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작전사령부(空軍作戰司令部, Air Force Operations Command)는 공군의 작전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공군의 최상위 사령부이다. 사령부는 경기도 평택시 오산공군기지에 위치하고 있다.

간략 정보 공군작전사령부, 활동 기간 ...
공군작전사령부
空軍作戰司令部
활동 기간1961년 7월 1일 ~ 현재
국가 대한민국
소속 대한민국 공군
병과각 부대 참조
종류작전 사령부
역할전투, 작전 지휘
규모4개 사령부, 6개 직할부대
상급부대공군 본부
주둔지경기도 평택시 오산 공군기지
별칭칠성대
군가작전사령부가
지휘관
사령관 중장 김형수 (공사 39기
닫기

역사

1961년 7월 1일, 2개 전투비행단과 2개 비행전대를 예속받아 창설되었다.

2005년 9월 13일에 발표된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작전사령부에 몰려있는 과도한 지휘통제의 범위를 완화하기 위해 작전 지역을 중부(경기도, 강원도)와 남부(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로 나누고 각각의 지역 사령부에 부대 지휘 권한을 이양하는 재편성 계획을 세웠다. 2년 뒤, 2003년 7월 1일에 남부전투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제1, 11, 16, 17전투비행단, 2010년 12월 23일 창설된 북부전투사령부에는 제8, 10, 18, 19, 20전투비행단, 38전대의 지휘권한을 인계하였다.[1][2]

2015년 3월 27일, 국방부는 열린 합동참모회의에서 의결한 공군지휘구조 개편안을 바탕으로, 31일에 예하 북부, 남부전투사령부를 각각 '공중기동정찰사령부'와 '공중전투사령부'로 재편성할 것이라고 언론에 발표하였다. 지휘통제 범위를 완화하기 두개 지역 전투 사령부를 설립한 이후, 조기경보통제기, 정찰기, 고고도 무인항공기를 도입하면서 작전 지역을 한반도 전체로 확대되었다. 이는 굳이 전투 가능한 구역을 지역으로 한정할 필요가 없어져서 운영 기준을 지역에서 기능으로 바꾼 것이다.[3]

2017년 12월 1일, 북한에 관한 정보감시 및 정찰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37전술정보전대를 항공정보단으로 재편성하였다.[4]

2022년 12월 1일, 공군은 우주 작전을 위해 우주관련 조직·기능을 통합한 '우주작전대대'를 창설하였다.[5]

편성

예하 사령부
직할부대

역대 지휘관

Thumb
34대사령관 이왕근 중장
자세한 정보 #, 계급 ...
# 계급 임관 성명 취임일 이임일 참고
1중장사후 4기김성룡(金成龍)1961년 7월 1일 ?
3중장사후 4기전봉희1963년 5월 1일 ?
25중장공사 20기이기동 ? ?
29중장공사 27기이영만(李永滿) ? ?
30중장공사 27기박신규(朴信圭) ?2013년 4월 24일
31중장공사 28기최차규(崔且圭)2013년 4월 25일2014년 4월 11일
32중장공사 29기박재복(朴在福)2014년 4월 17일2015년 4월 12일
33중장공사 29기김정식(金廷植)2015년 4월 13일2015년 11월 2일
34중장공사 31기이왕근(李旺根)2015년 11월 3일2016년 12월 27일
35중장공사 32기원인철(元仁哲)2016년 12월 27일2017년 9월 27일
36중장공사 32기이건완(李建完)2017년 9월 27일2019년 5월 10일
37중장공사 33기황성진(黃成鎭)2019년 5월 10일2020년 12월 3일
38중장공사 35기김준식(金俊植)2020년 12월 4일2021년 12월 15일
39중장공사 36기최성천2021년 12월 15일2022년 6월 8일
40중장공사 37기박하식(朴夏植)2022년 6월 9일2023년 11월 6일
41중장공사 39기김형수(金亨洙)2023년 11월 6일현임
닫기

참고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