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부천시의 행정 구역

부천시의 행정 구역은 3구 37동 723통 5,147반으로 나뉘어 있다. 면적은 경기도의 0.5%인 53.4km2이며, 개발제한구역은 12.13km2로 전체 면적의 22.7%에 해당한다. 인구는 2024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344,277세대 807,376명이며, 인구밀도는 15,119명/km2이다.[1]

Thumb
부천시 행정 구역

행정 구역

면적은 부천시청에서 제공하는 통계 자료[2]에 근거하며, 인구와 세대는 2023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이다.

자세한 정보 구, 행정동 ...
행정동한자면적인구세대
원미구심곡1동深谷一洞0.44--
심곡2동深谷二洞0.64--
심곡3동深谷三洞0.39--
원미1동遠美一洞1.11--
원미2동遠美二洞0.39--
소사동素砂洞0.55--
역곡1동驛谷一洞1.19--
역곡2동驛谷二洞1.04--
춘의동春衣洞2.92--
도당동陶唐洞1.99--
약대동若大洞0.70--
중동中洞0.70--
중1동中一洞1.41--
중2동中二洞0.99--
중3동中三洞0.80--
중4동中四洞0.65--
상동上洞0.86--
상1동上一洞0.57--
상2동上二洞1.77--
상3동上三洞1.45--
원미구 소계 20.58394,296174,400
소사구심곡본1동深谷本一洞0.73--
심곡본동深谷本洞0.98--
소사본동素砂本洞1.97--
소사본1동素砂本一洞1.03--
범박동範朴洞1.13--
옥길동玉吉洞2.92--
괴안동槐安洞0.67--
역곡3동驛谷三洞1.03--
송내1동松內一洞1.14--
송내2동松內二洞1.23--
소사구 소계 12.83230,06099,277
오정구성곡동城谷洞4.56--
원종1동遠宗一洞1.42--
원종2동遠宗二洞0.61--
고강본동古康本洞1.56--
고강1동古康一洞1.99
오정동梧亭洞6.77
신흥동新興洞3.14
오정구 소계 20.04155,61270,419
합계 53.46779,968344,096
닫기

법정동

자세한 정보 구, 행정동 ...
행정동 법정동
원미구원미동 원미동
심곡동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춘의동 춘의동
도당동 도당동
약대동 약대동
소사동 소사동
역곡동 역곡1동, 역곡2동
중동 중동, 중1동, 중2동, 중3동, 중4동
상동 상동, 상1동, 상2동, 상3동
소사구 소사본동 소사본동, 소사본1동
심곡본동 심곡본동
범박동 범박동 (일부), 옥길동 (일부)
괴안동 괴안동
송내동 송내1동, 송내2동
옥길동 옥길동 (일부)
계수동 범박동 (일부)
오정구 오정동 오정동
여월동 성곡동
작동
원종동 원종1동, 원종2동, 성곡동 (일부)
고강동 고강본동, 고강1동
대장동 오정동
삼정동 신흥동
내동
닫기

연혁

  • 1973년 7월 1일 부천군이 폐지되고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었으며, 계양·오정면을 김포군에, 소래면을 시흥군에, 도서지역을 옹진군에 편입하였다.
  • 1975년 김포군 오정면을 부천시에 편입하였다.
  • 1983년 시흥군 소래읍 계수리, 옥길리 각 일부를 부천시에 편입하였다.
  • 1988년 중구와 남구를 설치하였다.
  • 1993년 2월 1일 중구를 원미구오정구로 분구하고, 남구를 소사구로 개칭하였다. 종전 남구 중 경인선 이북의 지역은 원미구에 편입되었다.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부천시조례 제1216호 (법정동)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중구 심곡동, 원미동, 춘의동, 여월동 일부, 작동 일부, 도당동, 약대동, 중동원미구 심곡동, 원미동, 춘의동 일부, 춘의동 일부, 춘의동 일부, 도당동, 약대동, 중동 일부
남구 소사동 일부, 역곡동, 송내동 일부, 중동, 상동원미구 소사동, 역곡동, 상동 일부, 중동 일부, 상동 일부
남구 심곡동, 소사동 일부, 범박동, 괴안동, 송내동 일부, 옥길동, 계수동소사구 심곡본동, 소사본동, 범박동, 괴안동, 송내동, 옥길동, 계수동
중구 여월동 일부, 작동 일부, 원종동, 고강동, 오정동, 대장동, 삼정동, 내동오정구 여월동, 작동, 원종동, 고강동, 오정동, 대장동, 삼정동, 내동
닫기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부천시조례 제1195호 (행정동)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중구 심곡2동, 심곡3동, 심곡진동, 원미1동, 원미2동, 춘의동, 신흥1동, 도당동원미구 심곡2동, 심곡3동, 심곡1동, 원미1동, 원미2동, 춘의동, 약대동, 도당동
남구 소사2동 일부, 역곡1동, 역곡2동, 중동, 상동원미구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중동, 상동
남구 심곡1동, 심곡본동, 소사1동, 소사2동 일부, 소사3동, 범박동, 역곡3동, 괴안동, 송내1동, 송내2동소사구 심곡본1동, 심곡본2동, 소사본1동, 소사본2동, 소사본3동, 범박동, 역곡3동, 괴안동, 송내1동, 송내2동
중구 성곡동, 원종1동, 원종2동, 고강본동, 고강1동, 오정동, 신흥2동오정구 성곡동, 원종1동, 원종2동, 고강본동, 고강1동, 오정동, 신흥동
닫기
  • 1995년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 일부를 오정구 삼정동에 편입하였다.
  • 2016년 7월 4일 책임읍면동제 시행으로 인하여 3개구가 전면 폐지되었으며[3] 10개의 행정복지센터를 설치하였다.[4]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부천시조례 제3034호 (법정동)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원미구 심곡동, 원미동, 소사동, 역곡동, 춘의동, 도당동, 약대동, 중동, 상동심곡동, 원미동, 소사동, 역곡동, 춘의동, 도당동, 약대동, 중동, 상동
소사구 심곡본동, 소사본동, 범박동, 괴안동, 옥길동, 계수동, 송내동심곡본동, 소사본동, 범박동, 괴안동, 옥길동, 계수동, 송내동
오정구 여월동, 작동, 원종동, 고강동, 오정동, 대장동, 삼정동, 내동여월동, 작동, 원종동, 고강동, 오정동, 대장동, 삼정동, 내동
닫기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부천시조례 제3034호 및 제3059호 (행정동)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원미구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2동, 소사동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2동, 소사동 (심곡2동 행정복지센터)
원미구 원미1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원미1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원미1동 행정복지센터)
원미구 중동, 상동, 상1동중동, 상동, 상1동 (중동 행정복지센터)
원미구 약대동, 중1동, 중2동, 중3동, 중4동약대동, 중1동, 중2동, 중3동, 중4동 (중4동 행정복지센터)
원미구 상2동, 상3동상2동, 상3동 (상2동 행정복지센터)
소사구 심곡본1동, 심곡본동, 송내1동, 송내2동심곡본1동, 심곡본동, 송내1동, 송내2동 (심곡본동 행정복지센터)
소사구 소사본동, 소사본3동소사본동, 소사본3동 (소사본동 행정복지센터)
소사구 범박동, 괴안동, 역곡3동범박동, 괴안동, 역곡3동 (괴안동 행정복지센터)
오정구 성곡동, 고강본동, 고강1동성곡동, 고강본동, 고강1동 (성곡동 행정복지센터)
오정구 원종1동, 원종2동, 오정동, 신흥동원종1동, 원종2동, 오정동, 신흥동 (오정동 행정복지센터)
닫기
  • 2017년 7월 1일 상1동을 상2동 행정복지센터 관할로 편입하였다.
  • 2019년 7월 1일 36개의 행정동을 행정복지센터에 따라 10개로 통·폐합하였다(이른바 광역동).[5]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부천시조례 제3404호 (행정동)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2동, 소사동심곡동
원미1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부천동
중동, 상동중동
약대동, 중1동, 중2동, 중3동, 중4동신중동
상1동, 상2동, 상3동상동
심곡본1동, 심곡본동, 송내1동, 송내2동대산동
소사본동, 소사본3동소사본동
범박동, 괴안동, 역곡3동범안동
성곡동, 고강본동, 고강1동성곡동
원종1동, 원종2동, 오정동, 신흥동오정동
닫기
  • 2024년 1월 1일, 책임읍면동제와 광역동제 폐지로, 종래의 3개 구를 재설치하는 등 행정구역을 2016년 7월 4일 이전으로 복구하였다. 다만 소사본3동은 소사본1동으로 개칭하며, 범박동과 역곡3동 일부를 떼어 옥길동을 신설하였다 (3구 37행정동).[6]

지명 유래

자세한 정보 지명, 행정동 ...
지명행정동유래[7]
괴안동소사구 괴안동원래 수백년 묵은 느티나무(槐木:괴목)이 있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괴안동은 속칭 고얀리로 불리었다고 하는데 약 300여년 전 충청도 맹산골에서 목민관을 지낸 안동 권씨가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범박동소사구 범박동범박골은 범씨와 죽산박씨가 정작하여 붙여진 명칭이라는 설과 마을 형태 때문에 호랑이 (범)와 관련하여 붙여진 명칭이라는 설이 있다. 범과 박씨가 연결되어 있는 박씨는 부천에 정착한 죽산 박씨이다.
계수동
역곡동원미구 역곡1동시 승격 전 벌응절리 지역이었고, 역곡이라는 지명은 옛날에 역원이 있었던 마을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벌응절리의 유래에 대해서는 옛낱 이곳에 봉응사(蜂應寺)란 절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다는 설(蜂은 우리 말로 '벌'이고 寺는 우리말로 절)과 왜군의 침략에 '應'하여 왜군을 쳤기(伐) 때문에 붙여진 것이란 설이 있다.
원미구 역곡2동
괴안동소사구 역곡3동
옥길동소사구 옥길동
도당동원미구 도당동벽돌공장이 있었기에 도당동으로 쓰이게 되었다고 하며, 당집이 있어 도당으로 쓰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도당을 어원적으로 보면 당은 산을 뜻하고 도는 건너 또는 너머를 뜻하므로 도당은 ‘산 너머’를 이른다고 할 수도 있다.
춘의동원미구 춘의동춘의동의 옛 이름인 표절리는 '節'개에 경의를 '表'한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예전에 춘의로 초입에 풍산 홍씨가 받은 정려문이 있었다고 한다. 표절리는 부천시 승격 때 춘의산 아래에 있어 춘의동이 되었다. 이 곳에 양짓말이 있어 '봄을 뜻하는 산(春意山)'에서 유래했다고 볼 수 있다.
원미동원미구 원미1동원미산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부평구 관아(현 인천광역시 부평구 계산동 소재)의 동헌에서 아침 해돋이 때의 산세는 그지없이 선연하고 아름다우며 해질녘 노을에 반사된 이 산의 모습이 아름다워 원미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데 정확한 근거는 없다. 원미동은 부천시가 되기 전까지는 조종리(朝宗里), 또는 조마루라고 불렀다.
원미구 원미2동
심곡동원미구 심곡1동산골이 아닌 허허벌판인 이 마을에 깊은 구지를 의미하는 심곡이 붙은 것은 본래의 의미와는 거리가 있다. 이 지역의 고유한 명칭은 심곡1동은 벌막, 심곡2동은 진말, 심곡3동은 먹적골이다. 벌막은 벌판(坪村)의 큰 길 분기점에 마을과 주막거리가 생긴 데에서 유래한다. 진말은 비가 좀 와도 배수가 잘 되지 않아 땅이 무척 질었다는 것과 동학항쟁 때 이곳에 진을 쳤다고도 하는 데에서 유래한다. 먹적골은 조선시대 牧自里 즉 牧自골로 불린 데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원미구 심곡2동
원미구 심곡3동
심곡본동소사구 심곡본동‘깊은 구지’는 지금의 심곡본1등 605번지 해묵은 느티나무(이 느티나무는 도당굿을 지내던 나무로 손자나무에 해당한다)가 있는 곳인데 이 길목은 그 옛날 마니골(인천광역시 부평구 장수동)로 넘어 가는 길이었다. 이곳 토양은 척박하고 토질이 나빠 조, 콩, 메밀 등을 주로 심었다고 한다. 이 길 일대에 할아버지 나무와 할머니 나무 그리고 손자 나무가 있고, 나무가 울창하여 붙여진 것으로 깊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 즉, ‘깊은 구지’이다. 심곡동은 여기에서 연유하였다.
소사구 심곡본1동
소사동원미구 소사동소사는 '소사'로 표기하고 토박이말로 '소새(쇠)'로 읽는다. 이곳에 오래 산 촌로들은 지금도 소새(쇠)라고 말한다. 소새는 고운 모래를 일컫는다. 한편 소쇠를 추론한다면 '쇠'가 철광에서 연유한 것이 아닌가 하는 정도이나 확증은 없다.
소사본동소사구 소사본동
송내동소사구 송내1동경인국도와 경인전철 사이에 위치한 마을로 시 승격 직후에도 언덕산과 이 마을 초입에 해묵은 소나무가 마을을 둘러싸고 있어 소나무로 둘러싸인 안동네, 즉 ‘솔안말’이었다. 송내동은 여기에서 연유하였다.
소사구 송내2동
상동원미구 상동시 승격 전 소사읍 상리였으며 지금은 상동지구가 들어섰다. 평야 지역으로 동네방죽, 배락논, 쪼갈논, 갈논, 운둥군논, 돌다리논, 동정머리논, 투명배미논, 쇠밭이논, 물문개논, 세벽구덩이논, 밭뜬논, 세귀밭논, 봉초논, 덕배미, 장승백이논, 백지논, 앞자리논, 쪽다리논, 앞방죽논과 같이 논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
원미구 상1동
원미구 상2동
원미구 상3동
중동원미구 중동시 승격 전 소사읍 중리에 속했던 넓은 평야지역이다. 지금은 중동신도시가 들어섰다.
원미구 중1동
원미구 중2동
원미구 중3동
원미구 중4동
약대동원미구 약대동시 승격 전 오정면 약대리 지역으로 약물터가 있으므로 약대라고 하였는데, 부천군 때는 약대리라고 해서 오정면에 속했다. 본래 도당동, 약대동, 내동, 삼정동이 모두 약대동이었다.
고강동오정구 고강본동고강동이라는 이름은 ‘옛날에 있었던 마을’이라고 해서 붙여진 고리울에서 ‘고’, 강장골에서 ‘강’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고강동에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지가 있다.
오정구 고강1동
작동오정구 성곡동작동과 여월동을 합하여 성곡동이 되었다. 작동은 까치울을 한자로 표기한 것인데 까치는 작다는 뜻도 있으므로 작고 아늑한 마을이란 뜻이다.
여월동
내동오정구 신흥동내동과 삼정동을 합하여 신흥동이 되었다. 경인고속도로의 내동 인터체인지가 만들어지면서 공업지역이 된 곳이다. 내동은 춘의산 북녘으로 이어진 능선 끝과 예전 늪지대였던 삼정동, 대장동, 오정동 일대의 중간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삼정동은 약 300 여 년 전 밀양 박씨가 마을을 이루어 형성되었다.
삼정동
오정동오정구 오정동대장동을 포함하는 오정동은 김포평야부평평야에 맞닿은 평야 지역이다. 굴포천범람원으로 예전 갈대밭이었다가 1925년 한강수리조합이 탄생하면서 논으로 개간되어 주곡생산지가 되었다. 제주 고씨, 여흥 민씨 등의 씨족 마을이 있었고 한자로 오동나무 '梧'에 정자 '亭'으로 오동나무가 많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원종동오정구 원종1동시 승격 전 ‘먼마루’라고 불렸다. 춘의동 당아래에서 내려다 볼 때 '멀리 둥그렇게 산마루'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멧마루라고도 부른다. 멧는 산을 뜻하고 마루는 으뜸, 또는 등성이를 뜻한다. 그러므로 원종동은 '산등성이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오정구 원종2동
닫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