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Mohorovičić 不連續面, 문화어: 모호로비치츠 불련속면), 줄여서 모호면(Moho 面)은 지구의 지각과 맨틀의 경계면이다. 지진파의 속력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한다.[1]
해령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암석권 내에 위치하며,[2] 해령에서만 암석권과 연약권의 경계로 정의된다. 해양지각 표면에서 5~10 km 밑에, 대륙지각 표면에서 20~90 km 밑에 위치하여 평균적으로 지표에서 35 km 밑에 위치한다.
1909년에 P파를 위시한 지진파의 속력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지점을 처음으로 관찰한 크로아티아의 지진학자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의 이름을 따 붙여졌다.[3]
크로아티아의 지진학자 안드리야 모호로비치치가 최초로 정의했다.[4] 1909년, 그는 자그레브에서 발생한 지진의 데이터를 관측하다가 P파와 S파가 두 번 도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모호로비치치는 파동의 속력이 매질의 밀도에 비례한다는 사실에 착안해 두 번째 지진파들이 지구 지각의 밀도가 급격히 변하는 지점에서 반사된 것이라고 유추하였다. 지진파의 속도로 계산한 결과 그는 이 지점의 깊이를 지하 54 km로 계산하였다.[5]
모호면은 지질학 등 지구과학 분야에서 1세기 넘게 큰 역할을 해왔다. 과학자들은 모호면의 굴절 성질과 그것이 P파의 속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함으로써 지구의 구성에 대한 이론을 세울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들 밑에서 현대 지진학이 태동했다.[6]
1960년대 초,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실행위원회에서 심해에서 모호면까지 드릴로 구멍을 뚫는다는 계획인 모홀 프로젝트가 발의되었다.[7] 실제로 구멍을 뚫기 위한 해양심층기구의 건설까지는 초기에 성공을 거두었으나, 이후 정치적, 과학적 반대와 잘못된 관리, 비용 초과로 인해 결국 1966년에 취소되었다.[8]
시추를 통해 모호면에 도달하는 것은 아직까지도 중요한 과학적 과제로 남아 있다. 소련의 과학자들은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콜라 시추공에서 이러한 목표로 연구를 계속해왔다. 이들은 지하 12,260m까지 도달했는데 이 기록은 현대까지도 깨지지 않았다.[9]
모호면까지 도달하기 위해 텅스텐 막대를 방사성 물질로 감싸서 바위를 녹이자는 의견이 2005년에 제안되었다.[10] 일본에서는 국제공동해양시추사업의 일환으로 지큐라는 시추선을 사용해 해양지각을 뚫자는 의견이 제시되었다.[11]
2015년 말 스리랑카 콜롬보에서 시추선 조이데스 레절루션호JOIDES Resolution가 지하 1.5 km까지 구멍을 뚫는 것을 목표로 출항하였다.[12]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