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은 한국연예정보신문이 주관하는 문화·연예·예술인을 대상으로 하는 상이다. 1992년 제정되었으며, 한국 문화·예술의 질적 향상과 문화 콘텐츠의 진흥·발전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제정 당시부터 2007년까지는 한국최고인기연예대상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으나, 2008년 제16회 때부터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으로 이름을 바꿨다.[2]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 |
---|---|
주최 | 한국연예정보신문 |
나라 | 대한민국 |
심사 및 시상
한해 동안 활동한 문화·연예·예술인을 대상으로 하여 누리꾼들의 투표와 문화·연예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후보자를 선정한다. 이후 이를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집행위원회가 추천한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하여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영화, 드라마 등 예술 분야 5개의 대상, 20개 부문상 및 각 분야에 10개 부문상 등 총 70명에게 시상이 이루어진다.[1]
역대 수상자
1999년 제7회 수상자
2000년 제8회 수상자
2001년 제9회 수상자
2002년 제10회 수상자
2003년 제11회 수상자
2004년 제12회 수상자
2005년 제13회 수상자
2006년 제14회 수상자
2007년 제15회 수상자
2008년 제16회 수상자
2009년 제17회 수상자
2010년 제18회 수상자
2011년 제19회 수상자
2012년 제20회 수상자
2013년 제21회 수상자
2014년 제22회 수상자
2015년 제23회 수상자
2016년 제24회 수상자
2017년 제25회 수상자
2018년 제26회 수상자
2019년 제27회 수상자
- 문화연예대상 : 이순재
- 드라마 대상 : 김해숙
2020년 제28회 수상자
- 영화 최우수 연기상 : 이희준
- 영화 신인상 : 이봉근, 최정운
- 영화 작품상 : 윤단비 감독 <남매의 여름밤>
- 영화 감독상 : 홍원찬 감독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 예능 대상 : 최수종, 하희라
- 예능 남자 스타상 : 황광희
- 예능 여자 스타상 : 이미주 (러블리즈)
- 성인가요 대상 : 혜은이
- 성인가요 10대 가수상 : 이동준, 박구윤, 서지오, 우연이, 금잔디, 안소정
- 성인가요 스타상 : 김수찬, 나태주, 이일민
- K-POP상 : 폴킴, 노을, 아스트로, 송하예, 에이프릴, 위키미키, 로켓펀치
2021년 제29회 수상자
2022년 제30회 수상자
2023년 제31회 수상자
-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방재홍 서울미디어그룹 회장, 김영옥 배우
- 의정 대상
- 지방자치단체 부문
- 지방행정부문대상 김성재 의왕시장 △지방자치공로상 문헌일 구로구청장
- 기업 부문
- 기업경영대상 이춘희 보성엘리베이터 대표이사 △기업공로대상 장영길 보성엘리베이터 사장 △사회공헌상 진미봉 아름다운수산 대표이사, 최유미 장수돌침대 이사, 이윤진 (주)서주건설 대표이사, 김창온 (주)라인이엔지 대표이사 △동방문화국제추진마스터 대상 외국인상(중국) Wen Zhen Yu △종교문화예술공로상 백년사 주지 대방스님 △사회 기부공헌상 사)한국장애인소상공인협회 김상호 중앙회장 △뷰티한류벤처기업인상 정서윤 라치엘 대표 △공익공로상 김동규 법무법인 나눔 파트너 변호사. 김수한 법무법인 이로 변호사 △사회발전공로상 선해심 국제언론인클럽 홍보기획이사 △글로벌대중클래식공로상 오경자 오케스트라 합창단 지휘자 △기업혁신대상 김석진 (주)엔씨원 대표 △벤처기업상 송동환 알파프레임 대표
- 문화 예술 부문
- 성인가요 부문
- K-POP 부문
- 드라마 부문
- 영화 부문
- 연극 및 뮤지컬 부문
- 공익 공로상 부문(2023년 신설)
- 법무법인 나눔에 김동규 변호사와 법무법인 이로의 김수한 변호사[4]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