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론에서 리우빌 수(영어: Liouville number)는 충분히 빠르게 수렴하는 유리수 수열로 근사할 수 있는 초월수이다.
무리성 측도
무리수 의 무리성 측도(영어: irrationality measure)는 다음과 같다.
초월성
임의의 무리수 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만약 가 대수적 무리수(즉, 2차 이상의 대수적 실수)일 경우, 이다. 특히, 모든 리우빌 수는 초월수이다.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초월수는 리우빌 수가 아닐 수 있으며, 무리성 측도가 2일 수도 있다.
모든 리우빌 수가 초월수임은 리우빌 정리(영어: Liouville’s theorem)를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리우빌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차 대수적 무리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양의 정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정수 및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정리의 조건에 따라 인 차 유리수 계수 기약 다항식 이 존재한다.
인 양의 정수 를 취하자. 임의의 정수 및 양의 정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이라면,
이다. 만약 이라면, 부등호는 는 유리근을 갖지 않으므로 는 양의 정수이다. 평균값 정리에 따라
이다.
이제, 귀류법을 사용하여, 리우빌 수 가 차 대수적 무리수라고 하자.
인 양의 정수 를 취하자. 리우빌 수의 정의에 따라, 다음을 만족시키는 두 정수 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며, 이는 모순이다.
집합론적 성질
리우빌 수의 집합의 크기는 실수와 같은 이다.
다음은 일부 무리수의 무리성 측도 또는 그 상계들이다.
- [1]
여기서 는 자연 로그의 밑, 는 원주율, 는 리만 제타 함수, 는 아크탄젠트, 은 자연 로그이다.
리우빌 상수
리우빌 상수(영어: Liouville’s constant)
- (OEIS의 수열 A012245)
는 리우빌 수이다.[2][3]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2 이상의 정수 및 에 대하여, 만약 인 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은 리우빌 수이다.
순환 소수가 아니므로 는 무리수이다.
임의의 에 대하여,
를 취하면
이다. 즉, 는 리우빌 수이다.
CRC Concis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Second Edition (공)저: Eric W. Weisstein (P1782L30)
What Is Mathematics? An Elementary Approach to Ideas and Methods, Second Edition the late Richard Courant and Herbert Robbins Revised by Ian Stewart (Liouville nu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