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인터리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은 주기억장치를 접근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는데 사용된다. 메모리 인터리빙 기법은 인접한 메모리 위치를 서로 다른 메모리 뱅크(bank)에 둠으로써 동시에 여러 곳을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메모리 인터리빙은 블록 단위 전송이 가능하게 하므로 캐시나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의 빠른 데이터 전송을 위한 DMA(Direct Memory Access)에서 많이 사용한다.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2년 11월) |

2중 인터리빙
2중 인터리빙에서는 홀수 번지의 주소를 가진 메모리를 하나의 뱅크에 두고, 짝수 번지의 주소를 가진 메모리를 또 하나의 뱅크에 둔다. 그렇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뱅크에 있는 메모리를 동시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역사
인터리빙 메모리의 초기 연구는 IBM 7030 스트레치 컴퓨터와 관련하여 60~70년대 IBM에서 수행되었으나[1] 개발은 설계적 개선, 유연성, 현대의 구현체를 만들기 위한 성능을 위해 수년이 소요되었다.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