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시

대한민국 충청남도의 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논산시

논산시(論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동부에 있는 이다. 북동쪽으로 대전광역시, 계룡시, 동쪽으로 금산군, 서쪽으로 부여군, 북쪽으로 공주시, 남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완주군과 경계를 접한다. 호남선호남고속선[1] 철도가 지나고, 호남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이 지나간다.

간략 정보 논산시, 행정 ...
논산시
Thumb
Thumb
논산시의 위치
행정
국가대한민국
행정 구역2, 11, 2
법정동11
청사 소재지논산시 시민로210번길 9 (내동 824)
단체장백성현(국민의힘)
국회의원황명선(더불어민주당,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지리
면적554.98km2
인문
인구109,766명
세대58,048세대
상징
나무느티나무
개나리
원앙
표어논산을 새롭게 시민을 행복하게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nonsan.go.kr/
닫기

계룡산대둔산에서 발원하는 노성천논산천이 합류하고 금강 본류에 유입되면서, 논산천노성천 유역 일대에 넓고 비옥한 충적평야(논산평야)가 발달하였다. 시의 중앙에는 탑정저수지가 있다. 대한민국 최대의 딸기 생산지이며, 논산청정딸기산업특구로 지정되어 있고, 논산딸기특허청이 승인하는 지리적 표시 특산물로 선정됐다. 과거 하나의 거대한 포구였던 강경논산천강경천이 합수하고 금강에 유입되는 지역으로 황해로 통하는 수운 교통이 발달하였다. 강경의 특산물로는 젓갈이 유명하다. 매년 논산에서는 논산딸기축제, 강경발효젓갈축제, 양촌곶감축제, 상월 고구마축제, 연산 대추축제 등이 열린다. 명소로는 고려시대 최대 석불입상인 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218호)이 있고, 이 외에 고려 개국사찰인 개태사(보물 219호)와 쌍계사(보물 408호) 등이 있다. 조선시대 논산은 충청도기호학파를 대표하는 중심지였으며, 돈암서원충곡서원, 윤증고택, 연산향교, 죽림서원 등의 유교 문화 유적이 많다. 한편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는 황산벌이 위치해 있었는데, 삼국시대에 백제계백 장군이 이끄는 5천 결사대와 신라의 김유신 장군이 이끄는 5만 군대가 백제 최후의 결전인 황산벌 전투를 벌인 곳이다. 연무읍에는 육군훈련소가 있고, 노성면에는 육군항공학교가 있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건양대학교, 금강대학교 등이 있으며, 공공기관 이전 혁신도시 사업에 따라 양촌면으로 국방대학교가 이전되었다. 시청은 내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2읍 11면 2행정동 11법정동이다.

역사

요약
관점
Thumb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대한민국 보물 제1569호)

조선시대 논산 지역은 충청도 은진현, 연산현, 니산현(노성현)으로 구성되어 행정적으로 충청도관찰사의 관할 구역이었다. 당시 충청도는 고려 말까지는 양광도라 칭해졌으나 1396년(태조 4)에 충청도라 개칭하였다 1413년(태종13) 논산 지역은 충청도 공주목의 관할 지역으로 연산현, 니산현, 은진현의 3개 지역을 포함하였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총 호구 수 1,268호에 인구는 4,795명이었다.

충청도 공주목 은진현(恩津縣)

덕은(德恩)은 본래 백제의 덕근군(德近郡)인데, 신라에서 덕은군(德殷郡)으로 고쳤고, 고려에서 덕은(德恩)으로 고쳤다. 시진(市津)은 본래 백제의 가지내현(加知柰縣)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덕은군(德恩郡)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 현종(顯宗) 9년에 2현(縣)을 모두 공주(公州) 임내(任內)에 붙였다. 채운향(彩雲鄕)은 예전에 시진현(市津縣)에 붙였었는데, 조선 태조(太祖) 6년에 덕은(德恩)·시진(市津)·채운향(彩雲鄕)을 병합하여 덕은 감무(德恩監務)를 두었고, 세종 원년에 은진 현감으로 고쳤다. 후백제 왕 견훤(甄萱)의 묘(墓)가 은진현의 남쪽 12리 풍계촌(風界村)에 있다. 봉화가 2곳이니, 강경포(江景浦)와 노산(爐山)이다. 현의 북쪽에 관족사(灌足寺)가 있고, 돌미륵이 있는데, 높이가 54척이다.[2]

충청도 공주목 연산현(連山縣)

백제의 황등야군(黃等也郡)인데, 신라에서 황산군(黃山郡)으로 고쳤다. 계백 장군이 이끄는 5천 결사대와 신라의 김유신이 이끄는 5만 군대가 백제 최후의 결전을 벌인 곳이다. 연산현의 북쪽에 고려 태조(太祖)가 후백제를 평정하고 세운 개태사(開泰寺)가 있다. 고려에서 연산군(連山郡)으로 고쳤으며, 고려 현종(顯宗) 9년에 공주(公州) 임내(任內)에 붙이었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 태종 13년 현감(縣監)으로 고쳤다.[3]

충청도 공주목 니산현(尼山縣)→노성현(魯城縣)

백제의 열야산현(熱也山縣)인데, 신라에서 니산(尼山)으로 고쳐 웅천(熊川)의 영현(領縣)을 삼았고, 고려 현종(顯宗) 9년에 공주(公州) 임내에 붙이었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 태종(太宗) 14년에 석성(石城)에 합쳐 니성현(尼城縣)이라 하였다가, 태종 16년 다시 갈라서 니산현감(尼山縣監)을 두었다.[4] 훗날 노성현(魯城縣)으로 개칭되었다.

조선시대 경상도의 영남학파와 논산을 중심으로 한 충청도기호학파 양대 주류가 형성되었다. 17세기 이후 논산은 김장생김집, 김현 등 당대의 예학의 연원을 잇는 주자학의 선구자를 배출하며, 충청도기호학파를 대표하는 중심지로 정계와 학계의 주도권을 차지한다.[5] 노성의 윤증송시열·유계와 그 장인 권시에게서 배워 예학에 밝았고 당시 소론의 영수로 조야의 관심을 끌었다. 강경의 죽림서원을 비롯하여 돈암서원·충곡서원·휴정서원·효암서원·행림서원·노강서원 등이 후학들이 학통을 계승하였다.

연혁

  • 조선시대 충청도 은진현, 연산현, 노성현, 석성현
  • 1914년 4월 1일 은진군, 연산군, 노성군과 석성군 일부를 논산군으로 통합하였다.[6]
논산면, 강경면, 연산면, 부적면, 양촌면, 벌곡면, 가야곡면, 구자곡면, 채운면, 대조곡면, 상월면, 노성면, 광석면, 성동면, 두마면 (15면)

지리

논산시는 충청남도 남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대둔산에서 발원한 논산천계룡산에서 발원하는 노성천, 연산천, 연무읍 고내리에서 발원한 강경천이 각기 금강 본류에 유입되는 지형을 따라 하천 유역을 중심으로 넓고 비옥한 논산평야가 형성되었다. 논산천의 중앙에는 탑정저수지가 있다. 벌곡면 북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서구 기성동, 연산면 동쪽으로 계룡시, 벌곡면 동쪽으로 금산군 진산면, 노성면상월면 북쪽으로 공주시 계룡면, 이인면, 탄천면과 인접하고, 성동면, 광석면, 강경읍 서쪽으로는 금강 본류와 지류인 석성천을 사이에 두고 부여군 세도면, 석성면, 초촌면과 접한다. 동남부의 대둔산(878m)에서 서쪽 방향으로 장재봉(487m)·작봉산(421m)·옥녀봉(410m)·함박봉(403m) 등 산맥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형적 특성이 있으며, 강경읍, 채운면, 연무읍, 가야곡면, 양촌면, 벌곡면 남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운주면, 화산면, 익산시 여산면, 망성면과 도계를 이룬다.[13]

지질

Thumb
중생대 쥐라기 반상 화강섬록암과 석불

행정 구역

논산시의 행정 구역은 2읍 11면 2행정동 11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산시의 면적은 총 554.85 km2이고, 인구는 2020년 12월말 기준으로 57,826세대 120,540 명이다.[14]

Thumb
자세한 정보 읍면동, 한자 ...
읍면동한자면적세대인구
강경읍江景邑7.014,3938,471
연무읍鍊武邑59.456,84014,200
성동면城東面35.582,1834,552
광석면光石面34.022,1394,394
노성면魯城面35.781,5283,161
상월면上月面44.781,8783,722
부적면夫赤面30.721,9163,738
연산면連山面553,3626,311
벌곡면伐谷面69.711,4652,542
양촌면陽村面77.213,0386,618
가야곡면可也谷面45.31,9553,563
은진면恩津面22.532,2884,414
채운면彩雲面19.751,2072,302
취암동鷲岩洞10.4616,04635,917
부창동富倉洞7.557,31016,635
논산시論山市554.8557,826120,540
닫기

교통

주요 기관

교육

경제

산업

문화·관광

역대 시장

출신 인물

성씨

자매 도시

우호교류 도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