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통령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한민국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대한민국 행정부 수반이며 대한민국 국군의 통수권자이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3명의 인물이 총 20대 임기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제9차 개헌 이후의 현행 헌법에 따라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며 중임할 수 없지만,[1] 제9차 개헌 이전의 여러 헌법에서는 대통령의 임기가 고정되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대통령직을 수행한 개인과 대통령 임기의 대수가 불일치하게 되었다.
1979년 12월 대통령으로 취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1980년 8월 직위를 사임한 최규하가 255일의 임기를 지내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짧은 대통령 임기를 가졌으며, 박정희는 5·16 군사정변 이후 1963년부터 1979년까지 총 5,793일, 15년이 넘는 가장 긴 대통령 임기를 지냈다. 이에 더불어 윤보선의 사임 이후 박정희는 633일 동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내 가장 긴 기간 동안 권한대행 체제를 유지했으며, 백낙준은 1960년 8월 8일부터 8월 12일까지 단 5일 간의 가장 짧은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기간을 유지했다.
이승만, 윤보선, 최규하는 대통령 임기 도중 사임했고, 박정희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중 유일하게 임기 도중 암살당했다. 박근혜가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관한 여러 논란으로 탄핵되었다. 이전에도 노무현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통과된 사례는 있었지만 당시에는 헌법재판소에 의해 기각되었다.[2] 1960년 4월 허정 외무부장관은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이승만의 사임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되며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는 최초의 선례를 세웠다.[3]
2022년 5월 10일 취임한 윤석열은 비상계엄으로 비롯한 탄핵소추로 대통령 직무가 정지되었으며, 그 결과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수행했다.[4] 이후 한덕수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 역시 국회에서 가결됨에 따라 한덕수의 직무도 정지되었다. 이로 인해 권한대행 2순위인 기획재정부 장관 최상목이 권한대행을 이어받아 수행하였다.[5] 2025년 3월 24일 국무총리 탄핵심판이 기각되면서 한덕수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복귀했다.[6] 이후 4월 4일 헌법재판소가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하면서 윤석열이 파면되었다.[7] 현재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진행되기 전까지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할 예정이다.
대통령 목록
요약
관점
대[a] | 초상 이름 (생몰년) |
임기 | 선거 / 득표율[8] | 정부 | 정당 | |
---|---|---|---|---|---|---|
1 | ![]() 이승만 (1875~1965)[9] |
1948년 7월 24일~1952년 8월 14일 | 1948 간선 91.84% |
이승만 정부 | 대한독립촉성국민회(1948~1951)
자유당(1951~1960) |
|
2 | 1952년 8월 15일~1956년 8월 14일 | 1952 직선 74.61% | ||||
3 | 1956년 8월 15일~1960년 4월 27일[b] | 1956 직선 69.98% | ||||
허정 과도내각수반 권한대행 (1960년 4월 27일~1960년 6월 15일)[3] 곽상훈 민의원의장 권한대행 (1960년 6월 16일~1960년 6월 23일)[13] 허정 국무총리 권한대행 (1960년 6월 23일~1960년 8월 8일)[13] | ||||||
4 | ![]() 윤보선 (1897~1990)[14] |
1960년 8월 12일~1962년 3월 22일 | 1960 간선 79.09% |
윤보선 정부 | 무소속(1960~1962)[c] | |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권한대행 (1962년 3월 22일~1963년 12월 16일) | ||||||
5 | ![]() 박정희 (1917~1979)[16] |
1963년 12월 17일~1967년 6월 30일 | 1963 직선 46.64% |
박정희 정부 | 민주공화당(1963~1979) | |
6 | 1967년 7월 1일~1971년 6월 30일 | 1967 직선 51.44% | ||||
7 | 1971년 7월 1일~1972년 12월 26일 | 1971 직선 53.19% | ||||
8 | 1972년 12월 27일~1978년 12월 26일 | 1972 간선 99.92% | ||||
9 | 1978년 12월 27일~1979년 10월 26일[d] | 1978 간선 99.85% | ||||
10 | ![]() 최규하 (1919~2006)[18] |
1979년 12월 6일~1980년 8월 16일 | 1979 간선 96.29% |
최규하 정부 | 무소속(1979~1980) | |
11 | ![]() 전두환 (1931~2021)[20] |
1980년 8월 27일~1981년 2월 24일 | 1980 간선 99.37% |
전두환 정부 | 무소속(1980~1981)
민주정의당(1981~1988) |
|
12 | 1981년 2월 25일~1988년 2월 24일 | 1981 간선 90.11% | ||||
13 | ![]() 노태우 (1932~2021)[21] |
1988년 2월 25일~1993년 2월 24일 | 1987 직선 36.64% |
노태우 정부 | 민주정의당(1988~1990)
민주자유당(1990~1992) 무소속(1992~1993) |
|
14 | ![]() 김영삼 (1927~2015)[22] |
1993년 2월 25일~1998년 2월 24일 | 1992 직선 41.96% |
김영삼 정부 | 민주자유당(1993~1995)
신한국당(1995~1997) 무소속(1997~1998) |
|
15 | ![]() 김대중 (1924~2009)[23] |
1998년 2월 25일~2003년 2월 24일 | 1997 직선 40.27% |
김대중 정부 | 새정치국민회의(1998~2000)
새천년민주당(2000~2002) 무소속(2002~2003) |
|
16 | ![]() 노무현 (1946~2009)[24] |
2003년 2월 25일~2008년 2월 24일[e] | 2002 직선 48.91% |
노무현 정부 | 새천년민주당(2003)
무소속(2003~2004) 열린우리당(2004~2007) 무소속(2007~2008) |
|
17 | ![]() 이명박 (b. 1941)[27] |
2008년 2월 25일~2013년 2월 24일 | 2007 직선 48.67% |
이명박 정부 | 한나라당(2008~2012)
|
|
18 | ![]() 박근혜 (b. 1952)[29] |
2013년 2월 25일~2017년 3월 9일[f] | 2012 직선 51.55% |
박근혜 정부 | 새누리당(2013~2017)
자유한국당(2017) |
|
19 | ![]() 문재인 (b. 1953)[33] |
2017년 5월 10일[g]~2022년 5월 9일 | 2017 직선 41.08% |
문재인 정부 | 더불어민주당(2017~2022) | |
20 | ![]() 윤석열 (b. 1960)[35][36] |
2022년 5월 10일~2025년 4월 4일[h] | 2022 직선 48.56% |
윤석열 정부 | 국민의힘(2022~2025) | |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 (2024년 12월 14일~2024년 12월 27일)[h]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권한대행 (2024년 12월 27일~2025년 3월 24일)[h] | ||||||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