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운수(同一運輸)는 충청북도 청주시의 시내버스 업체이다. 주사무소는 청주시 서원구 궁뜰로 22(미평동)에 있다. 경기도 고양시의 마을버스 회사에 대해서는 동일운수 (경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간략 정보 형태, 창립 ...동일운수 주식회사DongilBus형태주식회사창립1974년 9월 16일시장 정보비상장산업 분야운수업본사 소재지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궁뜰로 22 (산남동)핵심 인물박호영 (대표이사)제품시내버스자본금1,300.000,000원 (2019. 6)웹사이트http://www.dongilbus.co.kr/닫기 역사 1974년 10월 1일 창업주 박장윤에 의해 시내버스 30대를 인가받아 우암동에 차고지를 마련해 설립하였다. 1980년 2월 1일 당시 30대의 보유 차량 중 22대가 동원교통으로 분리하여 나가면서 사세가 크게 위축되는 위기를 겪는다.[1] 1981년 정무1장관상을 수상한다. 1983년 충청북도내 최초 우수업체 대통령 표창을 받는 등 꾸준히 내실을 다져온다. 1984년 차고지를 우암동에서 현 위치로 이전 1987년 노사협력 우수업체로 대통령상 수상한다. 1989년 산성재 구간을 운행하는 중형좌석버스 노선이 정식 신설되게 되고 교통부 장관으로부터 육운사업발전 공로상을 수상한다. 1994년 청주시로부터 친절 모범업체로 선정되어 청주시장 표창을 받는다. 1995년 충청북도내 최초로 자체 음주측정기를 도입, 음주검열을 실시한 결과 사고지수가 60% 이하로 감소하고, 4년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없어지는 쾌거를 이룩한다. 1996년 충청북도내 최초로 차량에 CCTV를 설치하여 버스의 고질적 병폐인 부정행위를 일소시킨다. 1998년 대중교통 서비스 우수업체로 선정된다. 1999년 충청북도 지사상, 교통안전협회 충청북도지사상, 육운 진흥발전 기여공로로 건설교통부 장관 표창을 받는 등 3개 상을 휩쓴다. 2000년 9월 충청북도 최초로 시내버스 업계 100일 무사고를 달성한다. 2002년 CNG 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한다. 2003년 6월 23일 충북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신청 후 벌여왔던 입금협상이 결렬된다. 2003년 7월 8일 충북노동위원회가 제시한 5% 중재안도 거부당한다.[2] 2003년 7월 9일 우진교통, 청신운수와 함께 파업에 참여한다.[3] 2003년 7월 10일 노사가 한 발씩 양보를 하게 되면서 운행을 재개한다.[4] 2004년 대중교통 서비스왕 업체 선정된다. 2005년 충청북도 최초로 저상버스를 도입 운행하며 대중교통 서비스왕 업체 2연속 선정된다. 2006년 대중교통 서비스왕 업체 3연속 선정된다. 2009년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저상버스를 처음으로 도입하여 신차발표회를 개최하고 2010년 5월 현재 8대를 운행한다. 2010년 창업주 박장윤이 청주의료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하고 장남인 박호영이 대표이사로 취임한다. 2012년 오송농협이 청원군마을순환버스 사업에서 철수에 따라 오송생명과학단지~청주국제공항(~내수역) 운행노선을 인수하여 2월 29일까지 운행 운행 차량 현재 총 80대의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는 단일규모의 최다 보유대수이자 우진교통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보유대수이다. 우진산전 우진산전 아폴로 1100 현대자동차 현대 쏠라티 현대 뉴 카운티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대 일렉시티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갤러리 동일운수 소속 52번 동일운수 소속 823번 동일운수 소속 919번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각주 [1]이후 동원교통은 대화운수와 합병한 충일고속을 거쳐 현재의 우진교통주식회사로 새롭게 태어난다. [2]내일 시내버스 파업 돌입[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MBC 청주문화방송》 2003년 7월 8일 [3]3개 회사 왜 파업하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MBC 청주문화방송》 2003년 7월 9일 [4]시내버스 정상화[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MBC 청주문화방송》2003년 7월 10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