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명활성(慶州 明活城)은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보문관광단지 남쪽에 있는 신라의 성곽이다. 1963년 1월 21일대한민국사적 제47호로 지정되었다.

간략 정보 종목, 면적 ...
경주 명활성
(慶州 明活城)
(Myeonghwalseong Fortress, Gyeongju)
대한민국사적
Thumb
종목사적 (구)제47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면적894,850m2
시대신라
위치
Thumb
경주 보문동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좌표북위 35° 50′ 08″ 동경 129° 15′ 19″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닫기

역사

경주의 동쪽 명활산 꼭대기에 자연석을 이용하여 쌓은 둘레 약 6㎞의 신라 산성이다.

성을 쌓은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사기』에 신라 실성왕 4년(405)에 왜병이 명활성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보이므로 그 이전에 만들어진 성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을 쌓는 방법에서도 다듬지 않은 돌을 사용한 신라 초의 방식을 보이고 있다. 눌지왕 15년(431)에는 왜구가 이 성을 포위하고 공격하였는데, 이는 이 성이 신라의 수도서라벌을 지키는데 중요한 곳임을 말해준다.

진흥왕 15년(544)에 다시 쌓았고, 진평왕 15년(593)에는 성을 확장했다. 지금은 대부분의 성벽이 무너져 겨우 몇 군데에서만 옛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진흥왕 때의 ‘명활산성작성비’가 발견되어 당시의 상황을 알려주고 있으며, ‘명활산성비’로 보이는 비석조각이 안압지에서 발견되었다.

선덕여왕 때는 비담(毗曇)이 이 곳을 근거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김유신이 평정하기도 했으며, 남산성·선도산성·북형산성과 함께 동해로 쳐들어오는 왜구에 대항하여 경주를 지키는데 큰 몫을 한 곳이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