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바탁 문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바탁 문자는 수마트라섬의 여러 바탁어군 언어를 적는 데 쓰이던 문자이다. 바탁 문자는 카위 문자 및 팔라바 문자의 후손이거나, 혹은 팔라바 문자에 영향을 받은 가설적인 원시 수마트라 문자의 후손이라고 생각된다.[1]
Remove ads
기본 글자
기본 글자는 수랏(surat)이라 불린다. 각 자음 글자는 기본 모음 /a/를 갖고 있다. 글자의 모양은 지역과 언어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크게는 카로어, 만다일링어, 팍팍어, 시말룽운어, 토바바탁어에서 쓰이는 것을 구별할 수 있다.
기본 글자 | |||||||||||||||||||||||
IPA | a | ha | ka | ba | pa | na | wa | ga | dʒa | da | ra | ma | ta | sa | ja | ŋa | la | ɲa | tʃa | nda | mba | i | u |
전사 | a | ha | ka | ba | pa | na | wa | ga | ja | da | ra | ma | ta | sa | ya | nga | la | nya | ca | nda | mba | i | u |
카로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만다일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팍팍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토바바탁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시말룽운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move ads
사진
- 수탉으로 점치는 방법에 대한 바탁 책(미국 로버트 C. 윌리엄스 종이 박물관)
- 나무 마개를 박은 대나무 줄기에 새겨진 바탁 문자(네덜란드 열대 박물관)
- 대나무 줄기에 새겨진 시말룽운 바탁 문자(네덜란드 국립 민속학 박물관)
- 바탁 야자잎 책(네덜란드 열대 박물관)
- 바탁 사제들의 조제법과 규칙을 담은 책(네덜란드 열대 박물관)
- 토바바탁족 사제들의 마법책(네덜란드 국립 민속학 박물관)
- 1800년대 초 수마트라 중부의 토바바탁어 문서
- 바탁 푸스타하(마법책) (SOAS 런던 대학교)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