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종키츠네
전자 음악 레이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메종키츠네(Maison Kitsuné)는 2002년 질다스 로악, 쿠로키 마사야, 오배케가 설립한 일본의 전자 음악 레이블이며, 패션 브랜드이다. 키츠네(きつね, 狐)는 일본어로 "여우"를 뜻한다.
키츠네는 2002년 파리에서 질다스 로악, 쿠로키 마사야, 패트릭 레이시, 벤저민 라이헨, 카이사 스톨, 스즈키 마키 등으로 구성된 런던 소재 디자인 회사 오배케에 의해 설립되었다. 패션과 음악을 좋아하는 로악과 쿠로키는 일본여행에서 두 분야 모두에 관련된 회사를 설립할 생각을 했다. 로악은 다프트 펑크, 토마스 뱅갈터의 음반사 룰레와 함께 일했다.
2019년, 메종 키츠네는 카페 키츠네라는 이름으로, 첫 번째 레스토랑을 파리에 열며 그들의 브랜드를 확장했다. 이후 레스토랑을 파리 2곳, 일본 4곳, 한국, 뉴욕, 상하이, 방콕, 자카르타 2곳으로 확장했다.
배경
키츠네는 2002년 파리에서 질다스 로악(Gildas Loaëc), 쿠로키 마사야(Masaya Kuroki)와 런던에 거점을 둔 디자인 회사 Åbäke가 설립했다. Åbäke는 패트릭 레이시(Patrick Lacey), 벤자민 레이첸(Benjamin Reichen), 카이사Kajsa Ståhl, 스즈키 마키(Maki Suzuki)로 구성된 회사이다.[1][2][3][4] 패션과 음악을 좋아했던 로악과 쿠로키는 일본 여행 중 양쪽 분야 모두와 관련된 회사를 세우는 아이디어를 가지게 되었다. 회사를 공동 설립하기 이전, 로악은 Daft punk나 Thomas Bangalter의 음반 레이블인 Roulé와 함께 작업했다.[3][5][6]
2019년 메종키츠네는 파리에 Paris Café Kitsuné라는 식당을 세우며 처음으로 브랜드를 확장했다.[7] 이후 café를 파리에 두 곳, 일본에 네 곳,대한민국, 뉴욕, 상하이, 방콕, 자카르타에 두 곳을 추가로 확장했다.[8][9][10]
이름
키츠네라는 이름은 여우라는 뜻의 일본어 단어인 키츠네(히라가나: きつね, 한자: 狐)에서 따왔다. 일본에서 여우는 겉모습과 얼굴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전해진다. 다양한 얼굴과 겉모습은 키츠네의 서로 다른 부분과 방향을 상징한다.[2][11]
메종키츠네와 연관된 아티스트들
요약
관점
아래 목록은 키츠네에서 발매한 음반에만 수록된 노래의 아티스트는 포함하지 않는다.
- Acid Girls[12]
- Adam Sky[13]
- Alan Braxe[14]
- Alex Gopher[15]
- Appaloosa[16]
- Archigram[14]
- DJ Assault[17]
- autoKratz[18]
- BeatauCue[19]
- Beni[20]
- Benjamin Theves[21]
- Ben Kaba (Urban Astronaut)[22]
- Big Face[22]
- Bitchee Bitchee Ya Ya Ya[23]
- Black Strobe[24]
- Bloc Party[14]
- Boys Noize[25]
- Buscabulla[26]
- Captain Comatose[14]
- Cazals[14]
- Chew Lips[27]
- Childish Gambino [10]
- Christopher Just & Raphael Just[14]
- Chrome Sparks
- Citizens![28]
- Classixx[29]
- Crystal Fighters[30]
- Cut Copy[14]
- David E. Sugar[31]
- Delphic[32]
- Dieter Schmidt[33]
- Digitalism[14]
- Fantastic Plastic Machine[14]
- Fischerspooner[34]
- Florrie[35]
- Fox N' Wolf[36]
- Fred Falke[14]
- Gigamesh[37]
- DJ Gregory[14]
- Guns 'n' Bombs[38]
- Hadouken![14]
- HeartsRevolution[39]
- Hey Today![40]
- Hot Chip[14]
- Housse de Racket[14]
- I Scream Ice Cream[41]
- Is Tropical[14]
- Jence[42]
- Jennifer Delano[43]
- Joakim[44]
- Joe and Will Ask?[45]
- Jupiter[46]
- Juveniles[47]
- Kaos[48]
- Kilo Kish[49]
- Khan[48]
- Klaxons[14]
- La Roux[50]
- Lacquer[14]
- Le Corps Mince de Françoise[51]
- Les Gillettes[52]
- Lost Valentinos[53]
- Man with Guitar[54]
- Marco dos Santos[14]
- MAY68[55]
- The Mogs[14]
- MOTHXR
- Mija[56]
- Mr Fabbbian Nappp[50]
- Lacquer[14]
- Palermo Disko Machine[57]
- Parcels[58]
- Passions[59]
- Pat Lok
- Phoenix[60]
- Phones[61]
- Pin Me Down[62]
- Play Paul[63]
- Playgroup[14]
- Polarsets[64]
- Popular Computer[14]
- Punks Jump Up[65]
- Rex the Dog[66]
- Romuald[14]
- Ruben Dawnson[67]
- S'Express[68]
- Schwarz Dont Crack[69]
- Shakedown[14]
- Shindu[70]
- Simian Mobile Disco[71]
- Slagsmålsklubben[72]
- Streetlife DJs[73]
- Ted & Francis[74]
- The Teenagers[75]
- Thieves Like Us[76]
- The Things[14]
- Tom Vek[14]
- Tomboy[77]
- Towa Tei[14]
- Two Door Cinema Club[78]
- urfabrique[79]
- VHS or Beta[14]
- Volga Select[80]
- The Whip[81]
- The Whitest Boy Alive[14]
- The World Domination[82]
- Years & Years[83]
- Yelle[84]
- You Love Her Coz She's Dead[85]
- Zongamin[14]
디스코그래피
스튜디오 앨범
- Coming on Strong – Hot Chip (2004)
- Idealism – Digitalism (2007)
- What of Our Future – Cazals (2008)
- Down & Out in Paris & London – autoKratz (2008)
- Animal – autoKratz (2009)
- Tourist History – Two Door Cinema Club (2010)
- Star of Love – Crystal Fighters (2010)
- Native To – Is Tropical (2011)
- Alesia – Housse de Racket (2011)
- Here We Are – Citizens! (2012)
- Beacon – Two Door Cinema Club (2012)
컴필레이션 및 리믹스 앨범
- Kitsuné Love (2002)
- Kitsuné Midnight (2004)
- Kitsuné X (2005)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2005)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2 (2006)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3 (2006)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4 (2007)
- Kitsuné BoomBox Mixed by Jerry Bouthier (2007)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5 (2008)
- "Gildas & Masaya – Paris (2008)
- Kitsuné Tabloid Compiled & Mixed by Digitalism (2008)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6 (2008)
- Gildas & Masaya – New York (2009)
- Kitsuné Remixes Album #1 (2009)
- Kitsuné Tabloid by Phoenix (2009)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7: The Lucky One (2009)
- Kitsuné Remixes Album #2 (2009)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8 (2009)
- "Gildas & Masaya – Tokyo (2010)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9: Petit Bateau Edition (2010)
- Kitsuné x Ponystep Mixed by Jerry Bouthier (2010)
- Kitsuné Remixes Album #3 (2010)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10: The Fireworks Issue (2010)
- "André & Gildas – Kitsuné Parisien (2011)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11: The Indie-Dance Issue (2011)
- Gildas Kitsuné Club Night Mix (2011)
- Kitsuné Tabloid by The Twelves (2011)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12: The Good Fun Issue (2011)
- Gildas Kitsuné Club Night Mix #2 (2011)
- André & Gildas – Kitsuné Parisien II (2012)
- Kitsuné America (2012)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14: The 10th Anniversary Issue (2012)
- Gildas Kitsuné Club Night Mix #3 (2012)
- "André & Gildas – Kitsuné Parisien III (2013)
- "Kitsuné America 2" (2013)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15 (2013)
- Kitsuné New Faces (2014)
- Kitsuné America 3 (2014)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16: The Sweet Sixteen Issue (2014)
- Kitsuné New Faces II (2015)
- Kitsuné Maison Compilation 17: World Wild Issue (2015)
- Kitsuné Maison 18: The Hysterical Advisory Issue (2016)
- Kitsuné Parisien 4: The New French Touch (2017)
- Kitsuné Afterwork: Volume 1 (2017)
- Kitsuné America 5: The NBA Edition (2018)
- Café Kitsuné: Mix by Pat Lok (2018)
- Kitsuné Parisien: The Art-de-vivre Issue (2019)
- Café Kitsuné: Mix by Young Franco (2019)
- Café Kitsuné: Mixed by Young Franco (2019)
- Kitsuné America: House Kitsuné America (2020)
- Café Kitsuné Mixed by Fabich (2020)
외부 링크
- 메종키츠네
- 공식 웹사이트
- 오바케 보관됨 2011-12-12 - 웨이백 머신
- 키츠네 디스코그래피
- 스타일러스: 키츠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키츠네 설립자 글리더스 인터뷰[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더 블락 매거진에서 키츠네의 글리다스와 마사야 쿠로키와의 인터뷰
- 매거진의 키츠네 파리지엥 스타들과의 담소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