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쇼 신수 대장경(일본어: 大正新脩大蔵経) 또는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 신수대장경(新脩大藏經) 약칭 대정장(大正藏)은 1924~1934년에 일본 다이쇼 일체경 간행회(大正一切経刊行会)에서 출판한 대장경으로, 모두 88권이다. 도상부(図像部) 12권을 더하여 모두 100권으로 보기도 한다. 기호는 T를 사용한다.
팔만대장경을 저본으로 삼고, 전통적인 대장경 이외에도 중국과 일본의 많은 사본을 교감하고, 팔리어, 산스크리트어 장경과도 대조하여 편찬하여서 가장 광범하고 정확한 판본으로 평가된다. 돈황사본 등 새롭게 발견된 자료를 추가한 것도 이전 대장경들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다이쇼(大正)는 출판 당시 일본의 연호이나, 대부분은 이후 쇼와 연간에 출판되었다. 이어서 1935~1941년에는 팔리어 대장경인 《남전대장경》(南伝大蔵経)을 출판한다.
기존 대장경의 전통적인 체계를 따르지 않고, 역사에 따라 국가별 종파별 분류를 한 것이 특징이다. 하위 분류에서는 기존의 삼장 체계를 적용하였다.
인도부, 중국부 55권을 정장(正蔵)으로, 일본부, 돈황사본, 의사부 30권을 속장(續蔵)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인도부(印度部) 32권
[5]
- 아함부(阿含部) T.0001~T.0151
- 본연부(本縁部) T.0152~T.0219 — 본생경, 법구경 등 아함경 이외의 초기불경.
- 반야부(般若部) T.0220~T.0261
- 법화부(法華部) T.0262~T.0277
- 화엄부(華厳部) T.0278~T.0309
- 보적부(宝積部) T.0310~T.0373
- 열반부(涅槃部) T.0374~T.0396
- 대집부(大集部) T.0397~T.0424
- 경집부(経集部) T.0425~T.0847
- 밀교부(密教部) T.0848~T.1420
- 율부(律部) T.1421~T.1504
- 석경론부(釈経論部) T.1505~T.1535 — 주석서
- 비담부(毘曇部) T.1536~T.1563
- 중관부(中観部) T.1564~T.1578
- 유가부(瑜伽部) T.1579~T.1627
- 논집부(論集部) T.1628~T.1692 — 설일체유부, 중관파, 유가행파의 논장
중국부(中国部) 24권
[6]
- 경소부(経疏部) T.1693~T.1803 — 대승불교의 경에 관한 주석서
- 율소부(律疏部) T.1804~T.1815 — 율에 관한 주석서
- 논소부(論疏部) T.1816~T.1850 — 논에 관한 주석서
- 제종부(諸宗部) T.1851~T.2025 — 기타 종파. 신라의 원효, 의상과 고려의 지눌도 포함.
- 사전부(史伝部) T.2026~T.2120 — 역사서
- 사휘부(事彙部) T.2121~T.2127 — 민간 전승되는 전설
- 목록부(目録部) T.2145~T.2184
기타 문헌
- 외교부(外教部) T.2128~T.2144 — 범어에 관한 문헌. 마니교와 네스토리우스파 관련 문헌 포함
- 의사부(疑似部) T.2865~T.2920
일본부(日本部) 29권
[7]
- 속경소부(続経疏部) T.2185~T.2245 — 대승불교 경에 관한 주석서
- 속율소부(続律疏部) T.2246~T.2248 — 율에 관한 주석서
- 속논소부(続論疏部) T.2249~T.2295 — 논에 관한 주석서
- 속제종부(続諸宗部) T.2296~T.2700 — 여러 종파의 문헌
- 실담부(悉曇部) T.2701~T.2731 — 범어, 불교 음악 등에 관한 문헌.
목록부 3권
[8]
- 소화법보총목록(昭和法宝総目録) 제1권 1929년(쇼와 4년) 7월 발행[9]
- 소화법보총목록(昭和法宝総目録) 제2권 1929년(쇼와 4년) 4월 발행
- 소화법보총목록(昭和法宝総目録) 제3권 1934년(쇼와 9년) 11월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