하학적 관계에서 계산되는 값에 비하여, 시차(視差) ·대기차 또는 빛이 번지는 영향 등에 의하여 다소 다른 값을 나타낸다. 멀리 있는 물체가 더 작게 보이는 현상 때문에, 실제로 크기가 더 큰 천체가 관측자에 더 가깝게 위치한 작은 천체와 같은 크기로 보일 수 있다. 각크기, 겉보기 지름, 겉보기 크기 등으로도 부른다.

한국 외 국가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가깝게 볼 수 있는 은 요철(불룩하게 튀어나온 봉우리) 때문에 엄밀히 시지름을 정의하기가 곤란하고, 경우에 따라서 여러 값을 정의해 채택하기도 한다.

예로 우리 태양계태양과 지구를 공전하는 의 시지름은 약 0.5°, 안드로메다은하는 약 3°10′ x 10-4°이다. 천체의 모양이 편평타원체인 경우, 극(極)시지름과 적도 시지름이 구별된다. 천문학에서는 시지름의 반인 시반지름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공식

요약
관점
Thumb
각지름을 구하는 공식을 위한 개념도

물체의 시지름을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는 물체의 시지름, 는 겉보기지름, 그리고 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뜻하고 는 서로 같은 단위로 표현된다. 에 비해 매우 커지게 되면 라디안 값은 공식 으로 어림계산될 수 있다.

실제 지름이 인 둥근 물체가 있다면, 그것의 시지름은 다음 공식으로 풀이할 수 있다.

참고로 이 공식을 활용해보면, 비교적 가까이 위치한 둥근 물체에 한해서만 겉보기 지름 와 실제 지름 의 차이가 의미있는 값을 가진다.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