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Revbahaf Kingdom Rebuilding Story)는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민희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서울문화사의 만화잡지 《슈가》에 연재한 만화이자, 스튜디오 카브가 이를 원작으로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
![]() Revbahaf Kingdom Rebuilding Story | |||
장르 | 코미디 | ||
---|---|---|---|
만화 | |||
작가 | 김민희 | ||
출판사 | 서울문화사 | ||
연재 잡지 | 슈가 | ||
레이블 | 슈가 북스 | ||
연재 기간 | 2003년~2004년 | ||
권수 | 3권 | ||
TV 애니메이션 | |||
원작 | 김민희 | ||
기획 | 이병덕 | ||
감독 | 유재운 | ||
프로듀서 | 안성은, 정승원, 이병덕(MBC) | ||
조감독 | 이석인 | ||
성우 | 김장, 소연, 정혜옥, 정유미 김지영, 정혜옥, 신용우, 임채헌 | ||
각본 | 황석연, 최가희 | ||
캐릭터 디자인 | 유재운, 이석인 | ||
촬영 감독 | 김문기, 권오준 | ||
음향 감독 | 고광현(KBS) | ||
오프닝 곡 | 〈준비됐어〉 (SLAM) | ||
엔딩 곡 | 〈Good Bye (영원한 건 아냐)〉 (SLAM) | ||
음악 | 이종교, 최영진 | ||
미술 | 한문중(미술감독) | ||
애니메이션 제작 | (주)스튜디오 카브 | ||
제작 | (주)스튜디오 카브 | ||
방송사 | MBC | ||
| |||
방영일 | 2007년 5월 21일 ~ 2007년 11월 26일 2010년 8월 16일 ~ 2010년 9월 28일 | ||
화수 | 26화 | ||
틀 - 토론 |
애니메이션의 경우 2007년 5월 21일부터 2007년 11월 26일까지 MBC에서 월요일마다 방영되었으며, 이후로는 OBS, 투니버스, 카툰네트워크, 애니맥스 등에서 지속적으로 방영되고 있다. 또한 2010년 8월 16일부터 2010년 9월 28일까지 홍콩의 ATV 홈에서 《폭소왕자 도망기》(爆笑王子逃亡記)라는 제목으로 방영된 바 있다.
가상의 국가인 르브바하프, 고센, 비센하르 3개국은 서로 균형을 이루며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비센하르가 이러한 균형을 깨고 르브바하프를 침략하고, 르브바하프 성은 점령당하고 만다. 피비린내 나는 살육전 속에서 간신히 탈출한 르브바하프의 막내 왕자 반과 시녀 코나, 사상가 시안은 고센 접경지대의 한 오두막집에서 은신하며 르브바하프 왕국의 재건을 위한 힘찬 발걸음을 내딛는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기본적으로 원작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사항에서 차이가 있다.
회차 | 방송일 | 부제 |
---|---|---|
1 | 5월 21일 | 절체절명 |
2 | 5월 28일 | 기고만장 |
3 | 6월 4일 | 동상이몽 |
4 | 6월 11일 | 백의종군 |
5 | 6월 18일 | 기절초풍 |
6 | 6월 25일 | 불가사의 |
7 | 7월 2일 | 중구난방 |
8 | 7월 9일 | 화기애애 |
9 | 7월 16일 | 낭중지추 |
10 | 7월 13일 | 애지중지 |
11 | 7월 30일 | 송구영신 |
12 | 8월 6일 | 지성감천 |
13 | 8월 13일 | 측은지심 |
14 | 8월 27일 | 폭풍전야 |
15 | 9월 3일 | 연모지정 |
16 | 9월 10일 | 안분지족 |
17 | 9월 17일 | 파란만장 |
18 | 10월 1일 | 전화위복 |
19 | 10월 8일 | 천생연분 |
20 | 10월 15일 | 호연지기 |
21 | 10월 22일 | 혈혈단신 |
22 | 10월 29일 | 대기만성 |
23 | 11월 5일 | 위기일발 |
24 | 11월 12일 | 선전포고 |
25 | 11월 19일 | 점입가경 |
26 | 11월 26일 | 고진감래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